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0:43:14

테이존 뷰캐넌

타존 뷰캐넌에서 넘어옴
1 L. 주니오르2 코스타3 [[라울 알비올|알비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667; font-size: .8em"]]ㆍ4 바이5 캄봘라6 수아레스7 [[제라르 모레노|제라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667; font-size: .8em"]]ㆍ8 포이스
9 뷰케넌10 [[다니 파레호|파레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667; font-size: .8em"]]ㆍ11 아호마시12 베르나트13 콘데14 코메사냐15 베리
16 [[알렉스 바에나|알렉스. B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667; font-size: .8em"]]ㆍ17 키코 F.18 게예19 페페20 테라츠21 예레미22 아요세
23 카르도나24 A. 페드라사26 나바로33 카바네스
파일:UEFA EURO ESP.png 마르셀리노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
테이존 뷰캐넌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gc-dark-horizontal-s-en.svg
}}} ||
파일:20250131-TajonBuchananFirmayPosadoEscudo-005-1-2-2048x1152.png
<colbgcolor=#ffe667> 비야레알 CF No. 9
테이전 뷰캐넌
Tajon Buchanan
본명 테이전 트레버 뷰캐넌
Tajon Trevor Buchanan
출생 1999년 2월 8일 ([age(1999-02-08)]세)
캐나다 온타리오 주 브램턴
국적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83cm / 체중 71kg
포지션 윙어, 윙백, 라이트백
주발 오른발
등번호 캐나다 대표팀 17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소속 <colbgcolor=#ffe667><colcolor=#ffffff> 유스 미시소가 팔콘스 (2007~2014)
레알 콜로라도 폭스 (2014~2017)
시러큐스 오렌지 (2017~2019)
선수 시그마 FC (2018)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2019~2021)
클뤼프 브뤼허 KV (2021~2024)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2021 / 임대)
인테르나치오날레 (2024~ )
비야레알 CF (2025~ / 임대)
국가대표 41경기 4골 (캐나다 / 2021~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캐나다 국적의 비야레알 CF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

2.1.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미국 시라큐스 대학교 시절 두각을 나타내며 2019년 MLS 수퍼 드래프트에서 뉴잉글랜드의 지명을 받고 MLS에 데뷔했다. 뉴잉글랜드에 합류하기 전 2018년에는 짧게 온타리오주 리그의 시그마 FC에서 7경기 2골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9년 MLS에 데뷔한 이후 2020년 23경기에 나서며 주전으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특히 2021 시즌에는 반 시즌만에 17경기 6골을 몰아넣는 등 크랙의 모습을 보이며 MLS 올스타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일약 유럽 클럽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고, 그는 같은 해 골드컵에서의 활약까지 더해서 벨기에의 명문 팀 클뤼프 브뤼허 KV에 입단하는데 성공한다. 이적료가 700만 달러로 상당한 액수다. 입단 직후 2021년 말까지 뉴잉글랜드에 임대 신분으로 남아 잔여시즌 10경기 2골을 추가해 시즌 27경기 8골로 훌륭한 한 해를 보냈다.

2.2. 클뤼프 브뤼허 KV

2022년 1월, 브뤼허에 합류해 첫 유럽 무대를 경험하게 된다. 교체로 경기에 나서며 감을 익혔고, 4월 24일에 열린 로열 앤트워프 FC와의 경기에서 벨기에 무대 데뷔골을 성공시켰다.

2023년 4월,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와 링크가 뜨고 있다. 예상 이적료는 €18M.

2023년 12월, 맨체스터 시티 FC,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와 링크가 나고 있다. 브뤼허는 50m 이상의 가격에 뷰캐넌을 판매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다.

2024년 1월 2일,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Here we go를 띄우면서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로의 이적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2.3.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24년 1월 9일,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와 4년 계약을 체결했다. 추정 이적료는 약 7M.

2.3.1. 2023-24 시즌

36R 프로시노네 칼초전에서 결국 멋진 중거리 슛으로 득점에 성공하였다. 인테르 입단 후 데뷔골이며, 결과는 5:0 대승으로 끝났다.

