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02:39:33

파랑새(동음이의어)



1. 조류2. 동화
2.1. 벨기에 동화2.2. 프랑스 동화
3. 트위터의 별칭4. 음악
4.1. 조선 말엽의 민요4.2. 인디 밴드 와이낫의 곡4.3. 아이돌마스터에 수록된 키사라기 치하야의 곡, 蒼い鳥4.4. 기타프릭스 & 드럼매니아 XG/V8의 수록곡 青い鳥4.5. 이병기의 시조를 바탕으로 만든 가곡4.6. 이문세의 히트곡 파랑새4.7. APRILThe Blue 타이틀곡
5. 축구 구단
5.1. K5리그 전북리그에 참가하는 전주 파랑새 FC5.2. K5리그 강원리그에 참가하는 원주 파랑새 FC

1. 조류

자세한 것은 파랑새 문서로.

2. 동화

2.1. 벨기에 동화

파랑새(벨기에 동화) 문서로.

2.2. 프랑스 동화

어느 나라에 플로린[1]이라는 딸을 둔 왕이 있었다. 왕비를 일찍 사별한 왕은 새 왕비를 들이고 둘째 공주 트뤼통느[2]를 얻는다. 하지만 동화의 클리셰대로 왕도 얼마 지나지 않아 숨을 거뒀고 왕비가 나라를 좌지우지하면서 전처소생 플로린의 처지는...

세월이 흘러 두 공주 모두 결혼 적령기가 된 어느 날 이웃 나라의 샤르망[3] 왕자가 플로린에게 청혼을 하러 오지만 왕비는 플로린을 가둬버리고 샤르망에게 자신의 딸 트뤼통느와 결혼하라고 강요한다. 샤르망이 그것을 거부하자 왕비는 자신의 친구이며 트뤼통느의 대부였던 마법사 스시오를 시켜 샤르망을 파랑새로 만들어버리지만, 파랑새로 변한 샤르망은 우연히 플로린이 갇혀 있는 탑으로 날아들어갔다가 서로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 뒤 이것을 알게 된 왕비가 파랑새가 앉는 나뭇가지에 칼날을 매달아 놓고, 이로 인해 상처를 입은 샤르망은 플로린이 자신을 배신하고 왕비에게 자신이 어디 있는지 고자질했다고 생각해 떠나버린다.

그 후 왕비의 횡포를 더 견딜 수 없었던 백성들은 결국 봉기를 일으켜 왕비를 살해한 다음 트뤼통느를 내쫓아버린 후 플로린을 여왕으로 모시게 되고, 한편 방황하던 샤르망은 착한 마법사를 만나게 된다. 스시오와도 친구였던 이 마법사는 샤르망에게 왕자가 사라진 후 나라가 흔들리고 있다고 설득해 트뤼통느와 결혼하고 사람으로 돌아오라고 설득하고 샤르망은 할 수 없이 이 제안을 받아들여 고국으로 돌아가 왕위에 앉는다.

이 소식을 들은 플로린 여왕은 거지 차림으로 변장해 샤르망의 나라를 찾아가게 되고 가는 길에 태양과 달, 별, 바람에게서 도움을 줄 선물을 받는다. 천신만고 끝에 샤르망의 나라에 도착한 플로린은 샤르망의 약혼녀가 된 트뤼통느에게 변장한 채로 접근하고, 태양, 달, 별, 바람에게 받은 선물들을 뇌물로 주면서 샤르망의 방 바로 아래층에 있는 '메아리의 방'[4]에 머물게 해달라고 간청한다. 트뤼통느가 그것을 받아들여 플로린은 메아리의 방에 묵게 되고 밤마다 샤르망에게 말을 걸지만, 샤르망은 트뤼통느가 주는 수면제를 먹고 잠들어 있기 때문에 플로린이 아무리 말을 걸어도 듣지 못하는 상태. 샤르망과 트뤼통느의 결혼식이 있기 전날 우연히 근위병에게 샤르망이 수면제를 먹는다는 사실을 전해듣게 된 플로린은 근위병에게 왕이 그 수면제를 먹지 못하게 해달라고 부탁을 한다.

그날 밤 방에서 플로린의 목소리를 들은 샤르망은 플로린이 자신을 배신한 것이 아니었으며 여전히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플로린과 재회하는 것으로 끝. 욕을 퍼부으며 항의하려던 트뤼통느는 착한 마법사가 돼지로 만들어버렸다고.

이런 패턴의 동화가 유럽 등지에 상당히 많다. 프시케에로스 신화에서 이어져내려온 패턴인 듯. 의외로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도 발견되는 형식인데, 한국의 '구렁덩덩 신선비'이야기도 이 패턴과 상당히 일치한다.
  1. 공주가 동물이나 괴물을 약혼자/남편으로 얻는다. 사실 남자는 마법에 걸려 동물로 변한 왕자
  2. 정이 들어 친해지고 사랑하게 되지만 어떤 금기를 어겨 헤어진다[5]
  3. 공주는 왕자를 찾아나서는데 그 가는 길에 초자연적 존재들[6]에게 도움이 될 만한 선물들[7]을 받는다
  4. 도착했을 때 왕자는 이미 못된 공주[8]와 결혼하기로 되어 있는 상태. 주인공 공주는 못된 공주에게 초자연적 존재들의 선물을 뇌물로 주며 왕자의 옆에서 밤을 새우거나 그의 방 문간에서 자게 해달라는 부탁을 한다
  5. 밤이 되면 왕자에게 '나를 잊으셨느냐, 당신의 신부는 나다'라는 원망을 하지만 왕자는 못된 공주가 준 수면제를 먹거나 수면 마법에 걸려 아무리 말해도 듣지 못한다
  6. 결혼식 전날이 되어서야 수면제를 거부한[9] 왕자는 공주의 애원을 듣고 나서야 공주가 아직도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7. 새 약혼녀를 내쫓고 공주와 결혼하며 해피엔딩.

