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9:31:02

타임보칸 시리즈

타임보칸에서 넘어옴
1. 개요2. 정식 시리즈3. 기타 작품
3.1. OVA
3.1.1. 타임보칸 왕도복고(1993)
3.1.1.1. 회차 목록
3.2. 드라마 CD
3.2.1. 부활! 세심한 도론보3.2.2. 카엣테키타맨
3.3. 절창 카라오케맨
4. 미디어 믹스
4.1. 게임
5. 기타

1. 개요

タイムボカンシリーズ(Timebokan series)

1975년 작품 타임보칸에서 시작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제작사는 독수리 오형제, 개구리 왕눈이로 유명한 타츠노코 프로덕션. 기획은 코야마 타카오. 그외에 각본가 야마모토 유우, 캐릭터 디자인의 아마노 요시타카와 메카닉 디자인의 오오카와라 쿠니오, 음악의 야마모토 마사유키가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낮지만 일본에서는 건담 시리즈와 더불어서 역사가 오래된 초장기 로봇 완구 시리즈다.

장난감처럼 생긴 메카를 타는 남녀 페어가 삼악이라 불리는 악당들과 시공을 넘나들면서 대결을 벌이는 내용이다. 시리즈마다 이야기는 독립되어 있고, 이야기나 세계관이 이어지지는 않는다. 팬서비스 작품에서 같은 시리즈이므로 자주 크로스오버가 이루어지지만, 실제로 같은 이야기가 이어지지는 않는다.

초대작이 타임보칸(애니메이션)인 것처럼 시간이동타임머신을 소재로 하고 있다. 단 얏타맨은 예외로 시간여행이 아니라 세계여행을 했으며, 젠다맨의 경우 시간여행이 소재이긴 하지만 타임머신은 없다(타임 터널이란 현상을 이용해 시간여행을 하며 젠다라이온 등의 메카 자체에는 타임 머신 기능이 없다.).

등장 메카닉이 완구틱한 조형이라는 것은 물론 우연이 아니다. 첫 작품인 타임보칸부터 완구 회사인 타카토쿠 토이즈[1]가 스폰서를 섰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이었다. 타카토쿠는 타임보칸 시리즈 모든 작품의 스폰서였으며 1983년에 이타다키맨이 인기 부진으로 방영 중단하자 다음 해인 1984년 도산하여 그야말로 타임보칸 시리즈와 운명을 함께 하였다.

파일:タイムボカンロボ.jpg

식완 모델링 프로젝트에서 타츠노코 프로덕션 60주년을 기념하여 프라모델을 발표했는데 무려 역대 타임보칸 시리즈의 메카들을 합체시킨 타임보칸 로보를 발표하였다. 기체의 합체 구성으로는 타임보칸의 타임 메카부톤[2], 얏타맨얏타왕[3], 젠다맨의 젠다 라이온[4], 얏토데타맨의 대천마[5], 오타스케맨의 선데이호[6], 역전 잇파츠맨의 릴리프돈[7], 이타다키맨의 카부토제미[8]. 다만, 괴도 키라메키맨의 메카들이 합체 요소로 등장하지 않았는데, 인터뷰에 따르면 당초 60주년에 맞추어 6대 합체로 기획했으나 타츠노코 측 담당자가 쇼와 타임보칸 시리즈에 맞추어 7대 합체로 해주었음 좋겠다는 제안에 따라 이타다키맨의 카부토제미가 추가되었고, 헤이세이 작품인 키라메키맨은 제외가 된 것이다.

2. 정식 시리즈

2.1. 타임보칸(애니메이션)(1975)

한국 방영명은 TBC & 비디오판에서는 '날아라 태극호', 나중에 SBS에서 재방송될 때는 '날아라 번개호'. 총 61화.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2.2. 얏타맨(1977)

오프닝 오프닝 2
엔딩 엔딩 2
제2작. 한국 방영명은 '이겨라 승리호'.
타임보칸만큼 큰 인기를 끌었으며, 21세기에도 신작 얏타맨이 리메이크되어서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또 얏타맨은 '타임보칸'이지만 타임머신이 나오지 않는 희귀한 작품이기도 하며 대신에 세계 각지를 돌아다닌다. 또 2008년에는 리메이크 작, 2015년에는 얏타맨을 재해석한 밤의 얏타맨이 만들어지는 등 타임보칸 시리즈의 실질적인 간판으로 오리지널이 총 108화, 리메이크가 총 60화, 번외작인 밤의 얏타맨은 1쿨 12화로 도합 180화의 인기 작품이다.