2.3.2. 2024-25 시즌

본격적으로 주전 경쟁에 뛰어들어야 할 시즌이지만, 국대에 소집되었다가 장기부상을 당하면서 11월이 되어서야 복귀했다. 이후 복귀하고서도 좌윙백과 우윙백을 돌아다니는 등, 포지션 하나로 고정되어 쓰이지는 못하는 상황. 게다가 나올 때마다 경합에서 밀리는 모습만 보여주면서 속도만 빠르지 아무것도 못 보여준 다우베르트 엔히키, 발렌티노 라자로 같은 실패한 전임자들의 전철을 걷고 있다.
2.3.2.1. 비야레알 CF (임대)
2025년 2월 1일, 결국 비야레알 CF로 잔여 시즌까지 임대되었다. 디마르지오에 따르면 임대료는 €1m, 구매 옵션은 €13m라고 한다.

3. 국가대표 경력

2021년 1월 카타르 월드컵 북중미 1차예선에 처음 캐나다 대표팀에 소집되었고, 아루바전에서 2골을 몰아넣으며 눈도장을 찍었다. 이후 7월에 열린 골드컵 무대에서 영플레이어 상을 받는 등 매우 활약하며 국가대표팀 주전 윙어로 급부상했다.

2021년 말부터 열린 카타르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에서도 주전 윙어로 활약했고, 최종예선에서 3골을 넣으며 캐나다의 36년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크게 공헌했다.

2022년 11월,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 참가하는 26인 최종 엔트리에 무난히 승선하였다. 그리고 F조 2차전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 전반 2분만에 우측에서 알폰소 데이비스에게 정확한 택배 크로스로 선제골을 어시스트하였다. 참고로 이는 캐나다 축구 역사상 FIFA 월드컵 1호골이며, 동시에 그의 도움 또한 1호 어시스트가 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주로 우측에서 뛰는 오른발잡이 정발 윙어로, 속도감 있는 역습을 전개하는 캐나다 국가대표팀에서 알폰소 데이비스와 함께 측면에서의 속도를 살려주는 역할을 맡는다. 최고 속도 35.10km/h를 기록할 만큼 발이 상당히 빠르다. 순수 주력은 물론, 순간적으로 치고 나가거나 속도를 줄이는 가감속도 상당하다. 상대를 제칠 수 있는 시원시원한 돌파를 보여주는 선수임에도 피지컬이 잘 잡혀 있어, 상대 선수가 저지하기 더욱 쉽지 않다.

속도를 이용한 드리블링을 주로 시도하지만, 빠른 발을 이용한 빈공간 침투에도 능하다. 단순하게 상대 수비라인 뒤로만 침투하는 것이 아닌 시의적절한 오버래핑과 언더래핑을 가져가면서 박스 안에서 팀 공격 숫자를 늘려주거나 상대 수비 빈 공간의 폭을 넓혀준다. 원 투 패스나 삼자 패스처럼 팀원들과 주고받는 연계 플레이도 준수하다. 또한, 활동량도 많이 가져가는 선수로, 윙어임에도 전방 압박과 수비에 성실히 가담하는 스타일 때문에 윙백으로도 자주 뛴다.

다만, 골 결정력이 뛰어난 유형의 선수는 아니며, 슈팅 대비 찬스를 날리는 횟수가 많은 편이다. 비록, 결정력이 뛰어난 편은 아니지만, 문전 앞에서 상당히 침착하고 과감하게 때린다. 크로스나 컷백에서도 뷰캐넌의 과감함이 잘 드러난다. 또한, 윙어임에도 발재간이 화려한 편은 아니라, 지공 상황에서의 돌파력이나 패스 전개력은 아쉽다.

전반적인 플레이 스타일은 토트넘 홋스퍼의 브레넌 존슨을 떠오르게 한다. 존슨보다는 덜 빠르고 덜 공격적인 대신, 수비적인 압박과 헌신도가 높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6. 여담

