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7 13:00:29

킹방원 메이커

킹방원 메이커
파일:킹방원__메이커.jpg
장르 대체역사
작가 날아오르기
출판사 문피아
연재처
[ 펼치기 · 접기 ]
문피아
원스토리
네이버 시리즈
버프툰
카카오페이지
미스터블루
교보문고
조아라
리디
북큐브
무툰
<nopad> 연재기간 2020.08.22.~2021.11.02.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등장인물
4.1. 현대4.2. 주인공
4.2.1. 조선왕실
4.2.1.1. 관료
4.2.1.1.1. 문관4.2.1.1.2. 무관
4.3. 북명4.4. 전주
5. 설정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대체역사 착각물 웹소설. 작가는 《철혈의 제국》과 《배우, 조선왕이 되다!》로 유명한 날아오르기.

조선 초 태조 시대를 배경으로, 현대인 주인공이 조선시대 인물에 빙의해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2. 줄거리

갑자기 정도전이 됐다.
그리고 이방원을 왕으로 만들어야 한다.
왕자의 난을 일으키지 않고...
그런데 이 시절 조선은 그냥 지옥이었다.
이것도 바꿔야 했다.
정몽주를 죽인 이후 시점에 정도전으로 빙의[1]하여 살아남기 위해 이방원과 손잡고 조선을 바꿔가는 내용이다.

3. 연재 현황

문피아에서 2020년 8월 22일부터 연재됐다. 2020년 10월 29일 유료 연재로 전환되었다.

4. 등장인물

4.1. 현대

4.2. 주인공

4.2.1. 조선왕실

4.2.1.1. 관료
4.2.1.1.1. 문관
4.2.1.1.2. 무관

4.3. 북명

4.4. 전주

5. 설정



[1] 사실은 빙의라기보다는 정신융합에 가깝다.[2] 초반부에 대동법을 제안했다가 온갖 반박을 당하고 데꿀멍하기도 한다. 그런데 후반부에 결국 대동법을 시행해야만 하는 상황이 오면서 '과연 삼봉!'이라는 평가를 받는다(...).[3] 결국 제 5대 조선왕인 단종(정종이 즉위하지 않았기 때문) 아래에서 120세까지 일을 하다 지나치게 무병장수해버리고 운명(...). 심지어 마지막 일이 계유정난 분쇄하기[4] 초반부에는 이성계와 이방원 모두, 이방원을 제물로 조선의 국력을 강화하고 왕위는 이방석에게 넘기고 재상총재제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의심하기도 했으나, 정도전은 조선의 국력과 국위를 명나라와 맞설 수 있도록 강화시키면서도 차기 왕으로 이방원을 세워야 함을 끊임없이 어필했다. 결국 이성계는 자신의 뒤를 이어 조선을 고려의 속박으로부터 풀어낼 왕의 자질을 지닌 후계자가 이방원임을 받아들여 그가 받아야 할 오욕을 자신의 대에 최대한 정리하려는 등 부자 간의 정을 회복했다. 이방원은 자신의 정치력을 왕권의 강화만이 아닌, 민본에도 발휘함으로써 귀족→권문세족→사대부로 끝내 살아남을 지주층을 자신의 정치력으로 몰아내 정도전의 민본을 실현시킬 왕재를 발휘하여 명군 세종대왕의 토대를 만들 역할만이 아닌, 태종 이방원의 업적 역시 명군으로 칭송받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둘은 이러한 역할을 가능케 한 사람이 정도전임을 알고 있었기에 정도전에 대해 굳건한 신뢰를 보낸다. 이방원의 즉위 이후 왕가의 절대적인 신뢰를 얻게 되었음에도, 정도전은 자신에게 쏠린 권력으로 인해 왕실과 조정에 부담이 될 것을 항상 경계해 왔다. 이런 태도가 군왕들에게는 절대로 배신할 가능성이 없는 충신으로 비쳤음은 물론이다. 계유정난을 막 정리하고 나서 죽음을 맞이하는 정도전의 유언을 들은 이홍위는 태조의 벗이자 태종의 숙부, 세종과 문종 그리고 자신의 사부인 정도전을 믿는다고 답한다. 그리고 정도전이 끝내 사망하자 신하들에게 정도전의 민본이 군왕을 초월한 조선의 모든 것이며, 이를 어길 시 구족을 멸할 것을 맹세한다.[5] 조선 건국 초창기가 조선의 황금기라는 것을 입증하듯 작 중 조선에서 실무에 능한 관리는 정말이지 많지만, 이러한 실무 하나하나가 국가적인 발전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거시적인 안목으로 조선의 발전에 필요한 정책을 제시할 사람이 필요했는데, 빙의 전 미래 지식을 통해 시대를 뛰어넘는 정책을 제시해줄 수 있는 정도전은 대체 불가의 존재이기 때문이다.[6] 호랑이를 포획한 다음, 명의 사신이 올 때마다 오는 길에 풀어놔서 잡아먹게 하는 식으로 외교를 짬시켰다.[7] 진정한 가별초의 수장만이 물려받을 수 있는 칭호라고 한다. 실제 역사에서도 원래 이방우가 전주 이씨의 가주로, 이방과가 가별초의 수장으로서 키워지고 있었던 상황임을 고려하면 전장에서 언제나 이성계를 수행하는 무인의 입장이었던 이방과가 이러한 칭호를 물려받는 것이 절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참고로 이방과 이후로 이 칭호를 물려받은 사람이 없다가 3번째로 상승불패의 명장 칭호를 받은 인물이 바로 이 역사에서의 이순신이라고 한다.[8] 고려 사신단이 송나라에 끼친 패악보다 더하다고(...). 송에서는 고려 사신단에 대한 반감 역시 존재했는데 이는 북송의 시인이자 정치가였던 소식 문서에서 엿볼 수 있다.[9] 물론 그렇다고 이성계처럼 개인의 장수로서의 능력이 출중했다는 건 아니고, 원 역사의 본인이 그러했듯 화포에 관심이 많았고, 따라서 화약을 이용한 전략과 전술 구성에 뛰어났다고 한다.[10] 주원장의 명나라는 그의 사후 손자 건문제로 인해 작중에서 북명과 남명으로 갈라지게 된다. 참고로 건문제가 다스리는 쪽이 북명이다.[11] 작중의 건문제의 황후가 이방원의 딸, 즉 전주 이씨의 고귀한 핏줄이라는 것도 영향을 미쳤는데, 뼛속까지 고려 귀족인 그는 북명의 대통을 전주 이씨의 핏줄로 이어가는 것 또한 대계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그렇기에 이러한 황후를 보필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라도 북명에 남을 수밖에 없었다.[12] 참고로 하륜은 처음엔 조선의 관료였지만 나중에는 황후의 곁에 머무르며 북명에서 정도전의 대계를 이룩하기로 결심한다. 그것은 정도전의 대계 중 하나가 바로 가장 고귀한 혈통인 전주 이씨의 핏줄인 황후의 소생을 차기 황제로 앉히는 것으로 믿었기 때문.[13] 한 노총각 대원에게는 '니눔 아버지가 걱정한다, 내가 중매서주랴? 물론 혼례에도 참석할거다!'라며 허물없이 대화를 나눈다.[14] 실제 역사에서 이 정도의 포스를 보여준 부대는 프랑스 제국 근위대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