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navy> | 럭비 유럽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 | <colbgcolor=#fff> 네덜란드 | | <colbgcolor=#fff> 노르웨이 | | <colbgcolor=#fff> 덴마크 | | <colbgcolor=#fff> 독일 |
| 라트비아 | | 루마니아 | | 러시아제명 | | 룩셈부르크 | |
| 리투아니아 | | 리히텐슈타인 | | 모나코 | | 몬테네그로 | |
| 몰도바 | | 몰타 | | 벨기에 | | 벨라루스제명 |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불가리아 | | 산마리노 | | 세르비아 | |
| 스코틀랜드 | | 슬로바키아 | | 슬로베니아 | | 스웨덴 | |
| 스위스 | | 스페인 | | 아이슬란드 | | 아일랜드 | |
| 안도라 | | 에스토니아 | | 오스트리아 | | 우크라이나 | |
| 웨일스 | | 이스라엘 | | 이탈리아 | | 잉글랜드 | |
| 조지아 | | 체코 | | 크로아티아 | | 코소보 | |
| 키프로스 | | 튀르키예 | | 포르투갈 | | 폴란드 | |
| 프랑스 | | 핀란드 | | 헝가리 | |||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6개국) | ||||||||
|
| |
포르투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
Portugal national rugby union team Seleção Portuguesa de Rugby | |
별칭 | 우스 로부스(Os Lobos)[1] |
소속단체 | 포르투갈 럭비 연맹 (FPR) |
감독 | |
주장 | 토마스 애플톤 (Tomás Appleton) |
최다 출전 | 곤살루 우바 (Gonçalo Uva) 바스쿠 우바 (Vasco Uva)101회 |
최다 득점 | 곤살루 말레이루 (Gonçalo Malheiro)279점 |
최다 트라이 | 호드리구 마르타 (Rodrigo Marta)31회 |
홈 경기장 | - |
첫 국제경기 | vs 스페인 (5:6)1935년 4월 13일 |
최대 승리 | vs 체코 (93:0)2019년 3월 23일 |
최대 패배 | vs 아일랜드 (7:106)2025년 7월 12일 |
럭비 월드컵 | 3회 진출 최고 조별리그 |
세계 랭킹 | 최고 13위(2024) / 최저 30위(2016) |
역대 전적 | 335전 143승 18무 174패(42.7%) |
1. 개요
포르투갈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2020년 전까지는 유럽에서 조지아, 루마니아, 스페인에 밀려 월드컵에 얼굴을 비추지 못하는 별볼일 없는 팀이었으나, 최근 전력이 빠르게 상승하며 2023 럭비 유럽 챔피언십에서 루마니아, 폴란드, 벨기에를 모두 꺾고 조 1위를 차지, 18년만에 월드 럭비 랭킹 16위를 탈환했다. 준결승에서 스페인마저 꺾으며 유럽 2인자로 우뚝 섰고, 결승전에선 조지아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루마니아와 스페인을 극복한 것도 2020년 이후의 일로, 상대전적을 보면 알겠지만 라이벌은 커녕 상대도 되지 않았다. 나미비아도 이기기 힘들었으니 말 다했다.
장래가 기대되는 팀이고 2023 럭비 월드컵 본선에도 진출해 있지만 랭킹 상으로는 현시점 15위인 통가와 점수차가 5점 가까이 나서 올해 안에 더 높은 순위로 올라가기 힘들어 보인다. 그런데 월드컵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랭킹 점수가 13점이나 높은 피지에 기적적인 승리를 거두며 13위로 3단계 약진한다. 대부분이 아마추어로 구성된 대표팀으로 프로 대표팀을 이긴다는 것이 말이 안되는데, 그걸 실현한 것이다. 무한한 잠재력을 지녔는데 대표팀이 100% 프로로 상향평준화되면 상당히 무서운 팀이 될 듯.
