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22:27:46

카를로스 코르베란

카를로스 코베란에서 넘어옴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2024-25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디에고
마르티네스

파일:UD 라스팔마스 로고.svg
이니고
페레스

파일:라요 바예카노 로고.svg
보르하
히메네스

파일:CD 레가네스 로고.svg
카를로
안첼로티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하고바
아라사테

파일:RCD 마요르카 로고.svg
한지
플릭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디에고
코카

파일:레알 바야돌리드 CF 로고.svg
카를로스
코르베란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마누엘
펠레그리니

파일: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로고.svg
마르셀리노
가르시아 토랄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가르시아
피미엔타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클라우디오
히랄데스

파일:RC 셀타 데 비고 로고.svg
이마놀
알과실

파일:레알 소시에다드 로고.svg
디에고
시메오네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에르네스토
발베르데

파일:아틀레틱 클루브 로고.svg
에두아르도
코우데트

파일:데포르티보 알라베스 로고.svg
마놀로
곤살레스

파일:RCD 에스파뇰 로고.svg
비센테
모레노

파일:CA 오사수나 로고.svg
미첼
산체스

파일:지로나 FC 로고.svg
호세
보르달라스

파일:헤타페 CF 로고.svg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카를로스 코르베란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로고.svg

65대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89대
}}} ||
발렌시아 CF
Valencia Club de Fútbol, S.A.D.
파일:CarlosCorberan.webp
<colbgcolor=#ffffff> 이름 <colbgcolor=#ffffff,#191919> 카를로스 코르베란
Carlos Corberán
본명 카를로스 코르베란 바예트
Carlos Corberán Vallet
출생 1983년 4월 7일 ([age(1983-04-07)]세)
스페인 체스테
국적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신체 188cm
직업 축구선수 (골키퍼 / 은퇴)
축구감독
소속 <colbgcolor=#ffffff> 선수 발렌시아 CF B
감독 비야레알 CF C (2006~2009 / 수석 코치)
비야레알 CF B (2009~2010 / 수석 코치)
비야레알 CF (2010~2011 / 수석 코치)
알 이티하드 FC (2012~2013 / 수석 코치)
AD 알코르콘 (2013~2014 / 유스 감독)
알 나스르 FC (2014~2016 / 수석 코치)
도하 카토코피아스 FC (2016~2017)
에르미스 아라디푸 FC (2017)
리즈 유나이티드 FC U-23 (2017~2018)
리즈 유나이티드 FC (2018~2020 / 수석 코치)
허더즈필드 타운 AFC (2020~2022)
올림피아코스 FC (2022)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2022~2024)
발렌시아 CF (2024~)
국가대표 없음


[clearfix]

1. 개요

스페인축구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1983년 4월 7일 발렌시아 지방 체스테에서 태어난 코르베란은 유소년 시절 고향 팀인 CD 체스테와 발렌시아 CF에서 뛰었다.

발렌시아 CF B팀에서 골키퍼로 성인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후 부르하솟과 리바로하에서 뛰었다. 테르세라 디비시온 이상의 리그에서 뛰지 못한 그는 2006년, 23세의 나이에 선수 생활을 마치고 지도자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

3. 감독 경력

2006년 비야레알 CF C팀의 피트니스 코치로 스탭 경력을 시작한 코르베란은 AD 알코르콘의 유소년팀 감독을 맡으면서 첫 감독 커리어를 쌓게 된다. 이후 라울 카네다 감독을 보좌하기 위해 알 나스르 FC의 수석 코치를 역임하기도 한다.

코르베란의 첫 성인팀 감독직은 키프로스 1부 디비전에 소속되어 있는 팀인 도하 카토코피아스 FC이었으나, 1년만에 경질된다. 이후 같은 키프로스 1부리그 팀인 에르미스 아라디푸 FC의 감독으로 부임했고, 이 팀 역시 1년 동안 있다가 팀을 떠나게 된다.

키프로스 생활을 뒤로 하고, 코르베란은 2017년 리즈 유나이티드 FC의 U-23 감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리즈에 있는 동안 코르베란의 실력이 본격적으로 발휘되었으며, 18-19 시즌 PDL 노던 리그 우승을 가져감은 물론, 뛰어난 유스팀 감독으로써 점차 인정받게 된다. 리즈의 성인팀 감독 마르셀로 비엘사는 코르베란을 두고 '매우 재능이 뛰어난 인물'이라고 이야기 했을 정도.

3.1. 허더즈필드 타운 AFC

20-21 시즌을 앞두고, 코르베란은 허더즈필드 타운 AFC의 성인팀 제의를 받게 되고, 결국 리즈를 떠나게 된다. 허더즈필드 타운의 지휘봉을 잡은 뒤, 현재 중위권에 머무는 중. 강등 위기를 왔다갔다 했던 19-20 시즌을 생각한다면 그래도 지난 시즌 보다는 나아진 편이다.

