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19:47:25

타운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모빌리티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서비스명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렬 / 서비스나 운영주체 문서 또는 문단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기재 / 종료된 서비스는 취소선으로 표시
승객 운송
택시
직영혼합 스윙택시(스윙) | 카카오 T 택시(카카오T) | 타다 | 파파 | i.M택시
가맹 온다택시(티머니GO) | Uber Taxi(Uber)
중개 대구로 택시(대구로) | 리본택시 | 반반택시 | 티머니GO
라이드헤일링 카카오 T 셔틀(카카오T) | 카카오 T 카풀(카카오T) | 타다 Basic(타다)
대리 카카오 T 대리(카카오T) | TMAP 대리(TMAP)
차량 공유
자동차(렌터카) 쏘카 | 투루카 | G카 | 타운카 | 티머니GO 렌터카(티머니GO) | TMAP 렌터카(TMAP)
스쿠터 스윙
킥보드 다트 | 디어 | | 스윙 | 쏘카일레클 | 씽씽 | 알파카 | 지쿠 | 킥고잉 | 킥스 | 타고가 | 터틀 | 플라워로드
자전거
기업 메리바이크 | 발켄M | | 스윙 | 쏘카일레클 | 씽씽 | 알바이크 | 에브리바이크 | 지쿠 | 체리 | 카카오 T 바이크(카카오T) | 킥고잉 | 티맵바이크(TMAP)
공공 그린씽 | 꽃싱이 | 누비자 | 달려보령 | 따릉이 | 백제씽씽 | 양산시 공공자전거 | 어울링 | 여수랑 | 온누리자전거 | 이킥 | 타고가야 | 타랑께 | 타슈
교통 정보
내비게이션 구글 지도 | 네이버 지도 | 아이나비에어 | 아틀란 | 카카오내비 | 카카오맵 | Apple 지도 | TMAP
예약 네이버 지도 | 쏘카 | 카카오 T 시외버스(카카오T) | 코레일톡 | 토스 | 티머니GO | SRT
주차/발렛 모두의주차장 | 카카오 T 주차(카카오T) | 투루파킹 | TMAP 주차(TMAP)
대중교통 네이버 지도 | 카카오맵 | 티머니GO | TMAP 대중교통(TMAP)
주유/충전소 카카오내비 | TMAP
화물 운송
콜밴
퀵/배달 카카오 T 퀵(카카오T) | HOMEPICK(티머니GO) | TMAP 화물(TMAP)
차량 관리
수리/세차 네이버페이 MY CAR(네이버페이) | 카카오내비 | 카카오 T 마이카(카카오T)
중고차 기아 인증중고차 | 엔카 | 케이카 | 헤이딜러 | 현대 인증중고차 | KB차차차
진단 인포카
}}}}}} ||


타운카
TOWNCAR
파일:타운카_로고.svg
<colbgcolor=#00C4B1><colcolor=#ffffff> 법인명 (주)타운즈
브랜드명 타운카(TOWNCAR)
설립일 2019년 9월
대표 최윤진, 정종규
주소
서울본사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38, 328호
업종 개인 간 차량공유 서비스 플랫폼
기업 분류 스타트업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타운카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블로그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1. 개요2. 이용자 관점의 타운카 (P2P 개인 간 차량 공유) 모델 장점
2.1. 저렴한 가격2.2. 다양한 차종과 깨끗한 차량 컨디션2.3. 가까운 차고지2.4. 타 서비스와의 비교
3. 공유자 관점의 타운카 (P2P 개인 간 차량 공유) 모델 장점
3.1. 유휴 차량을 이용한 수익 창출3.2. 차량 유지/운영 비용 절감
4. 이용방법
4.1. 이용자 - 차량대여4.2. 차주 - 등록 및 사업 운영
5. 관련 법률 및 규제 사항과 전망
5.1. 관련 법률 규제 사항5.2. 불법 차량 대여와 타운카의 차이
6. 투자 및 파트너십7. 외부 링크

