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17:15:09

평행우주 파우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메인 유니버스의 파우더/징크스}}}에 대한 내용은 [[징크스(아케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징크스(아케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징크스(아케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메인 유니버스의 파우더/징크스: }}}[[징크스(아케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징크스(아케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징크스(아케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arcane_dark_logo.svg

주요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징크스(아케인)|
파일:Icon2_Jinx.png
]]
[[바이(아케인)|
파일:Icon2_Vi.png
]]
[[제이스(아케인)|
파일:Icon2_Jayce.png
]]
[[케이틀린(아케인)|
파일:Icon2_Caitlyn.png
]]
징크스 바이 제이스 케이틀린
[[빅토르(아케인)|
파일:Icon2_Viktor.png
]]
[[멜(아케인)|
파일:Icon2_Mel.png
]]
[[실코|
파일:Icon_Silco.png
]]
[[밴더|
파일:Icon_Vander.png
]]
빅토르 실코 밴더
[[에코(아케인)|
파일:Icon2_Ekko.png
]]
[[세비카|
파일:Icon2_Sevika.png
]]
[[하이머딩거(아케인)|
파일:Icon2_Heimerdinger.png
]]
[[암베사(아케인)|
파일:Icon2_Ambessa.png
]]
에코 세비카 하이머딩거 암베사
이 외에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
마법 수정 마법사신지드 | 워윅이샤르블랑 | 평행우주 파우더
}}}}}}}}} ||

<colbgcolor=#00001e><colcolor=#d1b58c> 아케인의 등장인물
파우더
Powder
<nopad> 파일:평행세계powder1.jpg
본명 파우더
Powder
신장 약 140cm(유년기) → 160cm(현재)[1]
나이 19세[2]
별자리 물병자리
가족 관계 코놀 · 펠리시아 (친부모)
밴더 · 실코[3] (양부)
바이 (친언니)
소속 평행 우주의 자운[4]
성우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엘라 퍼넬
미아 싱클레어 제니스 (유년기)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한채언[a]
장미 (유년기)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우에사카 스미레[a]
타마노 루나 (유년기)
테마곡 Ma Meilleure Ennemie

1. 개요2. 작중 행적3. 인간 관계4. 평가5. 기타

1. 개요

Sometimes taking a leap forward means... leaving a few things behind
가끔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뭔가를 두고 가야 하거든

아케인 시즌 2 7화 中

애니메이션 TV 드라마 《아케인》의 등장인물.

징크스가 되지 않은 평행 우주의 파우더다.

2. 작중 행적

파일:평행파우더1.jpg
You know those ugly twins, genius and madness.
원래 천재성이랑 광기는 항상 붙어 다니잖아요.
아케인 시즌 2 7화에서 에코하이머딩거가 떨어진 평행 우주의 파우더로 등장한다. 에코는 파우더를 보자마자 물건을 던지며 적대하는데 파우더는 에코를 그저 프로젝트 때문에 정신 없어서 그러는 거라고 착각한다.[7]

이후에 밴더가 운영하는 '마지막 한 잔'으로 가지만 에코의 이상증세는 계속되고 파우더는 자신을 믿으라면서 안심시키지만 오히려 역효과만 불러일으킨다. 이때 메인 유니버스에서 징크스에 의해 사망한 마일로클레거가 다가오고 에코는 크게 놀란다. 클레거는 골짜기 가스를 정화하는 데 애를 먹는다며 토로하고, 마일로는 바에서 일하는 게르트에 관심을 보인다. 마일로가 게르트와 대화하려고 자리를 떠나자 파우더가 따라가서 마일로를 도와준다.[8][9]
파일:평행파우더2.jpg
Vander: What would they do without you?
밴더: 쟤들은 너 없으면 안돼

Powder: There would probably be some arm-flailing.
파우더: 나 없으면 모두 다 허수아비잖아요

Vander: You know, one thing I learned as a bartender: As good as it feels to pour everyone's drink, you need to fill your own cup every now and again.
밴더: 저기 말이다, 그동안 바텐더로 일하면서 배운 건데 모두의 잔을 채워 주는 것도 좋지만 때로는 내가 가진 잔도 채워 줘야 돼

Powder: Let me guess. You think I'm holding my self back.
파우더: 지금 그말은 내가 자신을 억누른다는 거죠?