21-22시즌 팀을 3등에 올리면서 자신의 능력을 매우 잘 보여주는 중이다. 아쉽게도 승격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노팅엄 포레스트 FC에 패했지만 2시즌 전만해도 강등위기였었던 팀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2022년 7월 7일, 구단 측에서 사임 소식을 발표했다.

3.2. 올림피아코스 FC

2022년 8월 1일, 올림피아코스 FC의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22년 9월 19일, 성적 부진을 이유로 경질되었다.

2022년 10월,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의 차기 감독으로 유력하다고 한다.

3.3.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한국 시각 2022년 10월 26일 오전 7시 28분, 선임 오피셜이 발표되었다. 계약 기간은 2024년까지.#

부임후 EFL 26라운드까지 리그 10경기 8승 2패라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며 스티브 브루스가 망쳐놓은 웨스트 브롬을 9위까지 올려 놓았고, 총 승점은 플레이오프권과 1점 차이인 38점으로, 강등권에 빠진 팀을 단시간 만에 승격 경쟁이 가능한 수준까지 올렸다.

이후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의 신규 감독 부임설이 돌고 있다.

EFL 27라운드 루턴 타운 FC 원정 경기 2:0으로 끌려가던 경기를 기여코 2:3 역전을 만들며 승리, 팀은 승점 41점으로 플레이오프권인 6위에 안착하게 되었다. 버러지 경질 당시 리그 22위였던 팀을 완전히 탈바꿈 하였다.

28라운드 번리 FC 원정에서는 다넬 펄롱의 선제골로 전반전 리드를 잡았으나 후반전 역전을 허용하며 2:1로 패배하였다.

2023년 1월에는 에버튼 FC의 신규 감독 부임설이 돌고 있다.

29라운드 코번트리 시티 FC와의 홈경기에서 다넬 펄롱의 초장거리 스로인을 그레이디 디앙가나가 마무리 지어 리드를 잡았고 리드를 끝까지 지켜내며 1:0 승리, 팀은 다시 플레이오프권인 6위로 올라갔다.

이후 제시 마치가 경질된 리즈 유나이티드 FC의 차기 감독 후보로 낙점되었다. 웨스트브롬이 순순히 보내줄지는 미지수.

그러나 2월 8일 로마노에 따르면 코르베란이 리즈의 오퍼를 거절했고 WBA와 2027년까지 재계약을 맺을것이라고 한다.

예상대로 WBA와 2027년 여름까지 재계약 오피셜이 뜨며 잔류하게 되었다. 겨우 반시즌을 치른 감독에게 이러한 장기 재계약은 웨스트브롬의 코르베란에 대한 신뢰를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6월, 리즈 유나이티드 FC의 차기 감독 후보에 올랐다고 한다.

6월 21일 보도에 따르면 리즈가 코르베란과의 협상에서 결렬되었다고 한다.

23/24 시즌은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2024년 6월, 엔초 마레스카가 첼시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공석이 된 레스터 시티 FC의 차기 감독 후보에 올랐다고 한다.

2024년 12월, 19위로 최악의 부진에 빠진 발렌시아 CF에서 루벤 바라하의 후임 감독으로 유력하다고 한다.

3.4. 발렌시아 CF

2024년 12월 25일, 발렌시아 CF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발렌시아는 WBA에 바이아웃으로 €3M를 지불하고 계약했다. 계약기간은 2027년까지로 코르베란의 연봉은 약€3M이고 2년 반 동안 총액 €7M을 받을 예정이다. 계약 해지 조항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2월 28일 취임식에서 피해자들을 추모하며 팬들에게 헌신을 약속했다. 그는 선수단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해 팀을 강화하고, 공격과 수비의 균형을 중시하는 플레이 스타일을 추구할 계획이라 한다. 클럽의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발렌시아 CF의 정체성과 가치를 존중하며 팀 재건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3.4.1. 2024-25 시즌

4. 전술 스타일

전술적으로 전 발렌시아 감독이었던 마르셀리노에게 깊은 감명을 받았을 만큼, 수비 시에 중원과 수비라인 간의 간격이 적고 밀집도가 높은 4-4-2 두 줄 수비를 구축한다. 그러나, 역습을 주 전술로 채택하는 마르셀리노와는 다르게, 코르베란은 본인의 스승인 마르셀로 비엘사처럼 조직적인 전방 압박을 즐기거나 공을 점유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비엘사시즘'을 지지하는 일원 중 하나로서 같은 국적의 안도니 이라올라가 떠오르지만, 코르베란은 이라올라보다는 훨씬 유동적인 운영으로 경기를 풀어간다.