타운카 서비스 소개영상


1. 개요

가까운 사이, 더 편한 이동
타운카는 개인 차량 소유자와 차량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를 연결하는 공유경제 기반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일반 렌터카와 달리 개인 차량을 활용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다양한 차종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 이용자는 타운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을 등록하거나 예약할 수 있으며, 보험 및 결제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2. 이용자 관점의 타운카 (P2P 개인 간 차량 공유) 모델 장점

2.1. 저렴한 가격

아무래도 개인이 가격을 설정하기 때문에 타 렌트 플랫폼보다 가격이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앱을 다운로드해서 차량 가격을 보면 보통 다른 렌트카 가격의 30% ~ 50%정도 저렴하다.
준중형 세단( 현대 아반떼/7세대 ) 24시간 대여 요금 비교
서비스 평균 대여 요금 (1일) 보험료 km당 금액 총 비용 가격 차이
쏘카 약 72,060원 18,720~41,570원 170-220원 최대 113,600원(+거리비용) 53% 비쌈 ↑
<rowcolor=#fff> 타운카 약 45,800원 10,000~15,000원 158원 최대 60,800원(+거리비용) 53% 저렴 ↓

2.2. 다양한 차종과 깨끗한 차량 컨디션

다양한 차종이 많다.# 또한 개인이 직접 관리하므로 차량 컨디션도 아주 우수한 경우가 많다.
<rowcolor=#ffffff> 차량 평균 대여 요금 (1일) 보험료 km당 금액 총 비용
포르쉐 718 박스터 S 약 420,000원 10,000~15,000원 260원 약 435,000원(+거리비용)
폴스타2 롱레인지 싱글모터 약 101,200원 10,000~15,000원 118원 약 126,200원(+거리비용)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쿠페·카브리올레 4MATIC 약 126,800원 10,000~15,000원 157원 약 141,800원(+거리비용)
벤츠 C200 Cabriolet 약 91,700원 10,000~15,000원 228원 약 106,700원(+거리비용)
벤츠 A220 세단 약 80,400원 10,000~15,000원 202원 약 95,400원(+거리비용)
기아 스팅어 3.3 터보 GT 약 69,800 10,000~15,000원 266원 약 84,800원(+거리비용)
기아 카니발 리무진 시그니처 약 101,200원 10,000~15,000원 280원 약 116,200원(+거리비용)
테슬라 모델 Y 롱 레인지 약 150,200원 10,000~15,000원 105원 165,200원(+거리비용)

위에 표 외에도 포르쉐 카이엔을 비롯해 일반 렌터카에서는 보기 어려운 다양한 차량이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도 꾸준히 새로운 차종이 추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개성 있는 타운카 차량들이 커뮤니티에서 공유되며 관심을 받고 있다.

타운카 마칸 터보, 머스탱 컨버 등장 ㄷㄷ
타운카에 타이칸 등장
타운카 엄청나네

2.3. 가까운 차고지

타운카의 강점 중 하나는 이용자가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서 차량을 대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차고지가 가까운 차량을 선택하면 차량 인수와 반납이 간편해져 이동 시간이 단축되며, 추가 교통비 없이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차주와의 거리도 가까워 일정 조정이 유연해지고, 필요한 경우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지역 내 등록된 차량이 많을수록 다양한 차종과 옵션을 비교하며 원하는 차량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2.4. 타 서비스와의 비교