7. 같이 보기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비야레알 CF 2024-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e66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비야레알 CF 2024-25 시즌 스쿼드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조건 비고
1 파일:브라질 국기.svg GK 루이스 주니오르 Luiz Júnior R. 2001.01.14 ([age(2001-01-14)]세) 194cm, 88kg
2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DF 로강 코스타 Logan Costa 2001.04.01 ([age(2001-04-01)]세) 190cm, 91kg
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라울 알비올 Raúl Albiol 1985.09.04 ([age(1985-09-04)]세) 190cm, 82kg
4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DF 에릭 바이 Eric Bailly 1994.04.12 ([age(1994-04-12)]세) 187cm, 77kg
5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윌리 캄봘라 Willy Kambwala 2004.08.25 ([age(2004-08-25)]세) 192cm, 85kg
6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데니스 수아레스 Denis Suárez 1994.01.06 ([age(1994-01-06)]세) 176cm, 69kg
7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제라르 모레노 Gerard Moreno 1992.04.07 ([age(1992-04-07)]세) 180cm, 77kg 부주장
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후안 포이스 Juan Foyth 1998.01.12 ([age(1998-01-12)]세) 187cm, 83kg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다니 파레호 Dani Parejo 1989.04.16 ([age(1989-04-16)]세) 182cm, 74kg 3주장
11 파일:모로코 국기.svg FW 일리아스 아호마시 Ilias Akhomach 2004.04.16 ([age(2004-04-16)]) 175cm, 70kg
12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후안 베르나트 Juan Bernat 1993.03.01 ([age(1993-03-01)]) 177cm, 67kg [1]
13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디에고 콘데 Diego Conde 1998.10.28 ([age(1998-10-28)]세) 188cm, 78kg
14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산티 코메사냐 Santi Comesaña Veiga 1996.10.05. ([age(1996-10-05)]세) 188cm, 75kg
15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티에르노 베리 Thierno Barry 2002.10.21 ([age(2002-10-21)]) 195cm, 82kg
16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알렉스 바에나 Álex Baena 2001.07.20 ([age(2001-07-20)]세) 175cm, 70kg 4주장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키코 페메니아 Kiko Femenía 1991.02.02 ([age(1991-02-02)]세) 176cm, 61kg
18 파일:세네갈 국기.svg MF 파페 게예 Pape Gueye 1999.01.24 ([age(1999-01-24)]세) 189cm, 79kg
19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W 니콜라 페페 Nicolas Pépé 1995.05.29 ([age(1995-05-29)]) 183cm, 73kg
2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라몬 테라츠 Ramón Terrats 2000.10.18 ([age(2000-10-18)]세) 181cm, 71kg
21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예레미 피노 Yéremi Pino 2002.10.20 ([age(2002-10-20)]세) 172cm, 65kg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아요세 페레스 Ayoze Pérez 1993.07.23 ([age(1993-07-23)]) 178cm, 66kg
2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세르지 카르도나 Sergi Cardona 1999.07.08 ([age(1999-07-08)]세) 185cm, 77kg
24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알폰소 페드라사 Alfonso Pedraza 1996.04.09 ([age(1996-04-09)]세) 184cm, 73kg
26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파우 나바로 Pau Navarro 2005.04.25 ([age(2005-04-25)]세) 185cm, 72kg
33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파우 카바네스 Pau Cabanes 2005.02.17 ([age(2005-02-17)]세) 179cm, 72kg
<colbgcolor=#ffe667> 구단 정보
감독: 마르셀리노 / 홈 구장: 에스타디오 데 라 세라미카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2월 5일