이런 기념비적인 업적을 세우고 귀국했을 때 수천 명의 사람들이 공항에 모여 대표팀을 환영했다.영상 또한 주장이었던 토마스 애플톤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유니폼을 교환했다.
이러한 호성적에 힘입어 팀의 체급이 유럽 2티어의 변방에서 1.5티어를 노리는 팀으로 순식간에 올라갔으며, 2024년 봄엔 잉글랜드 2군을, 그리고 여름 투어에선 스프링복스를 상대했다. 월드컵 본선에 막차로 합류했던 팀이 겨우 1년 뒤 우승팀과 겨룬다는 것은 좀처럼 있기 힘든 일이다. 물론 결과야 뻔하지만 2티어 국가들에게 많은 기회가 주어지는 것은 항상 옳은 일이다.
그러나 위에 말한 금자탑을 세운 감독 파트리스 라지스케가 떠난 뒤 귀신같이 원래 실력으로 돌아왔다(...) 2024 럭비 유럽 챔피언십에서 벨기에에 패배, 스페인에 진땀승, 조지아에 완패라는 성적표를 받아들며 작년의 성과가 말짱 도루묵이 되고 말았다.
2. 역대 전적
2025 럭비 유럽 챔피언십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2.1. 감독별 전적
||<tablebordercolor=#da291c><rowbgcolor=#da291c><rowcolor=#fff> 이름 || 기간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파트리스 라지스케 시대에 이르러 포르투갈은 실력이 날로 상승하며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당시엔 조지아와 맞먹었으며, 이탈리아나 사모아같은 1.5티어 팀과도 할만 하다는 것을 2023 럭비 월드컵을 통해 증명해냈다. 그런데 월드컵 이후 라지스케 감독의 임기가 끝나면서 성장 동력을 잃었다. 후임으로 CA 브리브, ASM 클레르몽 선수 출신인 세바스티앙 베르트랑이 내정되었지만, 1달만에 감독직을 사임하며 다시 대표팀은 갈피를 잃고 말았다. 라지스케 밑에서 수석 코치를 하던 다니엘 오우르카데 대행 체제로 어찌어찌 2024 럭비 유럽 챔피언십을 치르고, 그 뒤로 비아리츠 올랭피크 감독이었던 사이먼 매닉스가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정식 감독이 취임한 것은 반갑지만, 비아리츠의 성적이 강등권을 간신히 면할 정도로 좋지 않았기 때문에 라지스케만큼의 성과는 내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3.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 |||
<rowcolor=#046a38> 연도 | 개최국 | 최종 순위 | 비고 |
<rowcolor=#000> 1987 | 미초청 | ||
1991 | | ||
1995 | | 유럽 7위 | |
1999 | | 패자부활전 | |
2003 | | ||
2007 | 조별리그 | 조별리그 4전 전패 | |
2011 | | ||
2015 | | 유럽 5위 | |
2019 | | 유럽 3위 | |
2023 | 조별리그 | 조 4위 | |
2027 |
2007년 이후 번번히 유럽 예선을 통과하지 못하다가 2022년 예선인 럭비 유럽 인터네셔널 챔피언십에서도 4위를 했는데... 스페인이 선수 기용 관련 부정을 저질러 징계를 받으면서 탈락했고, 어부지리로 포르투갈이 대륙간 최종전에 진출했다. 여기서 홍콩, 케냐를 크게 꺾고 미국과 무승부, 득실차에서 미국에 앞서서 결국 2023년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서도 라이벌이자 벽이었던 조지아와 무승부를 내고 전성기인 피지를 24:23으로 꺾으며 최고의 시기를 누렸다.
2023년 대회가 얼마나 극적이었는지 설명하자면, 예선 도중 상위 팀의 부정행위가 적발되어 어부지리로 '대륙간 최종전'에 진출해서, 3라운드 중 '마지막 경기'에 미국을 상대로 '80분을 넘긴 시점'에 '동점 페널티 골'을 성공하여 본선 막차를 탔고, 본선에서도 4경기 중 '마지막 경기'에서 극적으로 '마지막 순간'에 역전 페널티 킥을 성공하여 승리한 것이다.