타운카는 기존의 카셰어링 서비스인 쏘카, 그린카와 비교하여 차량 종류와 이용 요금 측면에서 더 나은 선택지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기존 카셰어링 서비스는 법인이 보유한 차량을 대여하는 방식이지만, 타운카는 개인 차량을 등록하여 대여하는 P2P(개인 간) 차량 공유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이로 인해 차량의 다양성과 요금 경쟁력에서 차별화된 장점을 가진다.
비교 항목 <colbgcolor=#00C8B1><colcolor=#fff> 타운카 (P2P 카셰어링 서비스) 쏘카 (카셰어링 서비스) 그린카 (카셰어링 서비스)
운영 방식 개인 차량 공유 (P2P),
차주 주차장
법인 차량 소유, 대여소 기반 법인 차량 소유, 대여소 기반
차량 소유 일반인 소유 차량을 등록 쏘카가 직접 보유 그린카가 직접 보유
차량 종류 다양한 개인 차량 (일반차, 전기차, 스포츠카, 고급차 등) 주로 국산차 중심
(아반떼, 쏘나타, K5 등)
국산차 위주
(아반떼, 쏘나타, K5 등)
이용 요금 기존 보유 중인 차량으로 운영
→ 저렴한 가격
차량 가격, 관리 등 부가비가 많음
→ 높은 요금
차량 가격, 관리 등 부가비가 많음
→ 높은 요금
대여 방식 차주와 협의 후 대여 or 내 집 앞에서 대여 지정된 쏘카존에서 대여 지정된 그린존에서 대여
대여 가능 지역 경기도 전역 가능
(차주가 있는 곳)
(서울 지역 풀릴 예정)
쏘카존이 있는 곳에서만 가능 그린존이 있는 곳에서만 가능
보험 삼성화재, 캐롯 전용 보험 적용 자체 보험 적용 자체 보험 적용
회원제 여부 차주, 이용자 회원 가입 필요
(앱 사용)
회원 가입 필요 회원 가입 필요
단기 대여
가능 여부
10분 단위 대여 가능 10분 단위 대여 가능 10분 단위 대여 가능
장기 대여
가능 여부
1일 이상 대여 가능
(쏘카, 그린카 대비 저렴)
1일 이상 대여 가능하지만
비싸짐
1일 이상 대여 가능하지만
비싸짐
차량 소유자의 수익성 차량을 공유하여 수익 창출 가능 차량 수익 불가 (단순 대여) 차량 수익 불가 (단순 대여)
회원 세제혜택 자동차세 90% 감면,
차량 구매 시, 15% 할인 구매
없음 없음

3. 공유자 관점의 타운카 (P2P 개인 간 차량 공유) 모델 장점

3.1. 유휴 차량을 이용한 수익 창출

타운카를 활용하면 차량 소유자는 단순히 차를 보유하는 것을 넘어 매월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기존에는 차량을 소유하는 것이 곧 비용 부담으로 이어졌지만, 타운카를 통해 차량을 등록하면 남는 시간을 활용하여 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

실제 타운카 차주들의 평균 수익을 살펴보면 차량의 등급, 대여 빈도, 지역에 따라 수익 차이가 있지만 월평균 70~100만 원 정도의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을 두 대 이상 보유한 경우, 수익 규모가 더욱 커지며 한 달에 350만 원 이상 수익을 올리는 차주들도 존재한다.

안정적인 수익 창출
차량을 소유하고 있다면, 유효 시간을 활용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차량 공유 서비스다. 차량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 동안 다른 이용자에게 대여함으로써 추가적인 부담 없이 지속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단순히 자동차를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매월 고정적인 지출이 발생하는데, 이를 오히려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차량 공유를 통해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할 기회도 생긴다. 일반 렌터카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개성 있는 차량을 찾는 고객이 많기 때문에, 고급차나 전기차와 같은 특정 차종의 경우 더욱 높은 대여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희소성이 높은 차량을 보유한 경우 수익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단기 대여뿐만 아니라 장기 대여 옵션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차량 공유 서비스는 몇 시간 단위의 단기 대여뿐만 아니라, 1주일 혹은 한 달 단위의 장기 대여도 가능하다. 장기 계약을 확보하면 보다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해지고, 대여 기간 동안 차량 관리 부담도 줄어든다.

