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5 04:53:45

피겨 스케이팅/기술/이나 바우어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3c3b6e,#141425> 피겨 스케이팅 기술 ||
필수 요소
데스 스파이럴 리프트 스텝 시퀀스 스핀
점프 코레오 시퀀스 트위스트 리프트 아이스 댄스 요소
연결 요소
베스티 스쿼트 스파이럴 스프레드 이글 스플릿 점프
왈리 점프 이나 바우어 캔틸레버
이나 바우어
Ina Bauer
파일:차준환 2022사대륙.gif
차준환의 레이백 이나 바우어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유형 연결 요소
창시자 이나 바우어

1. 개요2. 방법3. 기타

[clearfix]

1. 개요

이나바우어는 피겨 스케이팅의 연결 요소이다. 이나 바우어는 발레에서의 4번 포지션에서 따온 기술이며, 발레에서는 이를 캄브레(Cambre)[1]라고 부른다. 이나 바우어라는 명칭은 이 기술을 피겨 스케이팅에서 처음 사용한 독일의 여자 피겨 스케이터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2. 방법

피겨 스케이팅을 할 때 앞에 놓은 다리는 굽히고 뒤에 놓은 다리는 펴서 두 발의 스케이트 날을 평행하게 만든 상태로 빙판을 활주하는 연결 요소이다.[2] 앞발의 엣지가 인 엣지면 인사이드 이나 바우어이고, 아웃 엣지면 아웃사이드 이나 바우어다. 그리고 아웃사이드 이나 바우어가 더 어렵다고 한다. 보통 대부분의 선수들은 등을 뒤로 넘기는데, 레이백 이나 바우어라고 한다.

점프의 도입전 연결 요소로 사용되기도 하며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연결 요소로 사용될 때는 악셀 점프의 도입으로 가장 흔히 사용된다. 김연아는 더블 악셀, 더블 악셀+더블 토룹+더블 룹, 더블 악셀+트리플 토룹 전의 연결 요소로 사용하기도 했다.

차준환의 경우 다른 선수들과는 달리 활주 중 고개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3. 기타



[1] 프랑스어 식 발음으로는 캉브레.[2] 두 발의 에지가 같아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