[1]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임대중 계약 해지
}}}}}}}}}}}}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ffffff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fff><colcolor=#e61e19> GK 데인 세인트클레어
(Dayne St. Clair)
1997년 5월 9일 ([age(1997-05-09)]세) 7 0 파일:미국 국기.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막심 크레포
(Maxime Crépeau)
1994년 5월 11일 ([age(1994-05-11)]세) 23 0 파일:미국 국기.svg 포틀랜드 팀버스
조나탕 시루아
(Jonathan Sirois)
2001년 6월 27일 ([age(2001-06-27)]세) 0 0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
DF 조엘 워터먼
(Joel Waterman)
1996년 1월 24일 ([age(1996-01-24)]세) 4 0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
데릭 코넬리우스
(Derek Cornelius)
1997년 11월 25일 ([age(1997-11-25)]세) 28 0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모이즈 봄비토
(Moïse Bombito)
2000년 3월 30일 ([age(2000-03-30)]세) 14 0 파일:프랑스 국기.svg OGC 니스
알폰소 데이비스
(Alphonso Davies)
2000년 11월 2일 ([age(2000-11-02)]세) 55 15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리치 라레이아
(Richie Laryea)
1995년 1월 7일 ([age(1997-01-07)]세) 57 1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FC
샘 아데커비
(Sam Adekugbe)
1995년 1월 16일 ([age(1997-01-16)]세) 42 1 파일:캐나다 국기.svg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조한 바송
(Jorhan Bassong)
1999년 5월 7일 ([age(1999-05-07)]세) 2 0 파일:미국 국기.svg 스포팅 캔자스시티
뤽 드 푸제롤
(Luc de Fougerolles)
2005년 10월 12일 ([age(2005-10-12)]세) 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제이미 나이트르벨
(Jamie Knight-Lebel)
2004년 12월 24일 ([age(2004-12-24)]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루 알렉산드라 FC
MF 나탕 살리바
(Nathan Saliba)
2004년 2월 7일 ([age(2004-02-07)]세) 1 0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
니코 시구르
(Niko Sigur)
2003년 9월 9일 ([age(2003-09-09)]세) 1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스테픈 유스타키오
(Stephen Eustáquio)
1996년 12월 21일 ([age(1996-12-21)]세) 44 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마티외 슈아니에르
(Mathieu Choinière)
1999년 2월 7일 ([age(1999-02-07)]세) 7 0 파일:스위스 국기.svg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알리 아메드
(Ali Ahmed)
2000년 10월 10일 ([age(2000-10-10)]세) 9 0 파일:캐나다 국기.svg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조너선 오소리오
(Jonathan Osorio)
1992년 6월 12일 ([age(1992-06-12)]세) 80 9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FC
FW 카일 래린
(Cyle Larin)
1995년 4월 17일 ([age(1995-04-17)]세) 75 29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조너선 데이비드
(Jonathan David)
2000년 1월 14일 ([age(2000-01-14)]세) 56 29 파일:프랑스 국기.svg LOSC 릴
타니 올루와시
(Tani Oluwaseyi)
2000년 5월 15일 ([age(2000-05-15)]세) 8 0 파일:미국 국기.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제이콥 샤펠버그
(Jacob Shaffelburg)
1999년 11월 26일 ([age(1999-11-26)]세) 17 4 파일:미국 국기.svg 내슈빌 SC
리암 밀러
(Liam Millar)
1999년 9월 27일 ([age(1999-09-27)]세) 34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헐 시티 AFC
시오 베어
(Theo Bair)
1999년 8월 27일 ([age(1999-08-27)]세) 3 1 파일:프랑스 국기.svg AJ 오세르
산티아고 로페즈
(Santiago López)
2005년 6월 10일 ([age(2005-06-10)]세) 0 0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
콰시 포쿠
(Kwasi Poku)
2003년 2월 6일 ([age(2003-02-06)]세) 0 0 파일:벨기에 국기.svg RWD 몰렌베이크
일정 친선 경기 2024년 10월 16일(수)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7일
}}}}}}}}}}}} ||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anada men's national soccer team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최종 명단)
1 St.클레어 · 2 존스턴 · 3 아데커비 · 4 밀러 · 5 비토리아 · 6 피에트 · 7 유스타키오 · 8 프레이저 · 9 카발리니
10 호일렛 · 11 뷰캐넌 · 12 우그보 · 13 허친슨 · 14 케이 · 15 코네 · 16 판테미스 · 17 래린 · 18 보르얀
19 데이비스 · 20 J.데이비드 · 21 오소리오 · 22 라레이아 · 23 밀러 · 24 워더스푼 · 25 코넬리우스 · 26 워터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허드먼

1 St.클레어 · 2 존스턴 · 3 드 푸제롤 · 4 밀러 · 5 워터먼 · 6 피에트 · 7 유스타키오 · 8 코네 · 9 래린
10 J.데이비드 · 11 베어 · 12 러셀로우 · 13 코넬리우스 · 14 샤펠버그 · 15 봄비토 · 16 크레포 · 17 뷰캐넌 · 18 맥길
19 데이비스 · 20 아메드 · 21 오소리오 · 22 라레이아 · 23 밀러 · 24 슈아니에르 · 25 올루와시 · 26 히버트
파일:UEFA USA.png 제시 마치
파일:UEFA CAN.png 마우로 비엘로 · 파일:UEFA EURO SCO.png 이완 샤프
파일:UEFA EURO AUT.png 프란츠 쉬머 · 파일:UEFA EURO FRA.png 피에르 바리외
파일:UEFA CAN.png 파울로 체카렐리



[1] 라우타로 마르티네스도 15살 무렵부터 본가를 떠나 살았다고 한다. 다만 라우타로는 자국인 아르헨티나 내 타지로 간 것이지만 뷰캐넌은 아예 이웃 나라인 미국으로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