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런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d9,#540> 본편 | ||||||
스핀오프 | <colbgcolor=#ed9,#540> 퍼즐 | ||||||
기타 | |||||||
출시 예정 | |||||||
미디어 믹스 | 도서 · | ||||||
관련 문서 | 쿠키(목록) · 펫 · 용어(무한런) · 전통 · 올해의 쿠키 | ||||||
M: 모바일 지원 | P: PC 지원 | S: 콘솔 지원 | ×: 서비스 종료 TCG: 트레이딩 카드 게임 | VR: 가상현실 게임 |
오븐브레이크 2 OvenBreak 2 | |
| |
<colbgcolor=#c00><colcolor=#fff> 개발 및 유통 | 데브시스터즈 |
플랫폼 | iOS |
출시일 | 정식오픈: 2012년 12월 14일 |
장르 | 러닝 액션 |
이전작 | 오븐브레이크 |
후속작 | 쿠키런 |
[clearfix]
1. 개요
2012년 12월 14일에 출시된 모바일 게임으로, 〈오븐브레이크〉의 후속작이다. 또한 쿠키런의 전신이 된 게임이다.
iOS에서만 출시되었다. 한국에는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지도가 거의 없다.
2. 시스템
상당수의 시스템이 후속작인 쿠키런으로 넘어갔다.- 2단 점프가 가능해졌으며 훅 기능은 없어졌다.[1]
- 쿠키(Breaker)와 펫(Charm)을 하나씩 조합해서 달릴 수 있다.
- 파워 젤리라는 아이템이 새로 생겼다.
- 자석
- 거대화
- 광속질주
- B,O,N,U,S 알파벳을 세 번 모으면 피버타임으로 올라간다.
- 페이스북에 로그인해서 페이스북 친구 중 오븐브레이크 2를 하는 유저들이 뜨고, 점수에 따라 높은 순위대로 나열된다. 친구의 쿠키/펫 조합을 보거나 하트를 보낼 수 있다.
-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하트가 필요하다.
2.1. 젤리
일반젤리, 파워젤리, 곰젤리, 알파벳 젤리가 있으며 일반젤리는 개당 20점, 알파벳 젤리 및 곰젤리는 개당 60점이다. 파워젤리는 점수 젤리가 아니라 자석, 광속질주, 거대화 등의 아이템이다.2.2. 보호막
보호막 추가 부스트나 닌자맛 쿠키를 끼지 않은 상태에선 1개를 가지고 시작한다. 맵 중간에 보호막 젤리가 나오는데 그걸 먹으면 보호막 1개가 채워진다. 보호막은 최대 2개까지만 갖고 있을 수 있고, 2개를 갖고 있으면 보호막을 먹어도 보호막을 더 가질 수 없다. 장애물에 한 번 박을 때마다 보호막이 한 개씩 사라지며, 실드가 0개인 상태에서 박으면 게임 오버. 라이프 개념은 없어서 박지만 않는다면 계속 달릴 수 있다.3. 부스트
게임 전에 8개 중에 3개만 골라서 살 수 있다.<rowcolor=#fff> 아이콘 | 이름 | 영문 이름 | 가격 |
| 보호막 +1 | Add 1 shield | |
| 피버 타임 5초 추가 | Add 5 seconds of Fever Time | |
| 파워젤리 지속 시간 30% 증가 | Add 30% to Power Jelly Effect time | |
| 알파벳 젤리 20% 더 찾기 | Find 20% more Alphabet Jellies | |
| 점수 15% 추가 | Increase score by 15% | |
| 경험치 2배 | Multiply XP by 2 | |
| 코인 2배 | Multiply coins by 2 | |
| 피버 타임으로 시작 | Start with Fever Time | |
4. 스테이지
게임을 시작하면 쿠키가 마녀의 집 굴뚝에서 뛰어내리는 묘사가 있기에 마녀의 집 마당에서부터 시작한다.- 마녀의 숲(witch's woods)
- 비밀의 꿈틀이젤리 터널(secret jelly worm tunnel)
- 코코넛 해안(coconut beach)(낮)
- 코코넛 해안(coconut beach)(밤)
- 예티 산(yeti mountain)
- 쿠키 랜드(cookie land)
5. 쿠키 목록
쿠키런 시리즈의 등장 쿠키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wiki style="font-size: min(1em, 3vw); 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 min-height:26px" {{{#!folding [ ㄱ , ㄲ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tablewidth=100%> | | | | | | | |
감귤탕후루맛 | 감자맛 | 감초맛 | 검볼다이버맛 | 경찰맛 | 고고학자맛? | 고드름예티 | 고블린맛 | ||
파일:고수네이크맛 쿠키.png | | | | | | | | ||
고수네이크맛 | 골드시트린 | 골드치즈 | 골드허니케이크맛 | 공주맛 | 괴도맛 | 구름맛 | 구름신령 | ||
| | | | | | | | ||
구름해태맛 | 구미호맛 | 구슬아이스맛 | 구운달걀맛 | 굴랍자문맛 | 궁극의 쿠키 | 그랑마들렌 | 그래놀라맛 | ||
| | | | | | | | ||
그린티무스맛 | 그림자사제맛 | 근육맛 | 글라스마린 | 금계화맛 | 기자맛 | 김맛 | 까눌레맛 | ||
| | | |||||||
꿈길잡이 | 꿈틀이 나가 | 꽈배기맛 |
- [ ㄴ, ㄷ, ㄸ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
