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19:50:53

타이중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속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타이중역(고속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타이중역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타이완철로유한회사
주소

개업일
1905년 5월 15일
노선거리표
타이중선
타이중
파일:Taichung_station_new.jpg

台中車站 / Taichung Station

1. 개요2. 승강장3. 타이중 첩운4. 역 주변 정보5. 일평균 이용객

[clearfix]

1. 개요

대만 타이중시에 위치한 타이중선의 역이다.

3면 5선의 고가역으로 2016년 10월 16일에 고가화가 완료되었고, 새롭게 만든 역사로 이전하였다. 역 광장은 2018년 9월에서 완공되었다. 대만의 타 대도시[2]와는 다르게 철도 지하화가 아닌 고가화를 택한 것이 특이할만한 점인데, 사실 원래 처음에는 타 도시처럼 지하화를 하려다가 설계 과정에서 비리 적발로 사업이 한 번 갈아엎어진 뒤 지금처럼 고가화가 된 것.
파일:Taichung_station_old.jpg
이전 역 건물은 1917년에 지어진 건물로 대만의 2급 사적으로 지정되어있다. 옛 선로와 승강장 일부를 그대로 보존하고 퇴역한 열차 일부를 활용해 상업 및 문화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타이중시의 중심이 되는 역이다. 타이난역처럼 예전에는 사탕수수와 설탕을 나르는 타이완당업철로의 시종착역이기도 했으나 80년대에 폐선되었다.

편의점은 역 진입 전 1층에 패밀리마트 있고, 2층 매표소 뒤쪽에 세븐일레븐이 있다. 개찰구 내에도 패밀리마트가 있는데 2층에 있는 편의점들은 규모가 매우 작다. 1층 패밀리마트나 역 반대편 세븐일레븐 이용을 권장한다.

이 역에서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중역을 가려면 이 역에서 가오슝역 방향으로 가는 구간차를 타고 신우르역에서 내려야한다. 신우르역까지는 11분 소요되며 표 가격은 한국 돈 600원 정도로 개찰구에서 교통카드로 탑승해도 된다.

2. 승강장

징우
3A 2B 2A 1B 1A
우취안
1A·1B 장화·타이난·가오슝 방면
2A·2B 신주·타이베이 방면
3A 회차용

3번 승강장은 타이중역에서 출발하여 남회선을 경유 타이둥역까지 가는 간선열차가 이용하고 있다. 북행 열차는 바로 아래 있는 장화역에서 회차가 가능하므로 이 곳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는 없고, 남행 열차만 3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타이중역에서 종착하는 구간차는 1번 승강장으로 진입 후 복편으로 변경하여 바로 출발한다.

3. 타이중 첩운

타이중 첩운 남선과 공항첩운이 이 역을 지나갈 예정이다.

4. 역 주변 정보

역 앞은 한국의 청계천을 벤치마킹하여 정비한 작은 하천인 녹천(綠川)이 있고 제1광장과 제2시장 주변으로 많은 가게들이 있는 전형적인 대도시의 원도심 지역이다.

역 정문에서 조금만 나가면 궁원안과(宮原眼科)라는 유명한 베이커리가 있다.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대만일치시기 미야하라(宮原)라는 의사가 운영했던 안과로 한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는 곳이다. 타이중주청 근처에는 홍루이젠 타이중본점이 있다.

역 후문 쪽에는 설탕공장과 주류공장 부지를 재활용한 제국설탕공장호반생태공원과 타이중문화창의산업단지가 있다. 역 주변에 백화점은 없지만 후문 쪽에 타로코쇼핑몰이 있으며, 후문에서 10분 정도 걸어가면 2022년 개장한 미쓰이 Lalaport 아울렛 몰이 있다.

역 정문 쪽에는 타이중주청과 타이중공원이 후문 쪽에 타이중 최고 명문인 국립중흥대학이 역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대만 날씨를 감안하면 걸어가기에 약간 부담스러울 수 있다.

타이중역 또한 다른 곳처럼 역 주변에 시외버스를 탑승할 수 있는 곳이 있는데 타 지역에 비해 복잡하다. 환승터미널이 없어진 2022년 12월 기준 통련객운과 타이중객운 탑승장은 역 건물 동쪽 1층에 있으며, 국광객운과 나머지 소규모 회사들은 타이중역 앞 쌍십로1가(雙十路一段)에 있는 간청정류장(干城站)에서 탑승해야 한다. 간청정류장은 쌍십로1가 두 블럭에 걸쳐 각 운수회사별 정류장이 늘어서 있다. 가장 가까운 버스회사의 정류장은 역에서 5분 거리이며, 일월담 가는 난터우객운 정류장이 가장 멀리 있는데 걸어서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택시 탑승시에는 역사 정문에서 좌측 광장 방면으로 내려가지 말고 앞으로 직진하여 택시 탑승구 쪽으로 내려가면 된다. 타이중역 앞은 정류장이 워낙 많아서 시내버스 타기 매우 복잡한 곳인데 현재는 일부 노선이 역 하부 버스 정류장을 경유하고 있다. 택시와 마찬가지로 좌측 광장 방면으로 내려가지 말고 직진하여 버스 번호가 적힌 곳을 따라 내려가면 된다.

대만 대도시의 역들이 휴일 외노자들의 집결지 역할을 하고 있고, 노숙자들도 기차역 앞에 많이 있는데 타이중역이 유독 그 정도가 심하다. 아직까지 행인에게 피해를 주는 사례는 보고된 바 없어서 큰 상관은 없지만 여행 시 참고해 두는 것이 좋다.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90980><bgcolor=#090980> 연도 ||
파일:타이완 철로관리국 로고.svg
||<bgcolor=#09098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1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71년 30,963
1972년 33,224
1973년 34,961
1974년 35,125
1975년 34,078
1976년 32,202
1977년 29,745
1978년 26,941
1979년 20,717
1980년 21,743
1981년 20,860
1982년 21,010
1983년 20,415
1984년 20,976
1985년 20,944
1986년 21,033
1987년 21,842
1988년 24,071
1989년 24,164
1990년 24,120
1991년 27,499
1992년 32,372
1993년 35,109
1994년 36,068
1995년 36,896
1996년 35,415
1997년 37,902
1998년 39,884
1999년 41,870
2000년 46,495
2001년 43,156
2002년 41,529
2003년 36,456
2004년 36,910
2005년 36,348
2006년 36,372
2007년 36,897
2008년 39,683
2009년 40,767 }}}}}}}}}
2010년 42,873
2011년 45,776
2012년 49,061
2013년 50,949
2014년 51,545
2015년 53,758
2016년 54,446
2017년 53,238
2018년 52,054
2019년 51,995
2020년 43,908
출처
타이완철로유한회사
대만철로통계연보



[1] 1일 1회 탄쯔정차[2] 타이베이(완공), 가오슝(완공), 타이난(공사중), 타오위안(공사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