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2 00:10:07

쿠키런 시리즈/종족



파일:쿠키런 시리즈 로고.png
쿠키런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d9,#540> 본편 파일:오븐브레이크 아이콘.png오븐브레이크× (2009) · 파일:오븐브레이크 2 아이콘.png오븐브레이크 2× (2012) · 파일:쿠키런 아이콘.png쿠키런M (2013) · 파일:쿠키런 오븐브레이크 아이콘.png쿠키런: 오븐브레이크M/P (2016)
스핀오프 <colbgcolor=#ed9,#540> 퍼즐 파일:쿠키런 문질문질 아이콘.png쿠키런 문질문질× (2014) · 파일:쿠키런 퍼즐 월드 아이콘.png쿠키런: 퍼즐 월드M (2020) · 파일:쿠키런: 마녀의 성 아이콘.jpg쿠키런: 마녀의 성M (2024)
기타 파일:쿠키워즈 아이콘.png쿠키워즈× (2018) · 파일:쿠키런 킹덤.png쿠키런: 킹덤M/P (2021) · 파일:쿠키런 브레이버스 아이콘.webp쿠키런: 브레이버스TCG (2023) · 파일:쿠키런: 더 다키스트 나이트 이미지.jpg쿠키런: 더 다키스트 나이트VR (2023) · 파일:쿠키런 모험의 탑 아이콘.png쿠키런: 모험의 탑M/P (2024)
출시 예정 파일:쿠키런 오븐스매시 이미지.png쿠키런: 오븐스매시M/P/S (2024)
미디어 믹스 도서 ·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 쿠키(목록) · · 용어(무한런) · 전통 · 올해의 쿠키
M: 모바일 지원 | P: PC 지원 | S: 콘솔 지원 | ×: 서비스 종료
TCG: 트레이딩 카드 게임 | VR: 가상현실 게임
}}}}}}}}} ||

1. 개요2. 종류
2.1. 디저트 생명체
2.1.1. 쿠키2.1.2. 공룡2.1.3. 케이크 괴물2.1.4. 펫2.1.5. 디저트 괴수
2.1.5.1. 용
2.1.5.1.1. 용족2.1.5.1.2. 그 외 용2.1.5.1.3. 와이번
2.1.5.2. 바다괴수
2.1.6. 다른 종족의 쿠키화2.1.7. 디저트가 아닌데 살아움직이는 경우
2.2. 인간
2.2.1. 마법사2.2.2. 마녀

1. 개요

쿠키런 시리즈에서 등장한 종족을 서술하는 문서.

2. 종류

2.1. 디저트 생명체

신체가 디저트로 이루어진 생명체를 뜻한다. 쿠키의 경우를 보면 생명가루를 통해 생명을 얻고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생명가루의 영향이 디저트 뿐만 아니라 기계 등에도 미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1.1. 쿠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키런 시리즈/쿠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1. 정령 쿠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령 쿠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2. 동물쿠키
쿠키가 사람의 모양을 하고 있다면 동물쿠키는 말그대로 동물 모양의 쿠키이다. 디저트 파라다이스에서도 일부 등장하며 사람 모양을 하고 있는 쿠키들 중에서도 동물 쿠키로 변하는 능력을 가진 쿠키들도 있다.[1]

2.1.2. 공룡

현재까지 나온 공룡은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쿠키런에서 등장한 젤리공룡들과 물망초 다이노 쿠키 뿐이다. 디저트 괴수로 분류될만 하지만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쿠키런:킹덤에서는 아예 과거에 존재했던 생명체 취급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용의 협곡 바로 근처와 디저트 파라다이스의 사워젤리 공룡지대에 서식하고 있는 듯하다.

