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11:51:29

포코냥

후지코 후지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물 <colbgcolor=#ffffff,#1f2023>후지코 F. 후지오 · 후지코 후지오 A
공동 작품 오바케의 Q타로 (1964–1974)
F의 작품 퍼맨 (1966–1986) · 21에몬(1968–1969) · 우메보시 덴카(1968–1970) · 도라에몽 (1969–1996) · 우주에서 온 모자코 (1969–1970) · 키테레츠 대백과 (1974–1977) · 포코냥 (1975–1978) · 에스퍼 마미 (1977–1978) · T・P본(1978–1986) · 침푸이 (1985–1991)
A의 작품 닌자 핫토리군 (1964–1988) · 괴물군 (1965–1982) · 웃는 세일즈맨 (1968–1995) · 쿠로베에(1969–1970) · 비리켄 (1969) · 프로골퍼 사루 (1974, 1975–1978) · 울트라B (1987–1989) · 파라솔 헨베에 (1989–1991) · 마타로가 온다! · 만화의 길
관련 문서 후지코 F. 후지오 뮤지엄 · 후지코 프로
}}}}}}}}} ||
포코냥
ポコニャン
<nopad> 파일:attachment/포코냥/Example.jpg
장르 SF, 코미디
작가 후지코 F. 후지오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 우시오슛판샤
연재처 희망의 친구[1]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 희망 코믹스
연재 기간 1975년 4월호 ~ 1978년 5월호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2권 (1978. 12. 20. 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등장인물3. 미디어 믹스
3.1. 애니메이션
3.1.1. 주제가3.1.2. 해외 공개
3.1.2.1. 대한민국

[clearfix]

1. 개요

1975~1978년 도라에몽의 작가 후지코 F. 후지오가 연재한 만화.

뭔가 대단한 능력을 가진 말 하는 생물이 주인공을 도와준다는 도라에몽 타입의 클리셰의 정석대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2. 등장인물

나머지 성우: 유승화

3. 미디어 믹스

3.1. 애니메이션

포코냥! (1993~1996)
ポコニャン!
Pokonyan!
파일:포코냥 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원작 후지코 F. 후지오
총감독 사사가와 히로시
시리즈 구성 유키무로 슌이치(雪室俊一)
감독 하라 세이타로(原征太郎)
캐릭터 디자인 하시모토 토요코(橋本とよ子)
미술 감독 우치다 요시유키(内田好之)
촬영 감독 우스이 히사오(白井久男)
편집 타카야마 마치에코(高山智江子)
사카모토 마사노리(坂本雅紀)
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아오키 마사코(青木正子)
음향 감독 야마다 에츠지(山田悦司)
음악 아이라 마사에(相良まさえ)
미야하라 케이타(宮原恵太)
애니메이션 제작 애니메이션 21(アニメーション21)
소학관
일본 해럴드 영화(日本ヘラルド映画)
제작 NHK
방영 기간 1993. 04. 05. ~ 1996. 3. 3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NHK 종합 텔레비전NHK 교육 텔레비전
(월~금) 17:50 → (월~금) 17: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챔프TV
파일:투명.png 애니원
파일:투명.png 카툰네트워크
편당 러닝타임 10분
화수 전170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이상 시청가
}}}}}}}}}}}} ||

NHK 종합 텔레비전[9], NHK 교육 텔레비전[10]에서 1993년 4월 5일 부터 1996년 3월 30일까지 애니화하여 방영했다. 애니메이션 특징으로는 이전 작가의 작품(도라에몽)과의 차별성을 위해 원작에서 포코냥의 존재나 신기한 능력만을 계승하여 제작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작품이라는 점이다. 전 170화로 총 감독은 사사가와 히로시, 감독은 하라 세이타로(原征太郎),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애니메이션 21.[11]

참고로 원작과 애니메이션판의 주인공이 다른데, 원작의 주인공은 '타로'(太郎)라는 안경 벗은 노진구를 닮은 소년이다.

3.1.1. 주제가


* 오프닝 테마 賽は投げられた (1~170화)
* 작사, 작곡: 타치카와 토시유키(立川俊之)
* 편곡, 노래: 소중한 MAN 브라더즈 밴드(大事MANブラザーズバンド)

3.1.2. 해외 공개

3.1.2.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챔프TV, 애니원에서 2008년에 방영되었고, 5년 후인 2013년에 카툰네트워크에서 다시 방영되었다. 포코냥과 미키 역으로 원로급 성우인 안정현, 주희[12]가 캐스팅되어, 1970~80년대의 만화영화를 기억하는 30대 이상의 시청자들이라면 잠깐 옛 시절을 추억할 수 있을 듯.[13] 한편 나머지 배역은 비교적으로 경력이 다소 적은 중견 성우인 서윤석과 경력이 매우 적은 신인급 성우들로 구성되었다.
현재를 기준으로 주희 성우의 마지막 일본 애니메이션 출연작이다. 그러나 현재 오프닝과 엔딩을 제외한 남아있는 더빙판이 없다.


[1] 현 코믹 톰[2] 같은 곳에서 방영한 아이들의 장난감에 출연한 적이 있다.[3] XXX에 필요한 초능력을 넣어 말해서 발휘한다.[4] 미키가 남자들을 신뢰하지 못해 남자들을 없애달라고 하자 남자들을 빨아들이는 청소기가 포코냥까지 빨아들였다.[5] 정말 간만에 나온 애니메이션 출연작이다.[6] 미국으로 유학 가려던 에피소드에선 포코냥에게 기본적이긴 하지만 영어를 가르치기도 했다.[7] 성우는 토모에 세이코 / 유승화.[8] 이런 면모에서는 오히려 강기태를 닮았다.[9] 1994년 4월 1일 방영분까지[10] 1994년 4월 4일 방영분부터[11] 쇼가쿠칸, 일본 헤럴드 영화도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였지만 두 회사 모두 직접적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회사가 아니다.[12] 두 성우 모두 1968년 데뷔. (안정현은 MBC 3기, 주희는 TBC 4기로 먼저 데뷔했다가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KBS 10기로 편입)[13] 그러나 안정현이 훗날 하트캐치 프리큐어!에 출연함으로서 다시 대원방송에 모습을 드러냈지만, 주희는 이 작품을 끝으로 애니메이션 출연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