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코 후지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인물 | <colbgcolor=#ffffff,#1f2023>후지코 F. 후지오 · 후지코 후지오 A |
공동 작품 | 오바케의 Q타로 (1964–1974) | |
F의 작품 | 퍼맨 (1966–1986) · 21에몬(1968–1969) · 우메보시 덴카(1968–1970) · 도라에몽 (1969–1996) · 우주에서 온 모자코 (1969–1970) · 키테레츠 대백과 (1974–1977) · 포코냥 (1975–1978) · 에스퍼 마미 (1977–1978) · T・P본(1978–1986) · 침푸이 (1985–1991) | |
A의 작품 | 닌자 핫토리군 (1964–1988) · 괴물군 (1965–1982) · 웃는 세일즈맨 (1968–1995) · 쿠로베에(1969–1970) · 비리켄 (1969) · 프로골퍼 사루 (1974, 1975–1978) · 울트라B (1987–1989) · 파라솔 헨베에 (1989–1991) · 마타로가 온다! · 만화의 길 | |
관련 문서 | 후지코 F. 후지오 뮤지엄 · 후지코 프로 |
포코냥 ポコニャン | |
<nopad> | |
장르 | SF, 코미디 |
작가 | 후지코 F. 후지오 |
출판사 | |
연재처 | 희망의 친구[1] |
레이블 | |
연재 기간 | 1975년 4월호 ~ 1978년 5월호 |
단행본 권수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1975~1978년 도라에몽의 작가 후지코 F. 후지오가 연재한 만화.뭔가 대단한 능력을 가진 말 하는 생물이 주인공을 도와준다는 도라에몽 타입의 클리셰의 정석대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2. 등장인물
- 포코냥
성우 : 미타 유코 / 안정현[2]포코포코 포코링 파워~ 냥~! XXX 포코링~![3]
이 만화의 주인공. "포코냥 나라"에서 온 너구리인지 고양이인지 분간이 안 가는 생물. 수컷이다.[4] 도구를 쓰는 도라에몽과는 달리 포코링 파워라는 꼬리를 이용한 신비한 힘을 사용해서 일을 해결한다. "~다냥"이라는 식의 말투를 쓰지만, 미키에게만 그렇게 들리고 다른 사람에게는 "포코냥", "냥"이라고만 들리기에 포코냥의 비밀을 아는 사람은 미키와 미키의 외할아버지인 겐노스케 밖에 없다. 언제나 미키한테 문제가 생기면 포코냥이 자진해서 도와주는 게 일상이지만 그래도 미키가 노진구처럼 찌질하지는 않아서 미키의 뒷수습을 하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포코링 파워를 쓰다가 잘못되는 바람에 미키를 쩔쩔매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 타로
원작에서만 등장하는 주인공.
- 코노하 미키(고아라)
성우 : 히라마츠 아키코 / 주희[5]
도라에몽의 진구 포지션에 해당하는 캐릭터로 초등학생 여자아이. 공원을 지나가다가 우연히 포코냥을 만나 더부살이를 시켜준다. 공부하기를 싫어하고 말괄량이지만, 그래도 문제가 심각한 노진구와는 달리 무난한 상식인에 속한다.[6] 작중 묘사상, 손고자 속성이 있다.
- 코노하 시게루
성우: 에바라 마사시 / 현경수
미키의 아빠. 회사원으로 성격은 상냥하고 좋지만 요리치, 음치, 운동치라는 삼단 콤보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보다 못한 미키와 포코냥이 포코링 파워로 해결하려다 발생하는 에피소드들도 있을 정도.
- 코노하 야스히코
성우: 서윤석
미키의 할아버지.
- 하나다 키쿠노스케(순구)
성우 : 사쿠라이 토시하루 / 곽윤상
퉁퉁이 포지션. 하지만 난폭한 퉁퉁이와는 달리 먹성만 좋을 뿐, 순박하고 착한 성격이라 전혀 닮지 않았다. 맨날 어머니 안 도와주고 땡땡이나 치는 퉁퉁이와는 달리 어머니[7]의 꽃집 일도 도와주는 등 성실하다. 가끔씩 3인칭화를 쓰기도 한다.