2.1.3. 케이크 괴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케이크 괴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엄밀히 말하면 펫은 종족으로 보긴 힘들다. 워낙 다양한 디저트 생명체들과 아닐 수도 있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 그렇지만 대부분의 펫들이 디저트 생명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일부 펫들은 디저트가 아니지만 생명가루에 의해 생명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2.1.5. 디저트 괴수

말그대로 디저트로 이루어진 초자연적인 생명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쿠키런:킹덤에서 비스트이스트 대륙에 디저트 괴수들이 우글거린다는 소문이 있다는 설정이 등장했다.
2.1.5.1.
파일:쿠키런 시리즈 로고.pn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전설 속 다섯 용족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iki style="font-size: min(1em, 3vw); margin:0 -10px -5px"
파일:용과 드래곤 쿠키(킹덤).png 파일:파인 드래곤 쿠키2.png 파일:백련 드래곤 쿠키2.png 파일:리치 드래곤 쿠키2.png 파일:용안 드래곤 쿠키2.png
<rowcolor=#000> 붉은 용
용과 드래곤 쿠키
금빛 용
파인 드래곤 쿠키
푸른 용
백련 드래곤 쿠키
자줏빛 용
리치 드래곤 쿠키
하얀 용
용안 드래곤 쿠키
<rowcolor=#000>
화염
대지
소원
암흑
전지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그 외 용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wiki style="font-size: min(1em, 3vw); margin:0 -10px -5px"
파일:스냅 드래곤 쿠키.png 파일:살락맛 드래곤.png 파일:쿠킹덤 검은하얀용.png 파일:CK_용의 머리뼈.png
<rowcolor=#000> 스냅 드래곤 쿠키 스네이크후르츠 드래곤 하얀검은용 뼈만 남은 용
<rowcolor=#000>
개화
불명
흡수
불명
}}}}}}}}}}}}
이들을 제외한 쿠키런 시리즈에 등장하는 용은 용(쿠키런 시리즈) 문서 참조.

2.1.5.1.1. 용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용족(쿠키런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5.1.2. 그 외 용
파일:스냅 드래곤 쿠키 일러스트.png
파일:스냅 드래곤 본모습.png
* 온 세상이 불바다로 휩싸일 때 세상을 혼돈으로 몰아넣을 용 : 스냅 드래곤 쿠키
속성(능력): 불명
다섯 용을 제외한 용들 중 유일하게 와이번이 아닌 진짜 용족이라고 언급되었으며, 갓 태어난 해츨링이다 보니 활동 범위가 위의 5룡들과 동떨어져 있다.[2] 현재 쿠키런: 킹덤에서만 출시되었으며, 용과 드래곤 쿠키와는 달리 스페셜 등급으로 출시되었다. 여담으로 용족들 중에서 유일하게 무기가 없다.

파일:쿠킹덤 검은하얀용.png
파일:쿠킹덤하얀용.png 파일:쿠킹덤검은용.png
* 눈처럼 희고 카카오 대지처럼 검은 용 : 하얀검은용
속성(능력): 흡수, 음양[추정], 눈, 땅, 바람, 구름, 비[4]
다크카카오 왕국 건국 신화에서 언급된 용들. 본디 하얀검은용이라는 하나의 존재였으나 뇌신무장 쿠키에 의해 둘로 쪼개졌다. 이후 합쳐지지 못해 계속해서 다투다가, 다크카카오 쿠키가 두 용의 싸움을 단칼에 멈추었다.

파일:살락맛 드래곤.png
* 용으로 승천한 뱀 : 스네이크후르츠 드래곤
속성(능력): 독[추정]
용을 꿈꿨지만 승천하지 못한 이무기인 스네이크후르츠맛 쿠키가 용이 된 모습.[6] 용안구슬에서 나온 생명력을 모두 빨아들여 용이 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용안 드래곤 쿠키의 시선 두 번에 힘을 잃고 쿠키 모습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현재도 용으로 취급은 되는지 용안보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아군 용족에게도 어느 정도는 용으로 인정받고 있다.

