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Step이 뉴그라운즈에 2013년 2월 15일[1] 발표한 곡.
제목은 '극(Pole)의 정신'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폴터가이스트를 패러디했다는 의견도 있다.
조성은 라단조(D minor)이지만, 빠른 템포로 신나는 느낌을 준다.
2. Geometry Dash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B0FF, #4166F5, #4166F5, #4166F5, #20B0FF)" 스테이지 일람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 ||
1. | 2. | 3. | |
4. | 5. | 6. | |
7. | 8. | 9. | |
10. | 11. | 12. | |
13. | 14. | 15. | |
16. | 17. | 18. | |
19. | 20. | 21. | |
22. | 23. | ||
1. | 2. | 3. | |
1. | 2. | 3. | |
스테이지 문단 참조 | |||
아직 출시되지 않은 레벨은 | |||
| }}}}}}}}}}}} |
Geometry Dash의 스테이지
<rowcolor=#fff>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colcolor=#fff> 레벨 정보 | |
<colbgcolor=#888,#333> 레벨 길이 | 1분 29초 | |
오브젝트 수 | 1,531 | |
업데이트 버전 | 1.0 | |
반영판 | 정식판, Lite판 |
||<-2><tablewidth=100%><tablebgcolor=#f5f5f5,#191919><color=#fff><bgcolor=#aaa,#636363><width=50%> 보상 ||
|| 3 100 | |
<rowcolor=#fff> 노말 모드 | 연습 모드 |
| |
<rowcolor=#fff> 사용된 사운드트랙 | |||||||
Step - Polargeist | |||||||
<rowcolor=#fff> 레벨 순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 Back On Track | → | 3. Polargeist | → | 4. Dry Out |
난이도는 Easy 난이도인 전 단계보다 어렵다.
공중에 떠 있는 노란색 점프링[3]이 첫등장하며, 이 점프링에 닿았을 때 화면을 터치하면 그 상태로 한 번 더 점프를 한다. 다만 땅에서 화면을 꾸욱 누르고 있으면 연속으로 점프하는 것과 달리 얘는 따로따로 터치해야 한다. 특히 연달아서 점프링을 밟을 때 주의.
참고로 비행 모드에서 그냥 바닥에 붙으면 매우 편하게 지나갈 수 있다. 여기엔 약간의 편법이 있는데, 반대로 천장에 붙어서 이동하면 쉽게 코인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가끔 점프하듯이 피해주기만 하면 가볍게 통과. 이런 방법은 앞 두 단계와 다음 단계인 Dry Out까지 통한다. 그 다음부터는 바닥과 천장에 가시가 무조건 있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정직하게 화면 중앙을 날며 장애물을 피해보는 것도 좋다.
이 스테이지에서 점프링을 이용한 페이크를 볼 수 있다.
온라인 레벨로 따지자면 Normal 3성 정도의 난이도이다.
사실상 쉽게 클리어할수 있는 마지노선 단계다. 다음 단계부터는 중력반전이 나와서 난이도가 상승하기 때문.
2.1. 구간
구간은 크게 네 개로 나뉜다.
1. 큐브 구간.
난이도:
이 부분은 어느 정도의 컨트롤만 있어도 편히 넘어갈 수 있는 구간이다. 단 점프링 페이크 하나를 주의하자.
2. 블록이 이리저리 떠 있는 비행 구간.
난이도:
익숙지 못한 사람들은 살짝 당황할 수 있지만, 상술했듯이 천장에 붙어 있다가 블록이 올때마다 살짝 아래로 피해주는 편법이 있다. 그러다보면 첫 번째 코인을 먹을 수 있다. 초보자가 아닌 이상 선호하지는 않는 편이다.
3. 평범한 큐브 구간.
난이도:
BGM이 꽤 흥겨운 부분이다. 1번 구간보다 살짝 어렵지만, 올라가고 내려가는 흐름을 잘 익히면 쉽게 통과 가능. 올라갔다가 내려갈 때는 높은 음이 나온다.
4. 마지막 큐브 구간.
난이도:
곡이 처음 부분으로 돌아간다. 이 구간이 시작되자마자 세 번째 코인을 먹을 수 있다. 마지막에도 점프를 잘못 하게 되면 죽으니 조심하자.
2.2. 비밀 코인
유독 세 번째 코인이 꽤 어려운 편이다.코인난이도:
첫 코인은 등깔기로 이동하는 편법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4] 획득 이후 큐브모드로 돌아가는 포탈이 상당히 가까이 있으므로 중간으로 고도를 맞추며 넘어가자.
