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5 04:06:17

피겨 스케이팅/기술/페어 리프트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3c3b6e,#141425> 피겨 스케이팅 기술 ||
필수 요소
데스 스파이럴 리프트 스텝 시퀀스 스핀
점프 코레오 시퀀스 트위스트 리프트 아이스 댄스 요소
연결 요소
베스티 스쿼트 스파이럴 스프레드 이글 스플릿 점프
왈리 점프 이나 바우어 캔틸레버
리프트
Lifts
파일:수이한리프트.gif
쑤이원징 / 한충 조의 5그룹 악셀 리프트 레벨 4[1]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종목 페어 스케이팅
유형 필수 요소
약자 Li
1. 개요2. 여자 선수의 도약3. 홀드
3.1. 1그룹3.2. 2그룹3.3. 3그룹3.4. 4그룹3.5. 5그룹
3.5.1. 5그룹 스텝 리프트3.5.2. 5그룹 토 리프트3.5.3. 5그룹 백워드 리프트3.5.4. 5그룹 리버스 리프트3.5.5. 5그룹 악셀 리프트
4. 상승 이후
4.1. 캐리4.2. 공중 자세
5. 평가 방식 및 기준6. 점수

[clearfix]

1. 개요

리프트는 페어 스케이팅아이스 댄스에서 필수 요소이다. 본 문서는 페어 스케이팅의 리프트만을 다룬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아이스 댄스의 리프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아이스 댄스 요소 문서
번 문단을
댄스 리프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여자 선수의 도약

리프트에서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들어 올릴 때 여자 선수는 가만히 있지만은 않으며, 여자 선수가 도약을 통해 빙판에서 떨어져야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어깨 위로 들어올린다. 이때 여자 선수가 어떻게 도약을 했는지에 따라 도약 유형에 해당하는 점프 명칭을 붙여 리프트를 구분한다.

여자 선수의 도약은 5그룹을 제외하면 난이도에 의한 구분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프로토콜(채점표) 상에서 표현되지는 않는다. 그 대신 시즌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의 도약 방식 규정을 달리 하여 선수가 능력을 균형있게 발달시키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2]

3. 홀드

리프트를 나누는 다양한 기준 중 채점표에 기록하는 용도로 쓰이는 일차적 구분 기준은 '홀드'이다. 여자 선수가 도약할 때부터 상슴 과정이 끝났을 때까지의 홀드를 기준으로 삼고 리프트를 나누며, 4개의 홀드를 정의하고 난이도가 낮은 홀드에 낮은 숫자를 부여하여 1부터 4까지 네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ISU가 정한 네 가지 홀드는 다음과 같다.

3.1. 1그룹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1그룹 리프트(Group 1 Lift)
약자 1Li
암핏 홀드의 리프트로 정의한다. 노비스 선수들 정도만 경기에서 구사하며, 주니어와 시니어 선수들의 1그룹 리프트는 연결 요소로 간주하여 점수도 없다.

약자는 리프트를 의미하는 Li 앞에 그룹 숫자를 붙여 1Li가 되고, 리프트의 레벨을 뒤에 표기한다. 가령 레벨 3의 1그룹 리프트는 1Li3으로 쓴다.

3.2. 2그룹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2그룹 리프트(Group 2 Lift)
약자 2Li
웨이스트 홀드의 리프트로 정의한다. 역시 노비스 선수들 정도만 구사하며 주니어와 시니어 선수들의 2그룹 리프트는 연결 요소로만 인정된다.

2그룹 리프트는 여자 선수가 싱글 룹을 뛰는 것처럼 도약을 하므로 룹 리프트에 해당한다. 그래서 간혹 룹 리프트라 하면 좁은 의미에서 2그룹 리프트만을 칭하는 경우도 있다. 여자 선수가 룹으로 도약을 하면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의 허리를 잡고 들어올리게 되므로 자연히 여자 선수는 빙판에 수직으로, 머리가 위를 향할 수밖에 없어 여자 선수의 자세가 매우 한정적이다.[3] 만일 도약 홀드가 웨이스트 홀드이더라도 여자 선수의 자세가 다르다면 3그룹 리프트로 인정되어버린다.

3.2.1. 트위스트 리프트

웨이스트 홀드 리프트에서 여자 선수가 공중에 던져지면 트위스트 리프트가 된다. 트위스트 리프트는 웨이스트 홀드 리프트임에도 2그룹으로 분류되지 않고 아예 리프트 분류에서 분리되었다. 그래서 약자도 Li라 쓰지 않고 Tw라 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겨 스케이팅/기술/트위스트 리프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3그룹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3그룹 리프트(Group 3 Lift)
약자 3Li
핸드 투 힙 홀드의 리프트를 말한다.

