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2:21:14

티타노사우루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고지라 시리즈의 괴수에 대한 내용은 치타노자우루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고지라 시리즈의 괴수:
치타노자우루스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colbgcolor=#F60><colcolor=#000> 티타노사우루스
Titanosauru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itanosaurus.jpg
학명 Titanosaurus
Lydekker, 1877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하목 †용각하목Sauropoda
계통군 †다공추룡류Somphospondyli
계통군 티타노사우루스류Titanosauria
티타노사우루스속Titanosaurus
[[생물 분류 단계#종|{{{#000 }}}]]
  • 티타노사우루스 인디쿠스(T. indicus)모식종
  • 티타노사우루스 블란포르디(T. blanfordi)
파일:external/images.fineartamerica.com/titanosaurus-indicus-a-prehistoric-era-sergey-krasovskiy.jpg
복원도
1. 개요2. 연구사3. 등장 매체

[clearfix]

1. 개요

백악기 후기 지금의 인도 일대에서 번성했던 용각류 공룡. 전체길이 12m, 체중 8t, 학명은 '거인 도마뱀'이란 뜻이다.

2. 연구사

거인 도마뱀이라는 학명이 다소 어색하게 용각류 계통에선 그리 큰 편은 아니지만, 티타노사우루스류 자체는 용각류 중에서도 가장 큰 종들이 포함된 분류군이다.

백악기에 번성한 용각류 계통인 티타노사우루스류를 대표하는 속이다. 한때 인도를 포함한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같은 한때 곤드와나를 이루었던 지역에서 티타노사우루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표본이 발견된 바가 있지만, 현재는 인도에서 발견된 모식 표본을 제외하고는 전부 다른 속으로 분류되었다.[1]

인디쿠스종의 모식 표본은 1877년에 잃어버린 것이 확인되어 삽화로만 남아있었다. 블란포르디종의 모식 표본도 수년간 잃어버린 상태였으나 2012년 연구팀에 의해 인디쿠스종의 모식 표본의 척추뼈 중 하나와 함께 발견되었다. 이들 표본은 콜카타에 위치한 인도 지질 조사 기관(Geological Survey of India) 본부에서 영국의 지질학자, 작가 리처드 리데커(Richard Lydekker, 1849 ~ 1915)[2]가 발굴한 척추동물 화석을 모아둔 소장품 사이에 있었다.#

새로운 종이라고 명명되는데 근거가 되었던 티타노사우루스 인디쿠스종만의 특징이 다른 티타노사우루스류나 용반목 공룡들에서 발견되면서 인디쿠스종은 의문명이 되었다. 블란포르디종도 고유의 특징이라고 일컬어지던 꼬리뼈의 비율이 다른 종과 개체차 이상의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이 밝혀지면서 의문명이 되었다.#

3. 등장 매체


[1] 대표적인 예로 이시사우루스.[2] 티타노사우루스의 명명자[3] 토바룡, 아르헨티나 티타노사우루스[4] 카오스 이론의 베클레스피낙스처럼 저작권 독점을 위해 의문명이 된 티타노사우루스를 고른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의문명이 된 종은 사실상 가상의 동물이니 크기를 과장해도 그렇게 큰 문제가 아니니 더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