코인난이도:
62%쯤에 있다. 납작한 블록 6개 중에서 4번째에서 떨어진 다음 바로 누르면 노란 발판을 밟고 올라갈 수 있다.
코인난이도:
76%에 있는 중력반전발판을 밟고 그대로 올라가서 점프링 한번 밟으면 획득 가능한데, 떨어진 이후 점프링이 바로 연속해서 2번 나온다. 발판도 타이밍이 까다롭고[6] 떨어진 후 바로 다시 점프해야 하는 갑툭튀 패턴이 나오기 때문에 꽤 어려운 편.
2.3. 여담
- Geometry Dash의 공식 트레일러 영상에 사용된 음악이다.
- 원곡을 들어 보면 알겠지만, 루프 음악이며 게임 내의 BGM은 앞부분이 약 6초 잘렸다.
- 맨 처음 가시에서 두 번 죽으면 "Tap while touching a ring to jump mid air"[7] 이라는 문장이 나온다. 이 문장은 Stereo Madness와 마찬가지로 2.1에서 추가된 On Death 트리거를 사용하지 않았고 레벨 자체에 하드코딩되어 들어간 문구이다.
- 극초반에 점프링과 함께 나오는 납작한 가시 4개를 점프링을 밟지 않고 뛰어넘는 게 가능하다. 물론 난이도가 극악이다. 초기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버그였던 데다 어차피 필요없기 때문에 그냥저냥 넘어갔으나, 난이도 인플레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던 2018~2019년에 들어서는 납작한 4단가시가 실제로 극악 맵에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프퍼펙 개념이 정리된 지금은 저 점프가 144프레임 퍼펙트라는 것이 밝혀졌다.
- 게임 내에서 사용될 때 편곡된 부분이 많다. 자르기만 하는 다른 곡과는 달리 처음 부분, 마지막 부분 등 약간 편곡되었다.[8] 심지어 원곡과 스테이지의 bpm이 다르다. 원곡은 155bpm이며 스테이지에선 163bpm. RobTop이 게임에 맞게 노래의 박자를 편곡한 것이다.
- 월드를 제외한 Geometry Dash의 공식맵 중에서 Can't Let Go와 더불어 가장 큐브 모드의 비율이 높은(87%) 스테이지이다.
- 스테이지의 길이는 총 1분 29초로, 무난한 편. 오브젝트 수는 1528개이다.
2.4. Geometry Dash의 건틀렛 맵: DELUXE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33333><tablebgcolor=#333333> 파일:OnlineMenuGMD/Gauntlets.png | 건틀렛 일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0px" {{{#!folding [ PART 1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33333><colcolor=#fff> Fire | |
Ice | | ||||
Poison | | ||||
Shadow | | ||||
Lava | | ||||
Bonus | | ||||
Chaos | | ||||
Demon | |
- [ PART 2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colbgcolor=#333333><colcolor=#fff><width=20%>
Time ||Mind Control
Silence
Timeless
Half Past Twelve
Rose ||
- [ PART 3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colbgcolor=#333333><colcolor=#fff><width=20%>
Forest ||lost in the woods
Honeydew
Twenty Four
Petal Patch
Astralith ||
- [ PART 4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colbgcolor=#333333><colcolor=#fff><width=20%>
NCS I ||BUSSIN
BER ZER KER
Quebrantar
Next Cab Soon
The Incinerator ||
NCS IIWANNACRY
{{{#gray {{{#!folding [ 추가 예정 ]
||Christmas Gauntlet의 수록맵
[include(틀:Geometry Dash/건틀렛 맵,
레이팅=HardEpic, 이름=DELUXE, 유저명양식=by logiking, 유튜브=SInVwGJbQZo, 설명=this is a christmas level
,ID=66057230,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분 7초, 오브젝트수=21\,859, 버전=2.1,
별=5, 코인1=, 오브=175, 다이아몬드=7,
사운드트랙1=Polargeist,
이전문서명=Conceptual Cubes,이전문서문단=2,이전번호=1,이전맵이름=Flight II,
현재번호=2,현재맵이름=DELUXE,
다음문서명=Snowcone,다음문서문단=2,다음번호=3,다음맵이름=Winter Works,
건틀렛이름=Christmas
)]별=5, 코인1=, 오브=175, 다이아몬드=7,
사운드트랙1=Polargeist,
이전문서명=Conceptual Cubes,이전문서문단=2,이전번호=1,이전맵이름=Flight II,
현재번호=2,현재맵이름=DELUXE,
다음문서명=Snowcone,다음문서문단=2,다음번호=3,다음맵이름=Winter Works,
건틀렛이름=Christmas
크리스마스 테마의 모던 그래픽 레벨로 건틀렛 최초로 공식 스테이지 음악을 사용한 맵이다.