럭비 유럽 챔피언십 (2000 ~ ) | ||||||
<rowcolor=#046a38> 주요 참가국 | 우승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17회 | 130전 | 112승 | 5무 | 13패 | 86.2% | |
5회 | 130전 | 88승 | 2무 | 40패 | 67.7% | |
1회 | 115전 | 52승 | 4무 | 59패 | 45.2% | |
108전 | 54승 | 3무 | 51패 | 50% | ||
120전 | 49승 | 4무 | 67패 | 40.8% | ||
45전 | 12승 | 1무 | 32패 | 26.7% | ||
40전 | 10승 | 30패 | 25% | |||
50전 | 6승 | 1무 | 43패 | 12% |
3.1.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f> 상대국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2전 | 2패 | 0% | |||
2전 | 2패 | 0% | |||
2전 | 2패 | 0% | |||
1전 | 1패 | 0% | |||
1전 | 1패 | 0% | |||
1전 | 1패 | 0% | |||
1전 | 1패 | 0% | |||
1전 | 1패 | 0% | |||
1전 | 1패 | 0% | |||
13전 | 1승 | 1무 | 11패 | 7.7% | |
27전 | 4승 | 4무 | 19패 | 14.8% | |
5전 | 1승 | 1무 | 3패 | 16.7% | |
31전 | 6승 | 25패 | 19.4% | ||
5전 | 1승 | 4패 | 20% | ||
21전 | 6승 | 1무 | 14패 | 28.6% | |
10전 | 3승 | 7패 | 30% | ||
42전 | 13승 | 2무 | 27패 | 31.0% | |
9전 | 3승 | 6패 | 33.3% | ||
3전 | 1승 | 2패 | 33.3% | ||
9전 | 3승 | 6패 | 33.3% | ||
4전 | 2승 | 2패 | 50% | ||
14전 | 7승 | 2무 | 5패 | 50% | |
13전 | 8승 | 5패 | <colcolor=green> 61.5% | ||
3전 | 2승 | 1패 | 66.7% | ||
18전 | 12승 | 2무 | 4패 | 66.7% | |
3전 | 2승 | 1패 | 66.7% | ||
3전 | 2승 | 1무 | 66.7% | ||
6전 | 4승 | 2무 | 66.7% | ||
12전 | 9승 | 3패 | 75% | ||
17전 | 13승 | 1무 | 3패 | 76.5% | |
5전 | 4승 | 1패 | 80% | ||
1전 | 1승 | 100% | |||
2전 | 2승 | 100% | |||
2전 | 2승 | 100% | |||
2전 | 2승 | 100% | |||
2전 | 2승 | 100% | |||
3전 | 3승 | 100% | |||
4전 | 4승 | 100% | |||
7전 | 7승 | 100% | |||
12전 | 12승 | 100% |
4. 개인 기록
현역은 볼드체<rowcolor=#fff> 타이틀 | 이름 | 포지션 | 기록 | 기간/시점 | 비고 |
최다 출전 | 바스쿠 우바 곤살루 우바[2] | No.8 록 | 101회 | 2003~2016 2004~2018 | |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 토마스 애플톤 | 센터 | 40회 | 2019~ | |
최다 트라이 | 호드리구 마르타 | 윙 | 31회 | 2018~ | |
최다 득점 | 곤살루 말레이루 | 플라이하프 | 279점 | 1998~2007 | |
한 경기 최다 득점 | 티에히 테이셰이라 | 플라이하프 | 30점 | 2000.2.8 | vs 조지아 |
한 경기 최다 트라이 | 하파엘 스토르티 | 윙 | 5회 | 2021.7.10 | vs 네덜란드 |
5.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 | 포르투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46a38> 포지션 | 소속팀 | 이름 | 출전 | 비고 | |