3.4. 4그룹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4그룹 리프트(Group 4 Lift)
약자 4Li
4그룹과 5그룹은 핸드 투 핸드 홀드의 리프트로,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의 손을 잡고 들어올리는 리프트이다.

핸드 투 핸드 홀드의 리프트는 여자 선수가 도약 과정에서 남자 선수의 주위를 돌면서 올라가게 되는지, 그렇지 않고 우뚝 올라가게 되는지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진다. 둘 중 핸드 투 핸드 홀드의 리프트 중에서 여자 선수가 도약 과정에서 남자 선수의 주변을 돌지 않고 우뚝 올라가는 리프트를 4그룹으로 분류한다.

남자 선수와 함께 회전을 할 지언정 남자 선수의 주변을 돌지 않는, 즉 상대 각속도가 0인 리프트이므로 남자 선수가 파트너를 단순히 밀듯이 들어올리기 때문에 프레스 타입 리프트라고 한다. 여자 선수가 남자 선수 주위를 돌 일이 없이 단순하므로 마주 본 상태에서는 자신의 오른손과 상대의 왼손을, 자신의 왼손은 상대의 오른손을 잡게 되고 한 방향을 보고 있을 때는 오른손은 오른손끼리, 왼손은 왼손끼리 정직하게 손을 잡게된다.

3.5. 5그룹

핸드 투 핸드 리프트 중 도약을 할 때 여자 선수가 남자 선수의 주위를 약 반 바퀴 정도 회전을 하면서 공중으로 올라가는 리프트를 5그룹으로 분류한다. 남자 선수도 회전을 할 수 있겠지만 두 사람 사이에 상대 각속도가 0이 아니어서 여자 선수가 남자 선수의 주변을 나선환처럼 돌면서 올라가는 것이 중요하다. 여자 선수가 돌면서 올라가더라도 최종적으로 공중에서는 4그룹 리프트와 똑같다. 그래서 마주본 상태에서는 자신의 오른손과 상대의 왼손을, 자신의 왼손은 상대의 오른손을 잡게 되고 한 방향을 보고 있을 때는 오른손은 오른손끼리, 왼손은 왼손끼리 정직하게 손을 잡게되는 4그룹 리프트와 달리 빙판에 있을 때 두 선수가 팔이 꼬이도록 손을 잡아야 한다. 그래야 도약 과정에서 회전이 일어나며 꼬여있던 팔이 풀리고 리프트가 완성된다. 5그룹 리프트는 라쏘 타입 리프트라고도 한다.

5그룹은 여자 선수의 도약법, 도약이 이루어질 때 여자 선수의 남자 선수에 대한 상대 위치, 핸드 그립(hand grip)에 따라 다섯 가지의 세부 분류가 있으며, 다섯 가지의 리프트 사이에도 난이도 차이가 존재한다.

3.5.1. 5그룹 스텝 리프트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5그룹 스텝 리프트(Group 5 Step Lift)
약자 5SLi
스텝 라소 리프트라고도 한다. 5그룹 중에서는 토 라소 리프트와 함께 가장 쉽다. 약자는 그룹 숫자와 리프트를 의미하는 Li 사이에 도약 유형별 약자가 위치한다. 이 방식을 적용해 5SLi라고 쓴다.

남자 선수는 후진, 여자 선수는 전진하며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왼손은 왼손끼리, 오른손은 오른손끼리 팔이 엇갈리도록 하여 잡고 도약한다. 이처럼 오른손은 상대의 오른손을 잡고 왼손은 상대의 왼손을 잡는 홀드를 같은 팔 홀드(same arm hold)라고 한다. 팔이 꼬이는 방향도 중요한데, 여자 선수가 남자 선수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야 한다면 오른팔이 왼팔의 위로 와야 하며 시계 방향의 회전을 원할 때는 왼팔이 오른팔의 위로 와야한다. 홀드가 이루어지고 나면 여자 선수는 전진하는 스텝을 밟아 빙판을 밀어서 도약한다. 같은 팔 홀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공중으로 갓 떠올랐을 때는 두 선수가 같은 방향을 보게 된다. 여자 선수가 홀드가 이루어지기 전 남자 선수와 같은 방향으로(후진) 스케이팅하다가 순간적으로 방향을 틀어 홀드를 이루고 전진하는 스텝을 밟고 떠오르는 방식도 가능하다.

다양한 도약법이 있지만 인사이드 악셀 도약이 대표적이다.

