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포드(유희왕)
유희왕 OCG 최초의 금지 카드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 |||||
사이버 포드 (제한) | 파이버 포드 | 주사천사 리리 (무제한) | 야타 까마귀 (무제한) | 짓궂은 쌍둥이 악마 | |
고통의 선택 | 마음의 변화 (무제한) | 번개 (무제한) | 해피의 깃털 (제한) | 왕궁의 칙명 (에라타 후 재금지) | }}} }}} |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리버스 몬스터 카드.2.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리버스=,
한글판명칭=파이버 포드,
일어판명칭=ファイバーポッド,
영어판명칭=Fiber Jar,
레벨=3,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500, 수비력=500,
효과1=①: 이 카드를 리버스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서로의 패 / 필드 / 묘지의 카드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서로 5장 드로우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리버스했을 경우 서로의 패 / 필드 / 묘지의 카드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 후 5장 드로우시키는 강제 발동 유발 효과를 가진 리버스 효과 몬스터.
리버스가 필요하긴 해도 제외 존의 카드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펜듈럼 몬스터 이외의 카드를 전부 덱으로 되돌리기 때문에 사실상 듀얼을 재시작하는 효과에 가깝다. 그 흉악한 효과 덕에 많은 매치킬 덱의 키 카드를 담당했었다.
선공 첫 턴이 아닌 자기 턴에 발동했다면 소환권이 남았을 경우 몬스터를 소환해서 직접 공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리셋을 시켰다면 상대가 방어할 수단도 거의 다 날려버렸을 테니 새로 뽑은 5장의 카드에 따라 바로 승부가 갈릴 수도 있는 것. 상대 턴에 전투로 리버스했다면 상대는 그 뒤의 추가 공격이 거의 불가능해지며, 메인 페이즈 2에 마법이나 함정을 세트해서 견제하는 것이 고작이 된다. 자신은 패를 5장 채운 상태로 유유히 다음 턴을 맞이할 수 있기에 판도가 매우 유리해지는 것은 마찬가지.
리버스 효과 발동시에 이 카드가 필드에 남아 있으면 자신도 덱으로 되돌아가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즉, 제한 먹여봤자 아무런 의미가 없다. 과거에는 말살의 사도 같은 리버스 대책이 없으면 답이 없었을 정도.
여기에 메타모르 포트의 패 보충 능력까지 고루 갖춘 만능 사기 카드였기에 결국 일본에서는 2004년 3월자로 금지 카드로 지정되었다. 이후 어째선지 2004년 9월에 이 카드를 제한으로 풀어버렸다가 이런저런 깽판을 일으킨 끝에 6개월 뒤에 다시 금지되었다. 어쨌든 이로 인해 한번도 풀리지 않은 카드의 위용은 자랑할 수 없게 되었지만, 그럼에도 2023년 4월을 기점으로 고통의 선택, 짓궂은 쌍둥이 악마와 함께 최장기간 금지 카드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비슷한 효과를 가진 카드로 창성신 tierra가 있다. 이 쪽은 자신은 그대로 남아 있는 채로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까지 추가로 되돌리고 체인이 불가능하지만, 소환 난이도가 매우 어려워 사실상 로망 취급 받는 카드이며 드로우 또한 하지 않는다.
공격으로 리버스해서 전투 파괴가 확정되었을 경우 자신은 덱으로 돌아가지 않는다.[1] 전투 파괴가 확정된 카드는 바운스할 수 없다는 관례가 있기 때문. 그 이전에는 전투로 리버스하면 전투 파괴가 확정되어도 자신은 덱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었다.
당시엔 너무 강력한 사기 카드였지만 시간이 많이 흐른 12기 환경의 유희왕에서는 패 트랩은 물론이고 여러 퍼미션으로 견제 수단이 늘어났기 때문에 효과 발동에 어려움이 있고 설령 리셋이 성립해도 새 전개나 공격이 시원찮게 끝난 채 상대에게 턴을 넘겨줘야 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실제로 12기 환경에서는 리버스 몬스터들은 효과 발동 타이밍이 너무 느려서 섀도르처럼 메인 몬스터들이 리버스 몬스터들로 이루어진 카드군을 제외하면 리버스 몬스터들을 채용하지 않고 있다. 특히 현재의 유희왕은 테마들끼리의 연계가 매우 중요한 환경이기 때문에 파이버 포드처럼 테마와 연결되지 않고 따로 노는 카드는 말림 패가 되기 딱 좋다. 이것 때문인지 OCG는 2025년 1월 리미트 레귤레이션에서 금지 카드였던 사이버 포드가 제한으로 석방, 제한 카드였던 메타모르 포트가 준제한까지 내려온 상황이고, TCG는 사이버 포드가 준제한까지 내려온 상황이다. 이때문에 파이버 포드도 석방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나오고 있다. 다만 두 포드보다는 통과되었을 때의 효과가 훨씬 강력해 불쾌감의 정도도 높다 보니 아직은 풀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많다.
사이버 포드가 금지에서 제한으로 석방 됨으로써, 포드 시리즈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금지 카드로 남아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도마 편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가 쿠자쿠 마이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해피 레이디의 공격으로 리버스되면서 일발역전을 노렸으나, 죠노우치의 의도를 파악한 마이가 해피의 깃털눈보라를 발동하면서 이 카드의 효과가 무효화되어 불발로 끝난다. 그래도 이 영향으로 마이는 다음 턴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하기를 주저하면서 고양이 마네킹을 해피 레이디 -봉황의 진-으로 파괴하면서 죠노우치가 위기를 넘기는 데에 일조해주었다.
'파이버(Fiber)'는 섬유, 나무의 수염뿌리를 뜻하는 영단어다. 뿌리가 길게 감긴 듯한 디자인의 식물족 몬스터라는 점에서 착안한 작명으로 추정된다.
나무가 몸체를 뒤덮고 있는 디자인은 천공의 성 라퓨타의 오마주일 가능성이 높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01-11-29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MA-06 | Mythological Age - 蘇りし魂 - |
2003-04-24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DL5-047 | DUELIST LEGACY Volume 5 |
2004-12-09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BE2-JP166 | BEGINNER'S EDITION 2 |
2011-08-13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BE02-JP133 | BEGINNER'S EDITION 2 [ 2011 ] |
2003-06-06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LOD-056 | LEGACY OF DARKNESS |
2005-07-27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DB2-EN166 | DARK BEGINNING 2 |
2013-10-11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LCJW-EN033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
2004-10-18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LOD-KR056 | 어둠의 유산 |
2006-09-28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BP2-KR166 | 비기너즈 팩 Vol.2 |
4. 관련 카드
4.1. 사이버 포드
4.2. 펭귄 기사
[1] 2018년 1월 18일자 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