파일:CK_용의 머리뼈.png* 한때 무시무시했을 용 : 뼈만 남은 용속성(능력): 불명월드 탐험 에피소드 2의 배경으로 어떤 거대한 용의 백골 사체가 그대로 시간이 지나 대지의 일부로 변한 풍경이 등장한다. 그야말로 역대 등장한 용들 중 가장 거대한 크기를 자랑하지만 원래 이 용이 무엇이였는지에 대한 떡밥은 얼마나 거대했을지에 대한 감탄사 외엔 없다. 그래도 꾸준히 존재감을 드러내는데, 길드 박물관에 백골 레플리카 세트로 전시 가능한 유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이 유물 세트를 처음으로 전부 수집하면 길드 토벌전 입장 시 백골과 닮은 소환수 용이 서브딜러로 등장한다. 상단의 짜리몽땅한 용의 이미지가 해당 소환수 용이다.[7]
2.1.5.1.3. 와이번
작중에서 용의 하위호환 종족으로 취급되며 후술할 용안 창기사&주술사 쿠키의 사례를 보면 용에게서 태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버터크림 와이번.png
* 버터크림 와이번
로얄마가린맛 쿠키가 타고 다니는 와이번.

파일:시나몬 와이번.jpg
파일:마그마 와이번.png
파일:Red_Dragon_of_the_Valley.png
파일:용안황궁 와이번1.png
파일:용안 창기사 쿠키.png 파일:용안 창기사 쿠키(얼그레이 크림 와이번).png
용안 창기사 쿠키 용안 얼그레이 크림 와이번
파일:용안황궁 와이번2.png
파일:용안 주술사 쿠키.png 파일:용안 주술사 쿠키(초콜릿 크림 와이번).png
용안 주술사 쿠키 용안 초콜릿 크림 와이번

데브시스터즈의 공식 답변에 의하면 해당 와이번들은 용안 드래곤의 해츨링, 즉 자식이라고 한다.[파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8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5.2. 바다괴수
블랙펄 쿠키, 오징어먹물맛 쿠키 등 일부 기괴한 해양 생물들이 속하는 듯하다. 심해군주 쿠키도 심해괴물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보아 바다괴수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

2.1.6. 다른 종족의 쿠키화

디저트 생명체들이 쿠키로 변하거나 쿠키가 디저트 생명체 혹은 동물쿠키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 용족의 경우에는 힘을 잃으면 쿠키의 모습으로 신체의 상태가 고정되고 반대로 설탕흑조 쿠키의 경우를 보면 쿠키가 아닌 디저트 생명체에서 힘을 얻어 쿠키가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설탕백조 쿠키의 경우에는 쿠키의 모습과 백조의 모습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다. 다만, 설탕백조와 천년나무는 쿠키 상태가 아닐 때에는 디저트 생명체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

2.1.7. 디저트가 아닌데 살아움직이는 경우

일부 펫들과 쿠키들은 디저트가 아닌 물체인데 눈 코 입이 달려있고 살아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마도 생명가루의 영향을 받았거나 로봇 일 것으로 추정된다.

2.2. 인간

쿠키런 세계관에서도 인간이 등장하기는 하지만 마법사, 마녀 같이 마법을 사용 할수 있는 사람들만 등장했다.

2.2.1. 마법사

쿠키런:킹덤에서 파르페디아 마법사들이 존재했었고 이 중 일부는 마법사들의 도시로 이동했음이 드러났다. 이후 자연의 인도자달빛술사 쿠키를 탄생시키거나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작동하는 레이저 기관포를 만들 정도의 능력이 있었으며 이후 모두 사라졌다는 점, 파르페디아에서 마법사들의 도시로 온 마법사들이 극히 일부였다는 점 등등 여러모로 떡밥 남은 세력이다.

2.2.2. 마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녀(쿠키런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물론 모든 변신형 쿠키들이 동물 쿠키로 변한다는 것은 아니다. 다른 디저트 생명체로 변화했을 가능성도 있다.[2] 용과 드래곤과 접점이 있지만, 나머지 5룡들과 달리 트로피컬 소다 제도와 아예 관련이 없기 때문에 다소 동떨어져있다.[추정] [4] 바람신령 쿠키, 구름신령 쿠키, 비신령 쿠키를 삼키고 일시적으로 얻은 능력이다.[추정] [6] 생김새는 보다시피 동양의 용과 뱀, 그 중에서도 코브라를 적절하게 합친 모습이다.[7] 사진은 작아 보이지만 인게임에서는 펌킨파이맛 쿠키가 소환하는 피피보다 더 크다.[파일] 파일:longanomg.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83
, 3.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83 (이전 역사)
문서의 r20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