유연한 운영 가능
특히 차량 공유 서비스는 유연한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타운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 대여 조건을 설정하거나 이용자와 소통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스케줄에 맞춰 운영할 수 있다. 출퇴근 시간에는 직접 차량을 이용하고, 주말이나 여행 기간에는 공유를 통해 추가적인 수익을 올리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낮은 초기 비용 부담
무엇보다 차량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면 초기 비용 부담이 전혀 없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별다른 추가 투자 없이 '0원'으로 부업을 시작할 수 있어, 특히 차량 유지비가 부담스러운 경우라면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단순히 주차장에 세워두는 대신, 개인 차량을 활용해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수 있는 서비스는 타운카가 독보적이다.
타운카 vs. 주식 & 부동산 – 왜 타운카가 더 좋은 선택일까?

많은 사람들이 부업이나 재테크로 주식 투자와 부동산 임대를 고려하지만, 타운카는 이보다 더 접근성이 높고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제공한다.

주식 투자와의 차이점
주식은 시장 타이밍을 맞추기 어렵고, 단기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특히, 주식 시장이 하락하면 투자금이 손실될 가능성이 높으며,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공부와 시장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반면, 타운카는 매달 꾸준한 수익이 발생하며, 차량이 있는 사람이라면 별다른 추가 투자 없이 시작할 수 있다

부동산 임대와의 차이점
부동산 임대업은 높은 초기 투자금이 필요하며, 전세·월세 임차인 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부동산 시장의 규제 변화나 금리 인상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수익성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타운카는 차량 한 대만으로 부업을 시작할 수 있으며, 초기 투자금 없이 차량을 등록하는 것만으로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3.2. 차량 유지/운영 비용 절감

세주TV 김주현 세무사에 따르면, 기존의 사업용 차량은 비용 처리에 한도가 있고, 특정 차종만 부가세 환급이 가능하다. 반면, 타운카의 ‘개인영업 사업자’는 개인도 등록이 가능하며, 세금 감면 효과가 크고 비용 처리가 자유롭다.

기존에는 사업자가 아니면 차량을 통한 절세 방법이 거의 없었지만, 타운카를 통해 차량을 등록하면 누구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자동차세가 매년 90% 감면되며, 차량 구매 시 개별소비세교육세 면제로 최대 15%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절세 효과와 함께 차량 대여 수익을 창출하면, 차량 유지비를 줄이고 실질적인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타운카 세제 혜택 내용
타운카에 차량을 등록하면 일반적인 개인 차량과는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 기본적으로 렌터카와 동일한 '영업용 차량'으로 등록되면서 다음과 같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실제 절감 효과
평균적으로 차량을 타운카에 등록하면 '연간 약 750만 원 이상 절감'할 수 있다. 특히, '8천만 원 짜리 차량 기준으로 보면 약 1,200만 원 절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자동차세 감면뿐만 아니라, '차량 구매 단계부터 유지 비용까지 전반적인 절세 효과가 적용되는 것'이 타운카 세제혜택의 핵심이다.
타운카 차주 실제 세제혜택 사례


타운카에 차량을 등록하면 자동차세 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소유한 차량은 배기량 기준으로 자동차세가 부과되지만, 타운카에 등록하면 렌터카와 동일한 기준이 적용되어 자동차세가 크게 줄어든다.

예를 들어, 2000cc 차량의 경우 일반적으로 연간 약 52만 원의 자동차세가 부과되지만, 타운카에 등록하면 약 10만 원 수준으로 낮아진다. 또한, 전기차의 경우 일반적으로 13만 원의 자동차세를 내야 하지만, 타운카에 등록하면 동일하게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실제 사례로, 타운카 차주인 경기도 구리 갈매의 장경환 차주는 타운카를 활용해 약 1,200만 원의 세제 혜택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처음에는 아우디 A6를 등록했고, 이후 전기차 모델 Y를 추가로 등록하면서 세제 혜택과 차량 운영 비용 절감 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었다.

타운카를 통한 세제 혜택은 차량 유지비 절감뿐만 아니라, 차량 감가상각 방어에도 도움이 된다. 차량을 공유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감가상각으로 인한 손실을 보완할 수 있다. 장경환 차주는 타운카 수익을 활용해 차량 할부금과 유지비를 충당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을 보다 경제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세 절감 혜택과 부수입 창출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점에서, 타운카는 차량을 보유한 차주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로 자리 잡고 있다.