후커 (4) | | | 루카 베직 Luka Begic | 8회 | ||
| | 루카스 다실바 Lucas Da Silva | - | 프랑스인[1] | ||
| GDS 카스카이스 | 산티아구 로페스 Santiago Lopes | 1회 | |||
| | 페드루 비센트 Pedro Vicente | 7회 | |||
프롭 (7) | | | 다비드 코스타 David Costa | 30회 | ||
| | 아벨 다쿠냐 Abel da Cunha | 6회 | |||
| | 디오구 아스 페헤이라 Diogo Hasse Ferreira | 44회 | 프랑스인[2] | ||
| 알코벤다스 럭비 | 안토니우 마샤두 António Machado | 8회 | |||
| SL 벤피카 | 마르시우 피녜이루 Márcio Pinheiro | - | |||
| | 안토니우 프링 António Prim | 10회 | |||
| | 코디 토마스 Cody Thomas | 3회 | 남아공인[3] | ||
록 (5) | | | 마르팅 벨루 Martim Belo | 13회 | ||
| RC 오를레앙 | 스테비 세르케이라 Steevy Cerqueira | 40회 | 프랑스 출신 | ||
| AEIS 아그로노미아 | 안토니우 헤벨루 드안드라드 António Rebelo de Andrade | 3회 | |||
| AEIS 아그로노미아 | 주제 헤벨루 드안드라드 José Rebelo de Andrade | 23회 | |||
| | 두아르트 토르갈 Duarte Torgal | 24회 | |||
백 로우 (7) | | CDUL | 바스쿠 밥티스타 Vasco Baptista | 10회 | ||
| | 페데리쿠 쿠투 Frederico Couto | 3회 | |||
| | 안드레 다쿠냐 André da Cunha | 2회 | |||
| | 주앙 그라나트 João Granate | 40회 | |||
| | 주앙 마데이라 José Madeira | 39회 | |||
| | 니콜라스 마르팅스 Nicolas Martins | 18회 | 프랑스 출신 | ||
| | 디에구 피녜이루 루이스 Diego Pinheiro Ruiz | 6회 | |||
스크럼 하프 (5) | | | 우구 카마슈 Hugo Camacho | 8회 | ||
| | 안토니우 캄푸스 António Campos | 1회 | |||
| RC 바생 다르카숑 | 엔주 로페스 Enzo Lopes | - | |||
| | 페드루 루카스 Pedro Lucas | 22회 | |||
| | 사뮈엘 마르케 Samuel Marques | 25회 | 프랑스인[4] | ||
플라이 하프 (3) | | | 우구 아우브리 Hugo Aubry | 6회 | ||
| | 도밍구스 카브랄 Domingos Cabral | 3회 | |||
| | 마누엘 바레이루 Manuel Vareiro | 2회 | |||
센터 (4) | | | 토마스 애플톤 Tomás Appleton | 73회 | 주장 | |
| SC 알비 | 가브리엘 아비라그네트 Gabriel Aviragnet | - | |||
| | 바스쿠 레이트 Vasco Leite | - | |||
| | 주제 리마 José Lima | 64회 | |||
윙 (5) | | CDUL | 파비우 콘세이상 Fábio Conceição | 2회 | ||
| | 루카스 마르팅스 Lucas Martins | 4회 | |||
| | 주제 파이바 두스산투스 José Paiva dos Santos | 7회 | |||
| CDUL | 세바스티앙 스틸웰 Sebastião Stilwell | - | |||
| | 하파엘 스토르티 Raffaele Storti | 28회 | |||
풀백 (2) | | | 시망 벤투 Simão Bento | 13회 | ||
| AEIS 아그로노미아 | 마누엘 카르도주 핀투 Manuel Cardoso Pinto | 39회 | |||
2024 가을 투어 선수단 (11월 4일 기준) | ||||||
감독: 사이먼 매닉스 (Simon Mannix) 홈 경기장: - | }}}}}}}}}}}} |
6. 둘러보기
| ||||
2025 럭비 유럽 챔피언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