Vander: I think you're too smart to spend your life in a bar.
밴더: 내 생각엔 말이다. 술집에서 지내기엔 넌 너무 똑똑한 애야
밴더는 이곳에서 자신을 그만 썩히고 꿈을 쫒으라고 말하고, 파우더는 생각이 깊어지는지 표정이 어두워진다. 그러곤 하이머딩거와 밖으로 나간 에코를 찾아 나가서 같이 바이를 보러가자고 부른다. 그리고 마주한 건 충격적이게도 파우더의 아지트 내 바이를 위한 작은 추모 공간이었다. 본래 세계관의 에코는 당연히 경위를 알 수 없었기에 왜 죽었냐고 너 때문이었냐며 따지듯 물어본다. 파우더는 이 말에 크게 상처를 받아 기분 나쁜 걸 본인에게 화풀이 하지 말라며, 그 정보[10]를 준 건 에코 자신이었다고 화를 낸다. 정보를 생각하며 무언가 떠오른 에코는 자리를 떠나고 파우더는 고개를 숙이고 운다.
파일:바이사망4k버전.jpg
에코가 아직까지 수리하지 않은 채 버려진 제이스의 아파트를 찾아 들어가고 어떻게 된 건지 구체적인 경위를 알게 된다. 본래 세계관에서는 파우더가 실수로 떨어뜨린 마법 수정이 제이스에게만 피해를 주고 바이 일행은 무사히 빠져나갔지만, 이 평행 우주에서는 바이가 폭발에 휘말려 사망하게 된 것.[11]

제이스의 아파트에서 마법 수정 조각을 가져온 에코가 손인사를 건내자 파우더는 표정을 굳히고 고개를 돌린다.
파일:평행파우더4-1.jpg
파일:평행파우더4.jpg 파일:평행파우더4-2.jpg
Powder: You painted this?
파우더: 이거 다 네가 그린 거야?

Ekko: I had this dream... Where things went another way.
에코: 꿈을 꿨거든. 그 꿈속에선 모든 게 달랐어

Powder: She looks so badass.
파우더: 우리 언니 진짜 멋있다

Ekko: You don't know the half of it. She was the toughest person in all of Zaun. Nothing scared her.
에코: 넌 상상도 못 할걸. 꿈속에서 바이 누나는 자운 최고의 전사였어. 두려움을 몰랐지

Powder: No, not my sister. Vi was strong because she was afraid. Her fear of losing us is what made her fight so hard.
파우더: 아냐, 언닌 안 그랬어. 언니는 두려움 때문에 강했던 거야. 우릴 잃는 게 두려워서 그만큼 더 강하게 싸운 거지
에코는 파우더에게 본래 세계관 점화단의 거처였던[12] 장소에 바이의 그림을 직접 그려서 보여주며 화해를 시도한다. 에코는 이 모습의 바이는 꿈에서 나온 모습이라고 속이고 파우더도 꿈속에서는 달랐다고 대답한다.
Powder: Oh, yeah, buster? Is that what this is about? You want me to change?
파우더: 그러셨어? 그래서 이러는 거야? 내가 바뀌길 원해?

Ekko: No. No, no, I just... You aren't the kind of person who helps other people with their projects. Your ideas change the world. I can't shake the feeling that that's who you're supposed to be.
에코: 아냐. 아냐, 난 그냥... 내 꿈속에서 본 넌 남들 프로젝트를 도와주지 않아.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를 내지. 그게 진짜 너다운 거라는 생각이 들어

Powder: Things are good, Ekko. I like my life. I don't wanna lose what makes me "me" chasing some wild dream.
파우더: 난 지금이 좋아, 에코. 지금 나 삶이 좋다고. 말도 안 되는 꿈을 뒤좇기만 하다가 나다운 걸 잃긴 싫어

Ekko: Sometimes taking a leap forward means leaving a few things behind.
에코: 가끔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뭔가를 두고 가야 해

Powder: You're a real mystery, aren't you, mister? All right, out with it. What do you want from me?
파우더: 넌 진짜 신기한 녀석이야 그렇지 않아? 좋아, 말해봐. 원하는 게 뭐야?
에코의 말에 파우더가 마음을 열고, 하이머딩거와 함께 에코의 프로젝트를 돕는다.
파일:평행파우더5.jpg 파일:평행파우더5-1.jpg
파일:평행파우더5-3.jpg 파일:평행파우더5-2.jpg
많은 실패와 우여곡절을 겪고 마침내 Z 드라이브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거냐고 기뻐하며 파티에 자랑하자고 말한다. 에코는 아직 안끝났다면서 파티에 갈 생각조차 없는 듯 말하자 파우더가 옷 갈아 입고 오라며 에코의 얼굴에 붙은 털을 떼어내고[13] 표정이 어두워진 채 나간다. 다행이도 하이머딩거가 시간이 있을 때 즐기라며 에코를 파티에 보낸다.