상술한대로, 코르베란은 기본적으로 압박과 점유를 중요시하는 공격적인 경기 운영을 지향한다. 때문에, 훈련 세션의 강도가 힘들다고 하며 경기에 들어가서도 조직적인 압박을 시도할 것을 요구한다. 코르베란은 본인의 팀이 공을 소유해 후방 빌드업을 전개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짧은 패스로 풀어갈 것을 지시하는데, 이 때 선수들은 부분적인 티키타카를 실행한다. 빌드업을 전개할 때에는 골키퍼가 후방 빌드업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수비형 미드필더가 내려오는 라볼피아나 전술을 사용한다.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삼각형을 만들어 삼자 패스로 상대의 압박을 풀어내고, 이 과정에서 스위칭을 시도하다가 프리 맨이 되는 선수에게 공을 과감하게 찔러주면서 공격의 템포를 높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측면에서 공격을 풀어내는 빈도가 높고, 이 때문에 코르베란의 전술에서는 윙어의 파괴력에 따라 전술의 완성도가 달라지게 된다.

허더즈필드 시절에는 비엘사시즘을 천명하며 무리한 1대1 압박을 시도했으나, 이로 인해 팀의 경기력은 추락하였다. 이에 코르베란은 상황에 따라 부분적으로 지역 수비와 병행하였으며, 이를 웨스트브롬위치에도 그대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WBA에서의 첫 시즌에는 챔피언쉽에서 클린시트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다만, 코르베란의 전술에서 아쉬운 점을 꼽아보자면, 지공 상황에서의 득점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꼽힌다. 조직적이고 열성적인 전방 압박과 빠른 템포의 스위칭과 공격, 여기에 더해 세트피스 전술까지 많은 옵션을 보유하였다. 그러나, 정작 중앙에서 마무리를 지어야 할 때에는 결과물이 저조하거나 아쉽다는 점에서 발전이 필요해보인다.

5. 여담

6. 같이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발렌시아 CF 2024-25 시즌 스쿼드
<rowcolor=#F47920,#DF630A>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굵은글씨] 생년월일 신체 조건 비고
1 파일:스페인 국기.svg GK 자우메 도메네크 Jaume Domenech 1990.11.05 185cm, 80kg
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크리스티안 모스케라 Cristhian Mosquera 2004.06.27 191cm, -kg
4 파일:기니 국기.svg DF 무크타르 디아카비 Mouctar Diakhaby 1996.12.19 192cm, 78kg
5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MF 엔소 바레네체아 Enzo Barrenechea 2001.05.22 186cm, -kg [3]
6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우고 기야몬 Hugo Guillamón 2000.01.31 178cm, 62kg
7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세르지 카노스 Sergi Canos Tenes 1997.02.02 177cm, 75kg
8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하비 게라 Javier Guerra 2003.05.13 187cm, -kg
9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우고 두로 Hugo Duro 1999.11.10 182cm, 71kg
1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안드레 알메이다 Andre Almeida 2000.05.30 176cm, 70kg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라파 미르 Rafa Mir 1997.06.18 191cm, 86kg [4]
12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FW 우마르 사디크 Umar Sadiq 1997.02.02 192cm, -kg [5]
13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GK 스톨레 디미트리에프스키 Stole Dimitrievski 1993.12.23 190cm, -kg
14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호세 가야 José Gayá 1995.05.25 172cm, 65kg 주장
15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세사르 타레가 César Tárrega 2002.02.26 194cm, -kg
16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디에고 로페스 Diego López 2002.05.13 177cm, -kg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다니 고메스 Dani Gómez 1998.07.30 178cm, 69kg [6]
18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페펠루 Pepelu 1998.08.11 186cm, 80kg
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DF 맥스 아론스 Max Aarons 2000.01.04 177cm, 69kg [7]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DF 디미트리 풀키에 Dimitri Foulquier 1993.03.23 183cm, 77kg
21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헤수스 바스케스 Jesus Vazquez 2003.01.02 182cm, 77kg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루이스 리오하 Luis Rioja 1993.10.16 176cm, -kg
23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프란 페레스 Fran Pérez 2002.09.09 176cm, -kg
24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야렉 가시오로프스키 Yarek Gasiorowski 2005.01.12 190cm, -kg
25 파일:조지아 국기.svg GK 기오르기 마마르다슈빌리 Giorgi Mamardashvili 2000.09.29 199cm, 91kg [8]
3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헤르만 발레라 Germán Valera 2002.03.16 170cm, -kg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DF 티에리 코헤이아 Thiery Rendall Correia 1999.03.09 179cm, 69kg [9]
구단 정보
구단주: 피터 림 / 감독: 카를로스 코르베란 / 홈 구장: 에스타디오 데 메스타야
출처: 영어 위키백과,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월 4일

[간략] 간략한 틀은 이곳 참조 바람[굵은글씨] 로마자 성명의 굵은 글씨는 유니폼에 표기된 이름을 뜻한다.[3] 아스톤 빌라에서 임대[4] 세비야 FC에서 임대[5] 레알 소시에다드에서 임대[6] 레반테 UD에서 임대[7] AFC 본머스에서 임대[8] 리버풀 FC에서 임대[9] 십자인대 부상으로 인한 등록 제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