4. 이용방법

타운카는 개인 간 차량 공유 서비스로, 앱을 통해 다양한 차종을 합리적인 가격에 대여할 수 있다. 회원가입 후 본인인증과 운전면허 등록을 마치면, 위치 기반으로 차량을 검색하고 예약 가능. 차량 인수는 차주와 직접 만나 진행하며, 반납 후 최종 결제가 이루어진다. 타운카 앱 다운로드

차주는 앱에서 차량을 등록하고 대여 가능 시간과 요금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약 승인 여부도 직접 결정 가능. 차량 전달 방식은 ‘직접가서 타기’와 ‘우리집 주차장에서 타기’ 중 선택. 대여 기간 동안 삼성화재 전용 보험이 적용되며, 사고 발생 시 보험 처리가 가능하다. 정산은 차량 반납 후 진행. 자세한 운영 방식은 타운카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4.1. 이용자 - 차량대여

P2P 차량 공유 서비스 타운카를 이용하면 개인 차주가 등록한 차량을 합리적인 가격에 빌릴 수 있다. 기존 렌터카 서비스와 달리 다양한 차종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앱을 통해 간편하게 예약하고 비대면으로 차량을 인수할 수 있다.

타운카를 이용하려면 먼저 앱을 다운로드하고 회원가입 후 본인인증을 완료해야 한다. 차량 대여를 위해 운전면허를 등록한 후, 내 위치 기반으로 주위 차량을 추천해 주고 차종, 옵션, 가격을 확인한 뒤 예약을 진행한다. 결제 후 예약이 완료되면 차량 위치를 확인하고 지정된 시간에 차량을 픽업하면 된다.

차량 인수는 차주 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며 직접 만나 키를 받아야 한다. 차량 이용 전 외관과 상태를 점검한 후 운행을 시작하며, 정해진 반납 시간 내에 지정된 장소로 차량을 돌려줘야 하며 반납 후에는 앱에서 최종 결제가 이루어진다.

타운카는 삼성화재와 제휴하여 P2P 차량 공유에 특화된 보험을 제공하며, 사고 발생 시 앱을 통해 보험 접수 및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예약 취소 시점에 따라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이용 전 정책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4.2. 차주 - 등록 및 사업 운영

차주는 타운카 앱에서 차량을 등록하고, 대여 가능 시간과 요금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차량이 필요한 사용자가 예약을 하면 차주는 이를 승인하거나 거절할 수 있으며, 차량 전달 방식은 직접 만나서 차량 키를 전달받는 ‘직접가서 타기’와 이용자의 주차장에서 타는 ‘우리집 주차장에서 타기’ 방식이 있다. 대여 기간 동안 삼성화재의 타운카 전용 보험이 적용되므로, 사고 발생 시 차주도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차량이 반납되면 차주는 차량 상태를 확인한 후 대여가 완료되면 수익을 정산받는다.

더 자세한 차량 운영 방식은 타운카 유튜브 채널의 ‘타운카 차주 대여 운영 방법’을 참고하면 알 수 있다.

타운카 차주 대여 운영 방법은 총 4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약 발생부터 차량 반납 후, 정산까지 친절하게 만들어진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타운카 차주 대여 운영 방법

5. 관련 법률 및 규제 사항과 전망

타운카는 대한민국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및 관련 법령을 준수하며 운영되는 P2P(개인 간) 차량 공유 서비스다. 기존에는 개인이 차량을 공유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법적으로 어려웠지만,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개인 차량도 합법적으로 대여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5.1. 관련 법률 규제 사항

①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개정 전)
따라서 일반 개인이 자신의 차량을 공유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②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타운카 합법 운영

5.2. 불법 차량 대여와 타운카의 차이

일반적으로 개인이 차량을 대여하는 행위는 불법(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이지만, 타운카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법적 허용된 서비스로 운영된다.

합법적인 타운카 운영 방식
🚫 불법 차량 대여 예시(주의 필요)

6. 투자 및 파트너십

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