에코는 바에서 파우더를 기다리며 작별인사조차 하지 못한 벤조, 실코와 화해한 밴더와 대화한다. 밴더는 파우더가 Z 드라이브를 격찬했다면서 그렇게 활기찬 모습은 오랜만이라고 대답한다. 그리고 파우더가 등장하는데...
Powder: Some night.
파우더: 멋진 밤이네

Ekko: It's beautiful.
에코: 아름다워

Powder: There'd you learn those moves?
파우더: 너 춤은 또 언제 배운 거야?

Ekko: Oh, I was just following your lead.
에코: 그냥 너 따라 춘 건데

Powder: Mm. He's got lines.
파우더: 말은 참 잘해요

Ekko: Hey. Uh... I just want to thank you. You know for everything. I used to dream the undercity could be like this. But somewhere, I got consumed by all the ways it wasn't. I gave up on it. Gave up on you.
에코: 있잖아. 그냥 고마워서. 전부 고마워. 나도 한때 자운의 이런 모습을 꿈꿨는데 어쩌다 보니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데 집착하다가 포기해 버렸어. 널 포기했지

Powder: I've never seen you give up on anything, Ekko.
파우더: 난 네가 포기하는 걸 본 적 없어, 에코

Ekko: You ever wish you could just stay in one moment?
에코: 어떤 순간이 영원히 반복됐으면 하고 바란 적 있어?

Powder: Sometimes taking a leap forward means... leaving a few things behind.
파우더: 가끔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뭔가를 두고 가야 하거든[14]

Ekko: I promise I'll never forget this.
에코: 이 순간은 절대 안 잊을게

Powder: You better not.
파우더: 잊으면 죽어

Ekko: Sorry, I...
에코: 미안해, 난...

Powder: No... It's fine, I...
파우더: 아냐. 괜찮아, 나도...

Ekko: Can we just pretend like it's the first time?
에코: 우리 그냥 처음인 척 행동할 수 있을까?
7화의 하이라이트. 풍선이 터지고 '발명가 공모전' 파티가 시작되자 단아하면서 화려한 하얀 원피스를 입고 등장한다. 그렇게 둘은 춤을 추고, 옥상에 올라와[15] 키스까지 한다.
파일:평행파우더6.jpg
에코가 Z 드라이브를 확인하러 간 사이, 파우더는 에코가 선물한 펜던트를 꺼내 돌려본다. 그러다 주위에 이상 현상이 생기고, 불길함을 느낀 파우더가 아지트로 돌아간다.
파일:평행파우더7.jpg 파일:평행파우더8.jpg
에코가 파티를 즐기러 간 사이 하이머딩거가 Z 드라이브를 업그레이드 하고 있었고, 에코가 돌아왔을 땐 이미 거의 완성이 된 후였다. 하이머딩거와 에코는 파우더 몰래 돌아가려고 바로 장치를 켰지만 장치에 과부화가 오면서 오작동을 일으켜 위험해질 것 같자 하이머딩거는 자신을 희생해 장치를 안정화시키며 소멸한다. 파우더가 도착 했을 때는 바닥에 누워 기절한 에코만 있었고 그런 에코를 파우더가 껴안는다. 그리고 위를 올려다보는데 전혀 다른 차림의 에코가 아케인 안에 서 있었다. 이때 잠시 동안 같이 지낸 에코가 다른 세계에서 온 에코 였음을 깨닫게 된다. 에코는 슬프게 쳐다보다 마지막 웃음을 지으며 떠나고 이 곳 평행 우주의 에코가 깨어 난다. 에코는 천천히 정신을 차리며 무슨 일이 있었냐고 묻자 파우더는 허탈함이 섞인 웃음을 살짝 짓는다.
파일:평행바이.jpg
이후 에필로그에선 에코가 준 펜던트를 Vi라는 이름이 새겨진 서랍 속에 넣는다. 이 서랍에는 마법공학 수정 또한 있었는데 바이의 죽음을 극복했듯이 평행 우주 에코와의 이별도 극복하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3. 인간 관계

파일:평행세계 파우더 가족사진.jpg
평행 우주 파우더의 가족 사진[17]

4. 평가

시즌 2 3막에서 가장 평가가 좋은 7화의 주연으로 시청자들에게 감동을 준다는 호평을 받았다. 대부분의 작품에서 로맨스가 첨가되면 평가가 낮아지기 마련인데[22] 에코와 파우더의 로맨스는 몰입을 해치지 않고, 오히려 하이라이트로 작용하면서 찬사를 받았다.