3.5.2. 5그룹 토 리프트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5그룹 토 리프트(Group 5 Toe Lift)
약자 5TLi
토 라소 리프트라고도 한다. 스텝 라쏘 리프트와 함께 5그룹 내에서는 가장 쉬운 리프트 유형이다.

여자 선수가 토 점프로 도약한다 하여 토 라쏘 리프트라는 이름이 봍었는데, 토 점프로 도약하려면 스텝 라쏘 리프트와는 반대로 남자 선수가 전진하고 여자 선수가 후진하여 서로 마주본다. 마주본다는 점은 스텝 라쏘 리프트와 같다. 그 상태에서 같은 팔 홀드[same-arm-hold]를 이루고 여자 선수가 토 점프로 도약한다. 주로 플립 점프를 수행하며 꼬인 팔이 풀리면 리프트 진행 시 같은 방향을 바라보게 된다. 약자는 5TLi.

3.5.3. 5그룹 백워드 리프트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5그룹 백워드 리프트(Group 5 Backward Lift)
약자 5BLi
백워드 라소 리프트라고도 한다. 두 선수가 모두 후진하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다. 난이도는 5그룹 중에서 중간 정도에 해당한다. 약자는 5BLi.

두 선수 모두 후진하면서 왼손은 왼손끼리, 오른손은 오른손끼리 잡기 때문에[same-arm-hold] 팔이 꼬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두 팔을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서 오른팔이 아예 여자 선수의 머리를 넘겨 왼쪽으로 오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자 선수는 도약의 순간 상체를 반시계방향으로 열어 젖힌다. 그렇게 하면 어깨 관절의 구조 상 한 방향을 보고 같은 팔 홀드를 썼더라도 몸이 돌면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라쏘 유형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여자 선수는 엣지로만 도약할 수도 있고 토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한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가 도약해서 돌면서 올라가고, 공중에서 다시 같은 방향을 보게 되는 것이므로 여자 선수는 총 1바퀴를 돌게 된다.

3.5.4. 5그룹 리버스 리프트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5그룹 리버스 리프트(Group 5 Reverse Lift)
약자 5RLi
리버스 라소 리프트라고도 한다. 서로 같은 방향으로(전진, 후진 모두 가능하다.) 활주하다가 왼손은 상대 선수의 오른손을, 오른손은 상대 선수의 왼손을 잡고 들어올린다. 이러한 홀드를 반대 팔 홀드[opposite-arm-hold]라고 한다. 이때 여자 선수는 주로 룹으로 도약하며, 서로 다른 쪽 손을 잡았기 때문에 리프트 도입 이후에는 유일하게 서로 다른 방향을 보게 된다. 악셀 라소 리프트와 함께 5그룹에서 제일 어렵다. 약자는 5RLi.

3.5.5. 5그룹 악셀 리프트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이름 5그룹 악셀 리프트(Group 5 Axel Lift)
약자 5ALi
악셀 라소 리프트라고도 한다. 여자 선수가 악셀 점프로 도약한다. 악셀로 도약하기 때문에 여자 선수가 거의 한 바퀴 정도 돌게 된다. 약자는 5ALi.

4. 상승 이후

4.1. 캐리

대부분의 남자 선수들은 여자 선수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회전을 한다. 반면 여자 선수가 도약할 때나 착지를 할 때 남자 선수가 회전을 하지 않고 그저 들고만 있는 상태를 캐리라고 한다.

남자 선수가 회전을 하는 리프트를 특별히 로테이셔널 리프트라 하며 그렇지 않은 리프트는 캐리 리프트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리프트 전체가 로테이셔널 리프트이거나 캐리와 로테이션 모두를 구사하는 리프트를 하게 된다. 시니어 경기에서 캐리가 있는 리프트를 수행할 때는 캐리의 방법을 어렵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로테이션을 진행할 때 남자 선수는 최소 1회전을 하여야 한다.[7] 캐리만 있는 캐리 리프트는 여자 선수가 도약할 때와 착지할 때 각 0.5회전까지만을 허용한다. 캐리 리프트는 프로토콜에 기재되지 않고 연결 요소로만 인정하며 어떤 홀드를 사용하건 상관이 없다.

4.2. 공중 자세

여자 선수의 공중 자세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자세를 보인 리프트를 자세 명칭 뒤에 '리프트'를 붙여 플래터 리프트, 스타 리프트, 업라이트 리프트 라고 부르기도 한다.

