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16 19:34:09

최완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초명 최영지(崔泳祉)
내수(乃修)
본관 경주 최씨[1]
출생 1889년[2] 2월 16일
경상도 경주부 부내면 교리
(現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3] 69번지)[4]
사망 1927년 1월 3일[5]
묘소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 동산리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1. 개요2. 생애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경주 최부자집 12대 최준의 둘째 남동생이다.

2. 생애

1889년 2월 16일 경상도 경주부 부내면 교리(現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69번지)에서 아버지 최현식(崔鉉軾, 1854 ~ 1928. 6. 20)과 어머니 풍산 류씨(豊山 柳氏, 1851 ~ 1932. 10. 1)[6] 사이의 4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경주군 부내면 교리(現 경주시 교동) 68번지 최부자댁 뒷 새댁으로 이주해 분가했다.[7]

위로 형 최준, 최윤(崔潤, 1886. 3. 26 ~ 1969. 10. 22)[8], 아래로 최순(崔淳, 1892. 10. 15 ~ 1948. 3. 22)[9]이 있었다. 아버지 최현식은 경주 교촌 최부잣집 11대로, 1888년(고종 25) 식년 진사시에 3등 19위로 입격한 뒤 경릉(敬陵) 참봉[10]을 거쳐 1900년 산릉도감 감조관(山陵都監監造官)[11] 등을 역임했다.

1909년 10월 안희제·이동하(李東廈)·남형우·이시열(李時說)·윤병호·서상일·박중화 등 80여명의 동지들과 함께 신민회 계열의 비밀 청년단체인 대동청년당(大東靑年黨)을 조직하고 당원으로서 국권회복을 위해 지하독립운동을 전개했고, 같은 달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도 신입회원으로 가입했다.

그러나 1910년 8월 끝내 경술국치를 당하자 청나라로 망명했다. 이후 중화민국과 조선을 수시로 넘나들다가 1919년 3.1 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가했고, 형 최준의 부탁으로 현금 2만원을 휴대하고 상하이로 가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12] 그해 4월 13일 임시정부 제2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차장(次長)제를 폐지하고 위원제를 채택할 때 임시의정원 의원 및 재무부 위원에 선임되었고, 임시정부 조사원으로도 활동했다. 1919년 11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조선 내 각 지방의 유력자, 재산가, 학교, 종교 등을 조사할 때 경주군 지역의 유력자로 보고되기도 했다.

1920년 8월 21일 대구부 금정(現 대구광역시 중구 태평로) 타나카여관에서 최시형의 장남 최동희(崔東曦)·이근호(李根鎬) 등과 만나 독립운동 방법을 논의하다가 곧 체포되었고, 그해 9월 18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혐의에 대해 증거불충분으로 불기소처분받고 출옥했다.

1921년 이후에는 경제 사정이 어려워져 더이상 상하이에 체류할 수 없게 되자 귀국했다. 1923년 경기도 경성부에서 혁청단(革淸團)이 결성되자 이에 입단했고, 1924년 임원에 선출되었다. 1925년 주식회사 대동사(大東社)에서 이사역임했다.

1926년 상하이에 잠시 체류해 있던 중 당시 경주경찰서장 이노우에 시게루(井上茂)[13] 경부(警部)로부터 '아버지가 위독하니 빨리 귀국하라'는 형 최준 명의의 가짜 편지를 받았고, 이에 형이 보낸 편지로 생각해 급하게 귀국했으나 귀국 직후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후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혹독한 고문의 여독 및 오랜 망명생활로 인한 지병 악화 등으로 가출옥했지만 1927년 1월 3일 순국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고,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1] 사성공파(司成公派)-정무공파(貞武公派)-교리파(校里派) 18세 영(泳) 항렬.[2] #. 경주최씨사성공파보 권8 377쪽에는 1891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3] 경주 최씨 사성공파-정무공파 집성촌이다.[4] 이 지번에 바로 경주최부자댁이 자리해 있다.[5] 음력 1926년 11월 30일.[6] 류성룡의 후손으로, 류도휘(柳道彙)의 딸이다.[7] 현재 이 자리에는 최완 고택을 비롯해 고운님오시는길찻집이라는 찻집이 들어서 있다.[8] 초명 최영희(崔泳禧).[9] 초명 최영희(崔泳禧).[10] #[11] #[12] 1919년 5월 일본 외무성 기록 騷蜜 제2219호에 '경상북도 경주 부호 최준(崔俊)의 동생 최완(崔浣)이 2만원의 현금을 휴대하고 상해에 나타났다'고 기재되어 있다.[13] 1925년부터 1927년까지 경주경찰서장으로 근무하면서 최준에게 붓글씨를 배운다는 핑계로 3년간 최부자댁을 출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