- 히노키 슈사쿠(경태)
성우 : 카시와쿠라 츠토무 / 홍범기
비실이 포지션. 발명가 속성이 있다.[8] 허구한 날 진구 뒤통수를 치거나 약을 올리는 비실이와는 달리 이쪽은 미키하고 친하다. 유우가 제멋대로 굴어서 고생을 많이 하기도 한다.
- 히노키 유우(심순)
성우 : 코바야시 유코 / 김은아
전술한 슈사쿠의 여동생. 퉁순이 포지션의 유치원생. 이 만화의 히로인(?). 철없는 여자아이로, 포코냥을 냥포코라고 부르면서 못살게 군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쪽이 퉁퉁이 포지션일지도. 하지만 포코냥이 남자아이로 변신했을 때는 한눈에 반해 상사병에 걸리기도 했다.
- 사쿠라이 아타리(예지)
성우: 시라이시 아야코 / 이민하
미키의 같은 반 친구인 여자아이. 얌전한 성격으로 점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참고로 아타리는 일본어로 점괘를 의미하며 더빙판의 로컬라이징 또한 이러한 점을 반영한 것인 듯하다.
나머지 성우: 유승화
3. 미디어 믹스
3.1. 애니메이션
포코냥! (1993~1996) ポコニャン! Pokonyan! | |||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원작 | 후지코 F. 후지오 | |
총감독 | 사사가와 히로시 | ||
시리즈 구성 | 유키무로 슌이치(雪室俊一) | ||
감독 | 하라 세이타로(原征太郎) | ||
캐릭터 디자인 | 하시모토 토요코(橋本とよ子) | ||
미술 감독 | 우치다 요시유키(内田好之) | ||
촬영 감독 | 우스이 히사오(白井久男) | ||
편집 | 타카야마 마치에코(高山智江子) 사카모토 마사노리(坂本雅紀) 모리타 세이지(森田清次) 아오키 마사코(青木正子) | ||
음향 감독 | 야마다 에츠지(山田悦司) | ||
음악 | 아이라 마사에(相良まさえ) 미야하라 케이타(宮原恵太) | ||
애니메이션 제작 | 애니메이션 21(アニメーション21) 소학관 일본 해럴드 영화(日本ヘラルド映画) | ||
제작 | NHK | ||
방영 기간 | 1993. 04. 05. ~ 1996. 3. 30. | ||
방송국 | (월~금) 17:50 → (월~금) 17:25 | ||
편당 러닝타임 | 10분 | ||
화수 | 전170화 | ||
시청 등급 |
NHK 종합 텔레비전[9], NHK 교육 텔레비전[10]에서 1993년 4월 5일 부터 1996년 3월 30일까지 애니화하여 방영했다. 애니메이션 특징으로는 이전 작가의 작품(도라에몽)과의 차별성을 위해 원작에서 포코냥의 존재나 신기한 능력만을 계승하여 제작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작품이라는 점이다. 전 170화로 총 감독은 사사가와 히로시, 감독은 하라 세이타로(原征太郎),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애니메이션 21.[11]
참고로 원작과 애니메이션판의 주인공이 다른데, 원작의 주인공은 '타로'(太郎)라는 안경 벗은 노진구를 닮은 소년이다.