리프트를 평가할 때 공중 자세의 변화를 중요하게 보는데, 플래터에서 스타/업라이트, 스타에서 플래터/업라이트, 업라이트에서 스타/플래터로 바꾸는 것 뿐 아니라 바닥을 바라보는 플래터에서 천장을 바라보는 플래터로 바꾼다거나 머리가 위로 가는 업라이트에서 아래로 가는 업라이트로 바꾸는 것 역시 자세의 변화로 간주한다.

5. 평가 방식 및 기준

6. 점수

점수
레벨 -5-50% -4-40% -3-30% -2-20% -1-10% 기초점 +110% +220% +330% +440% +550%
1그룹 리프트
1LiB -0.70 -0.56 -0.42 -0.28 -0.14 1.40 +0.14 +0.28 +0.42 +0.56 +0.70
1Li1 -0.75 -0.60 -0.45 -0.30 -0.15 1.50 +0.15 +0.30 +0.45 +0.60 +0.75
1Li2 -0.85 -0.68 -0.51 -0.34 -0.17 1.70 +0.17 +0.34 +0.51 +0.68 +0.85
1Li3 -0.95 -0.76 -0.57 -0.38 -0.19 1.90 +0.19 +0.38 +0.57 +0.76 +0.95
1Li4 -1.05 -0.84 -0.63 -0.42 -0.21 2.10 +0.21 +0.42 +0.63 +0.84 +1.05
2그룹 리프트
2LiB -0.75 -0.60 -0.45 -0.30 -0.15 1.50 +0.15 +0.30 +0.45 +0.60 +0.75
2Li1 -0.95 -0.76 -0.57 -0.38 -0.19 1.90 +0.19 +0.38 +0.57 +0.76 +0.95
2Li2 -1.15 -0.92 -0.69 -0.46 -0.23 2.30 +0.23 +0.46 +0.69 +0.92 +1.15
2Li3 -1.35 -1.08 -0.81 -0.54 -0.27 2.70 +0.27 +0.54 +0.81 +1.08 +1.35
2Li4 -1.55 -1.24 -0.93 -0.62 -0.31 3.10 +0.31 +0.62 +0.93 +1.24 +1.55
3그룹 리프트
3LiB -1.75 -1.40 -1.05 -0.70 -0.35 3.50 +0.35 +0.70 +1.05 +1.40 +1.75
3Li1 -1.95 -1.56 -1.17 -0.78 -0.39 3.90 +0.39 +0.78 +1.17 +1.56 +1.95
3Li2 -2.15 -1.72 -1.29 -0.86 -0.43 4.30 +0.43 +0.86 +1.29 +1.72 +2.15
3Li3 -2.35 -1.88 -1.41 -0.94 -0.47 4.70 +0.47 +0.94 +1.41 +1.88 +2.35
3Li4 -2.55 -2.04 -1.53 -1.02 -0.51 5.10 +0.51 +1.02 +1.53 +2.04 +2.55
4그룹 리프트
4LiB -1.75 -1.40 -1.05 -0.70 -0.35 3.50 +0.35 +0.70 +1.05 +1.40 +1.75
4Li1 -1.95 -1.56 -1.17 -0.78 -0.39 3.90 +0.39 +0.78 +1.17 +1.56 +1.95
4Li2 -2.15 -1.72 -1.29 -0.86 -0.43 4.30 +0.43 +0.86 +1.29 +1.72 +2.15
4Li3 -2.35 -1.88 -1.41 -0.94 -0.47 4.70 +0.47 +0.94 +1.41 +1.88 +2.35
4Li4 -2.55 -2.04 -1.53 -1.02 -0.51 5.10 +0.51 +1.02 +1.53 +2.04 +2.5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그룹 리프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그룹 스텝 리프트
5SLiB -2.30 -1.84 -1.38 -0.92 -0.46 4.60 +0.46 +0.92 +1.38 +1.84 +2.30
5SLi1 -2.50 -2.00 -1.50 -1.00 -0.50 5.00 +0.50 +1.00 +1.50 +2.00 +2.50
5SLi2 -2.70 -2.16 -1.62 -1.08 -0.54 5.40 +0.54 +1.08 +1.62 +2.16 +2.70
5SLi3 -2.90 -2.32 -1.74 -1.16 -0.58 5.80 +0.58 +1.16 +1.74 +2.32 +2.90
5SLi4 -3.10 -2.48 -1.86 -1.24 -0.62 6.20 +0.62 +1.24 +1.86 +2.48 +3.10
5그룹 토 리프트
5TLiB -2.30 -1.84 -1.38 -0.92 -0.46 4.60 +0.46 +0.92 +1.38 +1.84 +2.30
5TLi1 -2.50 -2.00 -1.50 -1.00 -0.50 5.00 +0.50 +1.00 +1.50 +2.00 +2.50
5TLi2 -2.70 -2.16 -1.62 -1.08 -0.54 5.40 +0.54 +1.08 +1.62 +2.16 +2.70
5TLi3 -2.90 -2.32 -1.74 -1.16 -0.58 5.80 +0.58 +1.16 +1.74 +2.32 +2.90
5TLi4 -3.10 -2.48 -1.86 -1.24 -0.62 6.20 +0.62 +1.24 +1.86 +2.48 +3.10
5그룹 백워드 리프트
5BLiB -2.50 -2.00 -1.50 -1.00 -0.50 5.00 +0.50 +1.00 +1.50 +2.00 +2.50
5BLi1 -2.70 -2.16 -1.62 -1.08 -0.54 5.40 +0.54 +1.08 +1.62 +2.16 +2.70
5BLi2 -2.90 -2.32 -1.74 -1.16 -0.58 5.80 +0.58 +1.16 +1.74 +2.32 +2.90
5BLi3 -3.10 -2.48 -1.86 -1.24 -0.62 6.20 +0.62 +1.24 +1.86 +2.48 +3.10
5BLi4 -3.25 -2.60 -1.95 -1.30 -0.65 6.50 +0.65 +1.30 +1.95 +2.60 +3.25
5그룹 악셀 리프트
5ALiB -2.70 -2.16 -1.62 -1.08 -0.54 5.40 +0.54 +1.08 +1.62 +2.16 +2.70
5ALi1 -2.90 -2.32 -1.74 -1.16 -0.58 5.80 +0.58 +1.16 +1.74 +2.32 +2.90
5ALi2 -3.10 -2.48 -1.86 -1.24 -0.62 6.20 +0.62 +1.24 +1.86 +2.48 +3.10
5ALi3 -3.30 -2.64 -1.98 -1.32 -0.66 6.60 +0.66 +1.32 +1.98 +2.64 +3.30
5ALi4 -3.50 -2.80 -2.10 -1.40 -0.70 7.00 +0.70 +1.40 +2.10 +2.80 +3.50
5그룹 리버스 리프트
5RLiB -2.70 -2.16 -1.62 -1.08 -0.54 5.40 +0.54 +1.08 +1.62 +2.16 +2.70
5RLi1 -2.90 -2.32 -1.74 -1.16 -0.58 5.80 +0.58 +1.16 +1.74 +2.32 +2.90
5RLi2 -3.10 -2.48 -1.86 -1.24 -0.62 6.20 +0.62 +1.24 +1.86 +2.48 +3.10
5RLi3 -3.30 -2.64 -1.98 -1.32 -0.66 6.60 +0.66 +1.32 +1.98 +2.64 +3.30
5RLi4 -3.50 -2.80 -2.10 -1.40 -0.70 7.00 +0.70 +1.40 +2.10 +2.80 +3.50 }}}}}}}}}

