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9 23:05:28

트리아스수루스

트리아스수루스
Triassurus
학명 Triassurus
Ivakhnenko, 1978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양서강 Amphibia
계통군 도롱뇽류 Caudata
†트리아스수루스과 Triassuridae
트리아스수루스속 Triassurus
  • †트리아스수루스 식스텔라이(T. sixtelai)모식종
    Ivakhnenko, 1978

1. 개요2. 특징3. 분류

[clearfix]

1. 개요

트라이아스기 후기인 2억 3500만 년 전부터 2억 2200만 년 전까지 살았던 양서류.

2. 특징

키르기스스탄에서 발견된 모식표본은 보존 상태가 좋지 않은 두개골 일부뿐이다. 길이가 3.8mm에 불과한 작은 두개골이었기 때문에 어린 개체였을 것이다. 두개골은 현재의 도롱뇽과 매우 유사했다. 2020년에는 두개골 길이가 1.1cm인 보다 완전한 성체 표본이 발견되었다.

3. 분류

트리아스수루스는 키르기스스탄의 Madygen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기반으로 1978년에 기술되었다[1]. 트리아수루스는 처음에는 두개골의 특징에 근거하여 가장 오래된 도롱뇽으로 묘사되었다. 실제로 발견된 척추의 일부 특성은 현생 도롱뇽속(Hynobius)과 올챙이 형태의 개구리목, 분추목과 공유하는 점이 있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도롱뇽은 아니며 2020년 연구에서는 현생 도롱뇽의 상위 분류군에 위치한 도롱뇽류로 여겨진다.
[1] 도 같은 지층에서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