2.3. 젠다맨(1979)

제3작. 타임보칸의 노선으로 회귀를 했으며, 시간여행 이외의 요소는 얏타맨의 대부분의 요소를 가져왔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2.4. 타임패트롤대 오타스케맨(1980)

제4작. 감독 사사가와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 아마노 요시타카. 메카닉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시리즈 구성 각본 코야마 타카오. 타임패트롤대에 소속된 오타스케맨과 오쟈마맨(삼악)의 대립을 다루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2.5. 얏토뎃타맨(1981)

제5작으로 총 52화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2.6. 역전 잇파츠맨(1982)

2.7. 이타다키맨(1983)

2.8. 타임보칸 2000 괴도 키라메키맨(2000)

2.9. 얏타맨 리메이크(2008)

리메이크 된 얏타맨. 한국 방영분은 '이겨라! 얏타맨'. 항목과 함께 설명 참조.

2.10. 밤의 얏타맨(2015)

얏타맨을 재해석하여 만든 작품으로 타임보칸 시리즈답지 않은 어두운 전개가 특징이다. 한국판 제목은 이겨라 승리호 Night이다.

2.11. 타임보칸 24(2016)

2017년에 창립 55주년을 맞이하게되는 기념으로 기획되는 초대 타임보칸을 41년만에 리메이크하는 작품. 레벨 5와 공동기획한다. 덕분에 OLM이 제작협력. 얏타맨 신 시리즈에 이어서 타카라토미가 완구 판매를 맡게된다.

공개된 아트와 완구 사진들, 스토리라인을 보면 초대 타임보칸에서 일부 모티브만 따온 거의 별개의 작품이라고 봐야할 듯.

바로 이전 작인 밤의 얏타맨에서 도론죠 일당을 연기한 성우들이 이번 타임보칸 24에서 그대로 삼악을 연기한다. 방영 당시 기준으로 원조 삼악 성우 중 한명이신 타테카베 카즈야씨가 세상을 떠났고 다른 두 성우도 고연령이다보니 적절한 배역 세대 교체라고 볼 수 있겠다. 한국판 제목은 타임트립 24.

현재로서는 본작이 마지막 타임 보칸 시리즈 애니메이션이다.

3. 기타 작품

3.1. OVA

3.1.1. 타임보칸 왕도복고(1993)



타츠노코 30주년 기념 작품으로, 얏타맨을 중심으로 여러 타츠노코 애니메이션을 크로스오버 패러디 했다. 감독은 시기노 아키라(しぎのあきら). 감수 사사가와 히로시, 코야마 타카오. 캐릭터 디자인 아마노 요시타카. 메카닉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1993년 초반까지 나온 삼악 올스타가 등장한다, 1993년 이후 2000년 방영한 타임보칸 2000 괴도 키라메키맨의 온도레, 루주, 히에르는 등장하지 않는다.

총 2편으로 되어있다.

1편은 원래 타임보칸의 기획이었던 메카닉 레이스. 삼악의 대표를 뽑는다며 타임보칸 시리즈의 삼악들이 총 등장하여 경주를 한다. 하지만 보얏키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데, 그는 이미 고향에 돌아가 라면집을 열고 오하나(고향에서 그를 기다리던 연인)와 가정을 꾸린 몸이었기 때문. 그러나 도론죠톤즈라가 탄 메카가 마죠 일당의 계략에 빠져 위기에 처하자 보얏키는 결국...

1편에선 삼악 성우 세 분이서 일인당 일곱명씩의 캐릭터를 소화하신 셈인데, 어차피 캐릭터들이 서로 똑같아서 크게 힘들지는 않았을 듯.

그나저나 OAV인데도 작화가 TV판 아니메만도 못하다. 2편이 본편이고 1편은 오마케 아니메라는 느낌이 들 정도.

2편은 얏타맨과학닌자대 갓챠맨을 크로스오버 시킨 편으로 되어있다. 타츠노코 프로 캐릭터들이 사는 타츠노코 랜드에서, 도론보가 갓챠맨을 필두로 하는 여러 히어로들과 대결하는 내용. 1편에서 도론보가 삼악 대표로 뽑혔으니 이리 되었겠지만, 그 이전에 갓챠맨이 보얏키네 가게에서 음식값을 안 내고 튀었던 것이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 엄청나게 쪼잔한 대결인 셈.

애니메이터로 이구치 츄이치, 카노 아키라(加野 晃), 카모가와 유타카, 스다 마사미, 이토 나오유키, 이타노 이치로, 오오바리 마사미 등이 참가해 작화도 뛰어나고 타임보칸 시리즈의 정수를 잘 살려 호평 받는 명작이다. 타임보칸 팬 사이에서는 시리즈 입문 영업용 작품으로 통한다. 영국 평론가 헬렌 매카시가 호평했다.

국내에선 과거 투니버스를 통해 더빙 방영된 적이 있었다.
3.1.1.1.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발매일
1 チキチキ・ウゴウゴ・ホゲホゲマシーン猛レース
치키치키 우고우고 호게호게 머신 맹 레이스
아카호리 사토루 시기노 아키라
(しぎのあきら)
이구치 츄이치 1993.11.26.
2 タツノッコン王国で同窓会だコロン
타츠노코 왕국에서 동창회다 코론
세키지마 마요리 카노 아키라
(加野 晃)
1994.1.1.