- [ ㄹ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height=40px>
||<width=12.5%>
||
라떼맛 라이트크림맛 라일락맛 라임맛 라즈베리
무스맛라즈베리맛 락스타맛 람부탄맛 랍스터맛 랑그드샤맛 래디시맛 레드판나코타맛 레몬맛 레몬제스트맛 레몬타임맛 로드 오이스터 로얄마가린맛 로얄베리맛 로즈마리맛 롤리팝맛 롤케이크맛 리치 드래곤 리틀페퍼맛 린저
- [ 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
- [ ㅂ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파일:바나나맛 쿠키.png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파일:바움쿠헨맛 쿠키_신버전.png ||
- [ ㅅ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
||<width=12.5%>
||<width=12.5%>
||
- [ ㅇ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
- [ ㅈ , ㅊ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
- [ ㅋ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
- [ ㅌ, ㅍ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
- [ ㅎ ]
- [ 콜라보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width=12.5%>
||
헬로키티 미미 쿠키로이드 소닉 테일즈 미키 마우스 미니 마우스 데이지 덕 도날드 덕 구피 앨리스 릴로 스티치 피터 팬 팅커 벨 알라딘 자스민 벨 야수 신데렐라 뮬란 포카혼타스 오로라 공주 백설공주 에리얼 RM 진 슈가 제이홉 지민 뷔 정국 견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fe; color: #000; font-size: 1em;" |
이 당시에는 모두 진저브레드(Gingerbread)를 패러디한 이름을 사용했었다.
- GingerBrave
- 능력: 최초의 오븐브레이커
- 기본 해금
- GingerBright
- 능력: 10% 천천히 달림[2]
28,000
- GingerClaus
- 능력: 경험치 2배
280
- GingerBerry
- 능력: 피버타임 +5초
280
- GingerBoogie
- 능력: 파워젤리 +20%
280
- GingerBold
- 능력: 코인 2배
480
- NinjaBread
- 능력: 실드 3개 + 3단 점프
1,900
6. 펫 목록
쿠키처럼 그냥 살 수 있었다. 당시에는 “Charms”로 칭했다.- Drop of Choco
- 능력: 곰젤리 생성
- 기본 해금
- Angel's Tear
- 능력: 놓친젤리 먹기
15,000
- Double Bubbles
- 능력: 놓친젤리 먹기
15,000
- Rainbow's End
- 능력: 놓친젤리 먹기
15,000
- Hand of Liker
- 능력: 코인 생성
- 페이스북 좋아요 누르기
- Hat of Santa
- 능력: 알파벳젤리 생성
25,000
- Electric Beat
- 능력: 자석 젤리 생성
30,000
- Forgotten Stocking
- 능력: 곰젤리파티 아이템 생성
30,000
- Dust Unicorn
- 능력: 거대화 아이템 생성
50,000
- Rare Garlic
- 능력: 광속질주 아이템 생성
70,000
- Flowercopter
- 능력: 보너스젤리 생성
150,000
- GingerGhost
- 능력: 보호막젤리 생성
1,400
==# 더미 데이터 #==
치즈방울의 초기 디자인. 쿨쿨이의 모자와 색감이 비슷한 것을 보아 원래 치즈방울은 쿨쿨이의 펫으로 기획되었으나, 디자인을 변경한 후 명랑한 쿠키의 펫으로 변경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3] 결국 쿨쿨이는 오븐브레이크 2에 등장하지 못했다.
코인의 초기 디자인. 파일명이 'jelly coin'인 것을 보아 코인을 젤리로 기획했다거나 젤리처럼 디자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미 타이틀 화면. 전작의 타이틀 화면에 숫자 2만 추가되었다.
이 외에도 모든 쿠키들의 'Hook' 모션이 더미데이터에 있다.
7. 서비스 종료
얼마 지나지 않아서 업그레이드 판인 쿠키런이 나오며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었다.[4] 서비스 종료 직전 모든 이용자들에게 크리스탈 10,000개를 지급했고 레벨을 최대 레벨로 올려주었다.[1] 더미데이터로 쿠키들이 훅을 하는 스프라이트가 남아있다.[2] 오븐브레이크 2는 후속작들과는 다르게, 체력바가 없는 대신 일정 횟수 이상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낙사하면 그대로 죽는 시스템이었다. 그래서 천천히 달리는 것이 장애물에 박거나 낙사하는 피해를 줄이는 데 있어서 유리했다.[3] 또 천사의 눈물(Angel's Tear)이란 이름도 이때 지어진 듯 하다.[4] 서비스 종료를 두고 유저들이 쿠키런 짝퉁이라며 신고를 남발해 종료하게 된 것이라는 루머가 있었으나 낭설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