난이도는 무난한 5성 난이도이다.
2.4.1. 구간
공식 스테이지 음악을 사용했기 때문인지, 2.1 레벨답지 않게 게임모드 전환이 많지 않은 편이다.1. 큐브 구간 (0~10%) |
비행 모드로 시작하지만 얼마 안 가 큐브 모드로 전환된다. 선물상자들을 밟고 진행하는 구간.
2. 로봇 구간 (10~26%) |
뒤로 판매량으로 보이는 문구들이 지나가더니 그래프가 나타난다. 역시 쉬운 구간인데 15%의 무빙 트리거에 버그가 있어 낮은 확률로 천장의 가시에 박아 죽는 경우가 있다.
3. 비행 구간 (26~46%) |
뒤에서 산타가 물건을 더 사라고 요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4. 볼 구간 (46~61%) |
크리스마스 트리 테마의 구간. 딱히 공략이 필요없는 구간이다. 59%부터는 큐브가 되어 위로 떠오른다.
5. 비행 + 웨이브 구간 (61~81%) |
소형 비행 구간으로 시작하는데 장식볼을 피해주면 된다. 이후 대형 웨이브가 나오는데 원 장식 안의 알록달록한 장애물을 피하면 되며 구름 위의 소형 비행 구간은 눈송이를 피해주면 된다. 막판에는 짧은 큐브가 있는데 화살표친 곳에서 뛰는 것을 잊지 말 것.
6. 엔딩 구간 (81~100%) |
UFO로 시작한다. 크게 어려운 건 없는 구간. 이후 비행 모드는 위아래의 강조선 사이로 지나가야 하며 마지막에는 연타 웨이브로 끝난다.
2.4.2. 유저 코인
유저 코인은 1개인데, 이전 맵인 Flight II만큼이나 끔찍한 코인 난이도를 자랑한다. 단서나 가이드랄 것도 없는데 심지어 코인이 뜨는지의 여부도 운빨이라, 건틀렛 최악의 코인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우선 25%에 있는 하단의 화살표를 건너뛴다. 이건 당연히 쉽다.
문제는 이 다음. 61~76%에 이르는 비행 - 웨이브 - 비행 구간을 클릭으로 진입하는 것까지 포함해서 단 7번의 입력만으로 통과해야 한다. Crystal Gauntlet의 Lustre의 악몽이 떠오르는 구간인데, 다행히 장식볼 피하는 구간만 어렵고 그 뒤로는 쉬운 편이다. 대충 입장 빼고 각각의 모드에서 2번씩 누른다[9]고 생각하자.
이후 81%의 UFO 구간을 맵 중간에 떠있는 > 화살표에 닿지 않고 통과한다. 판정이 후한 편이라 피하기는 쉬울 것이다. 이어지는 비행 구간은 보이는 비행 포탈을 타지 말고 그 위로 통과한다. 상술했듯 천장의 강조선에 닿으면 안 된다.
상술한 행동들을 모두 완수했으면 97%에서 코인이 뿅하고 나타난다. 만약 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건 33%의 확률을 뚫지 못했다는 것이니 아래의 가시에 꼬라박고 레벨을 다시 시작하면 된다.
[1] 한국 시각으로는 2013년 2월 16일.[2] 1.8까지는 어려움(Hard)이었다.[3] 흔히 공점(공중 점프)이라고 불린다.[4] 꾹 눌렀다 떼는 것을 반복하면 된다.[5] 타이밍이 익숙하다면:
[6] 발판 바로 앞쪽의 가시를 3단 가시 넘듯이 넘어가야 한다.[7] 점프링에 닿았을 때 탭해서 점프하라는 의미이다.[8] 원곡을 몇 번 들어보면 알 것이다. 원곡에서 마지막 부분은 점점 작아지면서(페이드 아웃) 끝나지만 게임 내에서는 앞부분과 동일하게 마무리된다.[9] 비행 모드에서 꾹 눌러서 웨이브 모드로 진입하는 것은 입력 카운트가 올라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