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캐세이(Cathay; 國泰)는 과거 유럽에서 중국을 부르던 말 중 하나이다.2. 어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거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거란#어원과 파생|어원과 파생]][[거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어원은 거란으로, 거란어에서 스스로 자신을 가리키던 "키둔(/*qid ún/)" 또는 "키디(/*qid i/)"가 여러 언어를 거쳐오면서 변형된 결과물이다. 영어 "Khitan"이나 러시아어 "[ruby(Кита́й, ruby=Kitáy)]" 등은 그러한 과정에서 만들어진 같은 뜻의 동원어 중 하나이다.
캐세이는 요나라 이래로 특히 북중국 및 그 일대를 지배한 왕조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쓰였다. 남중국 혹은 중국에 대해서는 '남쪽 야만인 놈'이라는 뜻의 "만자(蠻子)"에서 유래한 "Mangi"나[1] 더 오래전부터 쓰여 온 "China"를 사용했는데, 이는 17세기 말까지도 캐세이와 (남)중국이 동일한 뜻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중국과 접촉한 외부인들은 자신들이 만난 왕조 및 종족의 이름이나 그들이 가진 가장 특징적인 요소로써 중국을 가리켰는데, 그렇게 외부인들이 접촉하는 중국인이란 시대마다 달랐다. 예컨대 당나라 시대에는 "타브가치(Tabgach)"라는 말로도 많이 불렸었고, 청나라 때에는"만다린"(Mandarin)이 널리 쓰였다. 중세 및 근세 유럽에서는 "캐세이"가 많이 쓰였고, 전통적으로 세상의 동쪽 끝 정도로 인식되었다.
그래서 꽤 오랜 기간 만지 혹은 차이나를 강남이나 회남(淮南)까지로 간주하고 화북이나 막북, 만주 등지에 캐세이라는 이름으로 '신비한 미지의 국가'를 비정하는 일이 많았는데, 이러한 오해는 동양학의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중국과의 교류가 더욱 늘어나면서 사라지기 시작하여 18세기에는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오늘날 구미권 국가들에서는 주로 차이나(China) 및 그 동원어들로 중국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나, 러시아에서는 현대에도 여전히 키타이(Кита́й,링크)라고 부른다.
3. 용례
3.1. 학술용어
3.2. 지명 및 건물명
- 러시아 모스크바 지하철의 역명 키타이 고로드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캐세이(Catheys, 이전 명칭은 캐세이 밸리Catheys Valley)
- 미국 노스다코타 주 캐세이(Cathay, North Dakota)
- 영국 웨일스 카디프의 캐세이 구역(Cathays): 과거 Y Waun Ddyfal(웨일스어), Little Heath(영어)로 불렸다가 17세기 말 'Catt Hays'로 불린 이후 캐세이로 이름이 굳어졌다.
- 중국 상하이의 캐세이 극장(Cathay Theatre)
3.3. 인명
- 윌리엄 캐세이(1844-1893): 미 육군에 복무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북 전쟁 당시 북군에 자원입대했다고 알려졌다. 남북전쟁이 종결된 후, 윌리엄 캐세이는 캐세이 윌리엄스라는 남성으로 위장하여 1866년부터 1868년까지 미 육군에서 복무했다가 여성임이 밝혀지면서 강제 제대되었다. 최초로 미군에 입대한 흑인 여성이자 남성으로 위장해서 입대했다는 기록을 남겼다.#
3.4. 사명
- 홍콩 캐세이퍼시픽항공(Cathay Pacific Airways)
- 대만 캐세이 금융지주(Cathay Financial Holdings)
- 싱가포르 캐세이 시네플렉스(Cathay Cineplexes)
- 미국 캐세이 은행(Cathay Bank)
4. 창작물
- 캐세이(Warhammer): 워해머 판타지의 등장 국가이다.
- 크루세이더 킹즈 2에서는 상기한 역사적 인식에 근거하여 '온 세상에 걸쳐서', '세상의 끝에서 끝까지'라는 뜻으로 "에이레에서 캐세이까지(from ireland to cathay)"라는 표현이 등장한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