메인 유니버스의 징크스와 대조되며 밝고 명량한 성격까지 더해져 등장은 짧지만 큰 여운을 남긴다.

5. 기타


[1] 공식 신장 프로필[2] 징크스와 동일한 나이로 추정.[3] 아트북을 통해 공식적으로 평행세계에서도 파우더를 키운 것이 확인되었다.[4] 메인 유니버스에서는 밴더 진영과 실코 진영으로 서로 나뉘어 대립했지만 이 평행세계에서는 밴더와 실코가 서로 화해하면서 진영의 의미가 없어졌다.[a] 메인 유니버스 징크스와 동일한 성우.[a] [7] 에코 입장에서는 자운필트오버를 잇는 다리 위에서 혈전을 치르고 난 이후로 징크스와의 접점이 없었기 때문에 보자마자 적대하는 건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8] 마일로는 파우더에게 대놓고 징크스라며 핍박을 줬었지만 그 이후 어떻게든 관계가 돈독해진 모양.[9] 메인 유니버스 속 게르트는 징크스에 감화되어 머리를 파랗게 물들이고 끝까지 자운을 위해 싸우다 전사한다. 이 세계관에서는 바에서 일하면서 켐 시스터즈라는 그룹으로 공연을 하는 듯.[10] 극 초반부 제이스의 아파트를 미행하여 바이 일행에게 장소를 알려준 것.[11] 바이의 죽음으로 인해서 일행이 도주하지 않아 그대로 체포 당했지만 의회는 이들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고, 오히려 마법을 창조하려는 위험한 발상을 가진 제이스를 추방시켰거나 아님 시즌 1 2화처럼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집행자들은 자운을 수색하지 않으며, 필트오버 의회는 바이의 죽음으로 자운의 끔찍한 상황을 인지하여 평화협정을 맺고, 이로 인해 자운 내 갈등이 완화되어 밴더와 실코가 서로 대화하여 화해할 수 있게 되었다. 추후 본래 세계관에서 온 하이머딩거가 그동안 자운의 상황을 방관한 자신을 반성해 자운의 상황을 바꾸기 위해 부단히 노력 했을 것이기에 자운이 이렇게까지 변화할 수 있었을 것이다.#[12] 파일:평행점화단.jpg
본래 세계관의 점화단 거처. 희생당한 모든 이들이 그려져 있다.
[13] 하이머딩거의 털이다. 4초를 넘긴 Z 드라이브가 하이머딩거를 분해 해버리면서 날아간 털이 에코의 얼굴에 붙었고 다시 시간이 되돌아오면서 살아났다. 경직된 에코의 표정은 덤.[14] 이전에 에코가 했던 대사.[15] 바이와 파우더가 시즌 1 1화 때 필트오버를 바라보던 그 옥상이다. 본래 세계관에서는 왼쪽에 거대한 마법 공학 정거장이 있어야 하지만 마법 공학이 발달하지 못한 이 평행 우주에는 텅 비어있다.[16] 시즌 1 1화, 맨 초반부 필트오버와 자운 간의 전투 중 방금 막 부모를 잃고 길을 잃은 어린 바이의 모습을 보면 지금 파우더와 동일한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7] 뒤에 파우더가 어릴 때 그린 가족 그림이 걸려있는데 거기에도 밴더, 실코, 파우더가 중앙에 있고 위에 죽은 바이, 그들 주변으로 고양이 4마리가 그려져있다.[18] 실코가 나타나자 밴더는 그에게만 특별히 황금 컵을 건네는데, 이 컵은 시즌 1에서 필트오버 의원들이 의회에서만 사용하는 특제 컵이다. 에코에게 건내는 인사말도 '정말 바쁘지만 너에게 특별한 날이니 시간을 내어 참석했다'는 맥락으로 "설마 내가 안 올 거라 생각한 건 아니지?"라고 말한다.[19] 해당 아지트는 본래 우주에서 밴더와는 관계가 없었다. 또 평행 우주 아지트에도 실코의 '자운의 눈' 표시가 낙서로 그려져 있다.[20] 이 때문에 서양 문화권에서는 아트북으로 확인되기 전부터 눈치챘다는 시청자가 많았다.[21] 이와는 정 반대로 징크스의 경우 마일로가 큰 트라우마로 남아 시즌 내내 자신을 괴롭 힌다.[22] 아케인 시즌 2 8화 바이케이틀린의 로맨스의 경우 꼭 필요했냐는 평가가 지배적이다.[23] 아무래도 원래 징크스의 긴 머리카락의 모션 때문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