3. 트위터의 별칭

트위터를 이르는 말 중 하나. 트위터의 아이콘이 파랑새[10]임에 착안해 에둘러 부르는 별칭이다. 참고로 이 파랑새 이름은 '래리'다.

한참동안 별명으로 사용되었으나, 2023년에 결국 트위터 로고 및 명칭이 바뀌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4. 음악

4.1. 조선 말엽의 민요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 밭에 앉지 마라
녹두 꽃이 떨어지면 청포[11] 장수 울고 간다

구한말 동학 농민 운동 시기의 민요로 전봉준과 농민군의 실패에 대한 실망과 안타까움이 담겨 있다. 지방마다 다양한 가사가 전해지고 있으며 위의 가사가 그 중 가장 유명한 판본이다.

해석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파랑새는 일본군(혹은 청군이나[12] 조선 관군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녹두꽃은 전봉준, 청포 장수는 백성들을 뜻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주류설이다.[13] 김윤아가 이를 활용한 곡을 1집 앨범에서 들어볼 수 있다.#

그러나 '파랑새'는 사실 '팔왕(八王)새'가 바뀐 것으로 '팔왕'을 합치면 全자가 되므로 오히려 파랑새가 전봉준을 상징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녹두야 잘 알려져 있듯이 전봉준의 별명인 '녹두장군'을 의미하는 것.[14]

동학 농민 혁명을 다룬 SBS 드라마 녹두꽃의 타이틀 역시 이 곡을 모티브로 가져왔다.

1994년에는 MBC 에서 이 노래 가사를 제목으로 딴 것으로 보이는 새야 새야 파랑새야 라는 드라마를 방영하기도 했다.

그리고 파랑새와 동시대에 유행한 노래가 하나 더 있는데 다음과 같다. <가보세요(謠)>라는 참요(讖謠: 어떤 정치적 징후를 암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민요)다.
가보세 가보세 을미적 을미적 병신되면 못가보리
이것은 동학농민군이 갑오년(1894년)에 거사를 성공시켜야지[15] 을미년(1895년)이 되어도 미적거리다가 병신년(1896년)에 이르면 병신이 되어[16] 거사가 실패하고 만다는 의미의 노래라고 한다. '못 가보리'라고 했으니 '농민봉기의 호기인 갑오년을 놓치면 때는 다시 오지 않는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17]

4.2. 인디 밴드 와이낫의 곡

본의 아니게 외톨이야 표절논란으로 널리 알려졌다.

4.3. 아이돌마스터에 수록된 키사라기 치하야의 곡, 蒼い鳥

4.4. 기타프릭스 & 드럼매니아 XG/V8의 수록곡 青い鳥

4.5. 이병기의 시조를 바탕으로 만든 가곡

가람 이병기 선생의 시인 파랑새를 바탕으로 한지영이 작곡한 가곡

4.6. 이문세의 히트곡 파랑새

이문세 정규 2집에 수록 되어있는 히트곡.

4.7. APRILThe Blue 타이틀곡

5. 축구 구단

5.1. K5리그 전북리그에 참가하는 전주 파랑새 FC

전주 파랑새 FC 문서로.

5.2. K5리그 강원리그에 참가하는 원주 파랑새 FC

원주 파랑새 FC 문서로.


[1] 꽃의 여신 플로라처럼 아름다워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2] 얼굴에 붉은 기미가 끼어 있어서 '송어'라는 뜻의 '트뤼트'에서 따온 이름이라고 한다.[3] 'Charmant'. 영어로 하면 차밍(Charming)이다.[4] 이 방에서 말을 하면 그 소리가 모두 샤르망의 방에서도 들린다고 한다. 명색이 왕의 방인데 층간소음 방음이 안된다[5] 이때 우연히 남자의 본모습을 보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많다.[6] 대체로 태양, 달, 별, 바람으로 나온다. 별이 새벽별과 저녁별, 바람이 동서남북의 바람들로 일일이 세분화되는 바리에이션도 존재.[7] 보통은 계란, 호두, 상자 등을 받고 '어려울 때 열어봐라'라는 식이다.[8] 파랑새처럼 후처소생의 공주일 때도 있지만, 마녀 혹은 악마의 딸일 때도 있다. 이런 공주는 보통은 동화의 클리셰답게 주인공 공주와는 달리 흉측한 외모를 갖고 있지만, 외모는 아름답지만 인간이 아니라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을 못 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관습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9] 공주가 시종에게 수면제를 주지 말라는 부탁을 할 때도 있고 왕자가 밤마다 애원하는 여자가 있다는 이야기를 시종에게 전해듣는 경우도 있다[10] 배경이 파랑/새 색깔이 흰색[11] 녹두로 만드는 . 탕평채에 들어간다.[12] 이를 두고 일설에서는 '청나라 군대여, 동학군을 탄압하지 말라'는 안타까움이 담겼다고 해석했지만 청나라 군대는 동학군을 죽이거나 탄압한 일이 없으니 틀린 주장이다.[13] 울고 가는 청포 장수가 청일전쟁에서 진 청나라라는 해석도 있다.[14] 하지만 이와는 정반대로 파랑새는 동학군을 무자비하게 학살한 일본군을 가리키는 말이며, 그렇기에 일제 강점기 때에 이 민요 파랑새가 일제에 의해 금지곡이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https://hyunjiwoon.tistory.com/1962[15] "가보세"와 '갑오세(甲午歲: 갑오년)'의 발음이 같다.[16] 丙申과 病身이 동음이의어.[17] 다만 동학 농민 운동은 그 갑오년에 무산되고 말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