3.1.1. 주제가
* 오프닝 테마 賽は投げられた (1~170화)
* 작사, 작곡: 타치카와 토시유키(立川俊之)
* 편곡, 노래: 소중한 MAN 브라더즈 밴드(大事MANブラザーズバンド)
* 편곡, 노래: 소중한 MAN 브라더즈 밴드(大事MANブラザーズバンド)
- 엔딩 테마 1 おやじと話す (1~5화, 13~23화)
- 작사, 작곡: 타치카와 토시유키(立川俊之)
- 편곡, 노래: 소중한 MAN 브라더즈 밴드(大事MANブラザーズバンド)
- 엔딩 테마 2 幸福(しあわせ)のプレゼント (6 - 8、24 - 28、34 - 38、76、83、91、95、99、103、108、115、124、128、131、138、143、144、147、155、162화)
- 작사: 오이카와 네코(及川眠子)
- 작곡: 야마구치 미오코(山口美央子)
- 편곡: 야마나카 노리마사(山中紀昌)
- 노래: CHIHARU
- 엔딩 테마 3 けっこんしようよ (9 - 12、29 - 33、77、80、102、106、114、125、137、149、150、157、160、164、166화)
- 작사, 작곡, 편곡, 노래: MOONCATS
- 엔딩 테마 4 湯あがりハッスル (39 - 46、60、67、78、82、85 - 87、89、93、94、97、98、100、105、110、116、119 - 122、126、130、133、134、136、159、161、163、167、170화)
- 작사: 사이키 카오리(彩木香)
- 작곡: 오사나이 사토루(長内悟)
- 편곡: 후지와라 이쿠로(藤原いくろう)
- 노래: YUKA
- 엔딩 테마 5 ポコニャラ音頭 (47 - 59、61 - 66、68 - 75、79、81、84、88、90、92、96、101、104、107、109、111 - 113、117、118、123、127、129、132、135、139 - 142、145、146、148、151 - 154、156 - 158、165、168、169화)
- 작사: 후지코 F. 후지오
- 작곡, 편곡: 아카사카 토오루(赤坂東児)
- 노래: 린ㆍMㆍ해리스(リン・M・ハリス)
3.1.2. 해외 공개
3.1.2.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챔프TV, 애니원에서 2008년에 방영되었고, 5년 후인 2013년에 카툰네트워크에서 다시 방영되었다. 포코냥과 미키 역으로 원로급 성우인 안정현, 주희[12]가 캐스팅되어, 1970~80년대의 만화영화를 기억하는 30대 이상의 시청자들이라면 잠깐 옛 시절을 추억할 수 있을 듯.[13] 한편 나머지 배역은 비교적으로 경력이 다소 적은 중견 성우인 서윤석과 경력이 매우 적은 신인급 성우들로 구성되었다.현재를 기준으로 주희 성우의 마지막 일본 애니메이션 출연작이다. 그러나 현재 오프닝과 엔딩을 제외한 남아있는 더빙판이 없다.[1] 현 코믹 톰[2] 같은 곳에서 방영한 아이들의 장난감에 출연한 적이 있다.[3] XXX에 필요한 초능력을 넣어 말해서 발휘한다.[4] 미키가 남자들을 신뢰하지 못해 남자들을 없애달라고 하자 남자들을 빨아들이는 청소기가 포코냥까지 빨아들였다.[5] 정말 간만에 나온 애니메이션 출연작이다.[6] 미국으로 유학 가려던 에피소드에선 포코냥에게 기본적이긴 하지만 영어를 가르치기도 했다.[7] 성우는 토모에 세이코 / 유승화.[8] 이런 면모에서는 오히려 강기태를 닮았다.[9] 1994년 4월 1일 방영분까지[10] 1994년 4월 4일 방영분부터[11] 쇼가쿠칸, 일본 헤럴드 영화도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였지만 두 회사 모두 직접적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회사가 아니다.[12] 두 성우 모두 1968년 데뷔. (안정현은 MBC 3기, 주희는 TBC 4기로 먼저 데뷔했다가 1980년 언론통폐합 이후 KBS 10기로 편입)[13] 그러나 안정현이 훗날 하트캐치 프리큐어!에 출연함으로서 다시 대원방송에 모습을 드러냈지만, 주희는 이 작품을 끝으로 애니메이션 출연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