3.2. 드라마 CD

3.2.1. 부활! 세심한 도론보

3.2.2. 카엣테키타맨

3.3. 절창 카라오케맨

파일:절창 카라오케맨.jpg
부분 확대샷

1993년에 발매된 '타임보칸 싱글 콜렉션 75-92' 앨범에 이미지송으로 '절창 카라오케맨'이라는 가상의 시리즈의 주제곡이 들어가있다. 또한 1992년 12월에 해당 곡이 싱글
앨범으로 발매되기도 했다. 이미지송일 뿐이지만 작곡가도 타임보칸 시리즈에 줄곧 참여했던 야마모토 마사유키이며, 곡 자체도 후기 타임보칸 시리즈의 느낌이 가득하다.

이 절창 카라오케맨은 타임보칸 시리즈 30주년 기념 기획 앨범이었던 '타임보칸 카라오케 박람회' 내에 수록된 드라마 CD에만 나오는 오리지날 시리즈(?)라고하는데, 그 때문인지 관련 자료라고는 해당 앨범의 부클릿에 수록된 위의 이미지 단 한장밖에없다.[9] 물론 애니메이션으로도 만들어진 적이 없기에 공식적인 타임보칸 시리즈에 들어가지도않는다.

다만 타임보칸 싱글 콜렉션 75-92 앨범 제목에 있는 1992년은 이타다키맨 이후 한동안 타임보칸 시리즈가 만들어지지않았던 시기에 들어가는지라 어쩌면 당시 타임보칸 시리즈를 재개시킬 시리즈로 기획했다가 엎어졌던 물건이었을지도 모르겠지만 앨범 이름에 '카라오케'가 붙는 것과 더불어 가사 중에 'J-A-S-R-A-C, JASRAC 지키자 저작권'이란 소절이 있는 것, 싱글 앨범에 함께 수록된 곡인 ‘디스코 키라키라 스타’가 오타스케맨까지의 주제곡들의 가사가 아무렇게나 뒤섞인 것을 도론보 일당이 부르는 구성임을 생각해보면 그냥 앨범의 제목과 운을 맞출겸 장난삼아 설정해놓은 일종의 조크일지도.

4. 미디어 믹스

4.1. 게임

5. 기타

비슷한 시기에 타츠노코 프로가 제작한 "터무니없는 전사 무테킹"을 타임보칸 시리즈로 잘못 알고 있는 이들이 제법 많다. 사실 제작사, 스탭, 작품의 분위기와 등장 메카닉, 캐릭터 구성 등이 유사점이 많기 때문에 착각할 만도 하다. 허나 무테킹에는 삼악이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타임보칸 시리즈에 끼워주지 않는다.[10] 타임보칸 시리즈는 작품의 아이덴티티가 주인공이 아니라 악당인 셈.[11]

이외에도 1990년에 반다이 비주얼을 통해 공개된[12] OVA 애니메이션인 '전국무장열전 폭풍동자 힛사츠맨'[13]사사가와 히로시를 비롯한 타임보칸 시리즈의 제작진들이 다수 참여한 영향으로 타임보칸 시리즈와는 별개의 작품이지만 곳곳에서 타임보칸 시리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흔적이 보인다. 일단 시간여행이 테마이고, 삼악과 주인공의 대립이라는 타임보칸 시리즈의 기본 포맷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주제가 '힛사츠맨의 노래'도 야마모토 마사유키가 작사, 작곡, 노래를 담당했고, 삼악 중 리더의 성우 역시 오하라 노리코가 담당하였다. 내레이션이 토미야마 케이라는 점도 빼박. 그러나 타임보칸 시리즈와 큰 차이가 하나 있다면, 본작의 삼악은 전원이 여성으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이다.


[1] "완전변형 VF-1 발키리" 완구를 만들었던 회사. 타카토쿠에 대한 설명은 여기로: #[2] 합체시에는 가슴 장식이나 어깨, 허리 아머 등을 구성한다.[3] 합체시에는 왼팔이 된다.[4] 합체시에는 머리가 가슴 장식, 동체가 오른팔이 된다.[5] 합체시에는 왼쪽 다리를 담당한다.[6] 합체시에는 날개와 동체가 된다.[7] 토큐자우루스에서 삼관왕이 분리한 형태. 합체시에는 오른쪽 다리가 된다.[8] 합체시 골반 쪽의 아머와 무기 등을 구성한다.[9] 부클릿의 내용을 보면 설정 상으로는 남녀 페어 구도로서 2호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0] 악역 쿠로타코 남매의 캐릭터 구성이 삼악과 흡사하긴 하다. 이쪽은 3명이 아니라 4명이지만.[11] 대체로 악역들이 담당하는 주제가가 엔딩으로 나오며, 삼악이 부르는 삽입곡들이 더 많고 주인공보다 인지도가 높은 점 등.[12] 실제 제작사는 1990년대 신조인간 캐산의 OVA 애니를 제작했던 아트믹.[13] 힛사츠는 필살(必殺)의 일본어발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