[1] (2023-24 시즌) 여자 선수의 자세 변경&핸드 투 핸드에서 핸드 투 힙으로 홀드 변경(레벨 1)-여자 선수의 어려운 자세(레벨 2)-어려운 한 손 홀드로 2바퀴 회전(레벨 3)-한 손 홀드에서 1바퀴 추가 회전(레벨 4). 여기에 어려운 도입(남자 선수의 스프레드 이글)과 어려운 착지 요건까지 만족하여 가산점을 확보하였다.[2] 최근 몇 시즌 동안은 도약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3] 머리가 위를 향하는 업라이트 유형의 자세이다.[same-arm-hold] 오른손은 상대의 오른손을 잡고 왼손은 상대의 왼손을 잡는 홀드로, 서로 같은 방향을 볼 때 같은 팔 홀드를 하면 팔이 꼬이지 않지만 마주본 상태에서 같은 팔 홀드를 하면 어쩔 수 없이 팔이 꼬인다. 이때 여자 선수가 남자 선수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야 한다면 오른팔이 왼팔의 위로 와야 하며시계 방향의 회전을 원할 때는 왼팔이 오른팔의 위로 와야한다. 바꿔 말하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의도할 때는 양팔을 반시계 방향으로 감아두어야하며 시계 방향의 회전에서는 양팔을 시계 방향으로 감아두고서 도약하고 상승해야한다.[same-arm-hold] [opposite-arm-hold] [7] 최대 3.5회전까지만 허용하는 규정이 있기도 했으나 2024-25 시즌에 사라졌다. 헤당 규정이 있을 당시에 남자 선수가 3.5회전을 넘기면 레벨은 1까지만 받을 수 있었다. 여자 선수가 최소 2회전을 해야하는 규정도 있었으나 역시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