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0 17:17:16

토마스 돌

토마스 돌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54대
}}} ||
토마스 돌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함부르크 SV 125주년의 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 이름 국적 소속 기간 비고
GK 울리 슈타인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80–1987
1994–1995
DF 디트마어 야콥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79–1989
DF 만프레트 칼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70–1989
DF 페터 노글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69–1980
DF 요제프 포지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49–1958
DF 빌리 슐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65–1973
MF 토마스 돌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90–1991
1998–2001
MF 토마스 폰 헤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80–1994
MF 메흐디 마다비키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1999–2007
MF 펠릭스 마가트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76–1986
MF 라파엘 판데르파르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005–2008
2012–2015
FW 카르스텐 바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92–2000
FW 게르트 되어펠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58–1971
FW 호르스트 흐루베슈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78–1983
FW 케빈 키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977–1980
FW 우베 젤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946–1972
감독 에른스트 하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1981–1987
#출처
}}}}}} ||
페르시자 자카르타
Persatuan Sepak Bola Indonesia Jakarta
파일:Thomas Doll.jpg
<colbgcolor=#E20220,#191919> 이름 토마스 돌
Thomas Doll
본명 토마스 옌스 우베 돌
Thomas Jens Uwe Doll
출생 1966년 4월 9일 ([age(1966-04-09)]세)
동독 말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동독|{{{#!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동독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동독}}}{{{#!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6cm
직업 축구 선수 (공격형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20220,#191919> 선수 BSG 로코모티프 말힌 (1972~1979)
FC 한자 로스토크 (1979~1983)
선수 FC 한자 로스토크 (1983~1986)
BFC 디나모 (1986~1990)
함부르크 SV (1990~1991)
SS 라치오 (1991~1994)
E. 프랑크푸르트 (1994~1996)
AS 바리 (1996~1998)
함부르크 SV (1998~2001)
감독 함부르크 SV U-19 (2001~2002)
함부르크 SV II (2002~2004)
함부르크 SV (2004~2007)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07~2008)
겐츨레르비를리이 SK (2009~2010)
알 힐랄 SFC (2011~2012)
페렌츠바로시 TC (2013~2018)
하노버 96 (2019)
아포엘 FC (2019)
페르시자 자카르타 (2022~2024)
국가대표 29경기 7골 (동독 / 1986~1990)
18경기 1골 (독일 / 1991~1993)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여담

1. 개요

독일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1979년 FC 한자 로스토크 유스팀에 입단해 1983년 1군에 데뷔했다. 이후 로스토크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자 1986년 BFC 디나모가 그를 불렀고 이후 1990년까지 99경기에 출전해 39골을 득점한다.
독일 통일은 동독 클럽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쁜 일이자, 동독 선수들에게는 일어날 수 있는 가장 좋은 일이었다.

독일 재통일이 이루어지며 함부르크 SV로 이적했고, 이후 SS 라치오로 이적해 64경기에 출전한다. 또한 동독 대표팀 선수 중 통일 독일 대표팀으로 합류한 8명의 선수 중 한명이 토마스 돌로, 통일 후 첫 국제대회인 유로 1992 대표로 뽑혀 대회에 출전했다.

이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AS 바리를 거쳐 2001년 함부르크 SV에서 은퇴했다.

3. 감독 경력

2001년 함부르크 SV U-19팀 감독을 맡았고, 능력을 인정받아 2002년에는 2군팀 감독을 맡게되었고, 2004년 1군팀 감독에 부임했다. 1군팀에서도 잘나갔으며 2005-06시즌 팀을 3위로 올려뒀다. 하지만 2006-07시즌 부진하며 경질되었다.

2007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감독직에 부임했으나 부진하며 경질당했다.

2020년 FC 서울행 루머가 돌며 국내축구 커뮤니티에서 잠시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22년 인도네시아의 페르시자 자카르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4. 여담

2023년 2월 인도네시아 A팀, U-23, U-20 대표팀 감독인 신태용 감독을 선수 소집 관련, TV 광고 촬영을 빗대어 정면 비판하여 구설수에 올랐다.# 결국에는 공식 사과하였다. 이에 신태용 감독은 칼럼을 통하여 “물론 각 클럽팀의 사정은 이해한다. 나는 세 팀(대표팀, U-23, U-20)을 맡아서 각기 다른 소집을 하기에 일선 지도자들에게 ‘왜 이리 많이 불러’라는 오해를 받는 일도 있다”고 짧게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