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5:06:09

최수현(야구선수)

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
연천 미라클
2025 시즌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F3081><colcolor=#fff>투수13 최종완 · 20 선성권 · 33 안광준 · 46 최우혁 · M 손호진 · M 장희범
포수5 신홍서
내야수8 황상준 · 53 이현 · 55 박수현 · M 최지민
외야수2 최수현 · 27 신우영 · 32 유상빈 · 47 위재현 · M 박상목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인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찬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기''' }}}}}}}}}}}}
최수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11171><colcolor=#fff> 투수 11 이대은 · 19 신재영 · 20 선성권 · 21 송승준
28 강민구 · 40 니퍼트 · 45 이용헌 · 47 유희관
포수 12 박재욱 · 27 이홍구 · 53 고대한
내야수 1 유태웅 · 4 서동욱 · 5 문교원 · 8 정근우
10 이대호 · 16 정성훈 · 52 임상우
외야수 ''' 2 최수현 · 15 국해성 · 24 김문호 · 29 이택근
33 박용택 · 35 윤상혁 · 37 정의윤'''
단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광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오세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2 김선우
}}}}}}}}} ||
파일:연천 2023 최수현.jpg
<colbgcolor=#2F3081><colcolor=#fff> 연천 미라클 No.2
최수현
Choi Soo-hyun
출생 1996년 11월 25일 ([age(1996-11-25)]세)
경기도 안양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송정동초[1] - 무등중 - 광주제일고 - 고려대
가족 부모님[2], 누나[3]
신체 180cm, 80kg
포지션 내·외야 유틸리티[4]
투타 우투좌타[5]
병역 현역 (2019~2020)[6]
소속팀 연천 미라클 (2021~)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MBTI ENTJ/ESTJ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연천 미라클2.3. 최강야구 출연
3. 여담

[clearfix]

1. 개요

독립 리그 연천 미라클 소속 내야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송정동초등학교, 무등중학교를 거쳐서 광주일고에 입학했지만 작은 체구 때문에 1, 2학년 시기에는 뛰지를 못 했다고 한다. 3학년이 되자 주전 자리를 차지했고 27경기 85타수 타율.297 25안타 20타점을 기록했지만 프로 구단의 지명을 받지 못하고 고려대로 진학했다.

고려대에서는 1학년부터 경기를 나섰지만 13경기 22타석 무안타라는 초라한 성적을 기록했고 2학년때는 부상으로 경기를 못 나왔다. 3학년 시기에는 20경기 85타수 타율.358 29안타로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4학년 시기에는 주장직을 맡으며 20경기 63타수 타율.317 20안타(2루타 3,3루타 2) 1홈런 21타점 장타율.476 출루율.446 OPS.922를 기록했지만 프로에 지명 받지는 못했다.

2.2. 연천 미라클

대학 졸업 후 현역으로 군대를 다녀와서 고대 선배이자 연천 미라클의 수석코치인 노찬엽 코치의 권유로 2021년에 연천 미라클에 입단했다. 이후 주전 2루수 자리를 차지하며 30타점으로 타점 부문 선두에 있다.

9월 3일 기준으로 24경기 88타수 타율.341 30안타(2루타 7,3루타 4) 2홈런 30타점 32득점 15도루 장타율.580 출루율.482 OPS 1.062를 기록 중이다.

2024시즌에는 타율 .339(62타수 21안타) 1홈런 20타점 19득점, 출루율 .456, 장타율 .516 OPS 0.972를 기록해 독립리그 전체 MVP로 선정되었다.

2.3. 최강야구 출연

파일:최수현_최강야구_2024.jpg
최강 몬스터즈 No.2

2022년 7월 25일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열린 JTBC 최강 몬스터즈경남고등학교 야구부 간의 경기라인업 사진에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에 올라왔는데 최강 몬스터즈 라인업에 최수현의 이름이 있었다. 그리고 당일 방영한 최강야구의 동의대 3차전부터 새로 합류한 것이 확인되었다.

출연 이후 직관, 비직관 가리지 않고 엄청난 호수비를 선보였으며, 수비랑 타격도 일취월장으로 키워나가고 있는 중.

3. 여담


[1] 초등학교 4학년 시기에 전학을 갔다.[2] 최강야구에서 직관경기 및 비직관경기가 있을 때마다 최선을 다해 응원하고 있다.[3] 기혼자라고 한다.[4] 2루수, 유격수, 3루수, 좌익수, 중견수 모두 소화가 가능하나 유격수나 3루수에서는 수비에서의 불안함이 간혹 노출되는 반면, 주 포지션인 2루수로서는 안정적인 수비를, 또 다른 포지션인 좌익수와 중견수로서는 엄청난 호수비를 보여주는 편이다. 최강야구에서는 이택근의 부상 이후 중견수를 자주 보는데 중견수도 안정적인 편이다. 연천 미라클에서도 외야수로 경기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사실상 주 포지션은 2루수와 중견수랑 좌익수. 몬스터즈 선배 정근우와 비슷하다.[5] 주력이 좋아 원래부터 좌타자로 시작했다고 한다.[6] 자세하게는 본인이 밝힌 적이 없어 알 수 없으나, 고려대학교 졸업하자마자 입대를 했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입대 시기는 2019년 2월 혹은 그 이후로 추정되고, 연천 미라클 공식 홈페이지 기준 입단시기가 2021년 2월로 나왔는데 2021년 신인선수 트라이아웃이 2020년 10월 17일이고, 접수 기간이 10월 7일부터 16일까지였기에 제대시기는 2020년 10월이나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7] 이홍구의 유튜브 채널 '파워E홍구'에 출연해 언급했다. #[8] 공교롭게도 두 사람은 생일 또한 이틀 밖에 차이나지 않는다.(최수현: 11월 25일, 이상이: 11월 27일) 다만 나이는 이상이가 최수현보다 5살 더 많다.[9] 일단 박찬희는 2022시즌 최종전까지 나왔기에 시즌 한정으로 유일한 영건은 아니었다. 이후 2023시즌을 앞두고 트라이아웃으로 황영묵, 원성준, 정현수, 선성권, 2024시즌을 앞두고 트라이아웃을 통해 이용헌, 고대한, 윤상혁, 임상우, 유태웅, 문교원 등 영건들이 대거 영입되며 2022 시즌 후 유일하게 남은 영건이라는 타이틀도 내려놓게 되었다.[10] 물론 그 경기의 MVP는 유희관이었다. 때문에 최수현을 아쉬워하는 동료들도 있었다.[11] 라인업 발표 이후 박용택이 말하기를, 시트지 뒤로 비쳐 보이는 라인업을 봤는데, "박"이라는 단어가 8번에 있어서 내가 8번인가? 싶었다가 지명타자가 공개되자 그 박이 '박찬희'인 걸 알았다고...[12] 발이 빨라 주루 플레이가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택근 부상으로 인해 중견수로 자주 나가고 있다.[13] 여담으로 JTBC 드라마 팀이 수현이를 찾는다고 장 단장이 언급한다.[14] 다만 헛바람 이야기는 농담으로 한 것이고 관련 링크를 들어가면 알겠지만 진짜 이유는 최강야구 경기일정과 겹쳤기 때문이라고 한다.[15] 설령 2차전을 이겼다 하더라도 앞 타석에서 정의윤이 만루홈런을 터트렸기에 정의윤에게 단독으로 MVP가 가거나, 장시원 PD 권한에 의해 정의윤과 공동 MVP를 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16] 이 동점 투런홈런이 아니었으면 12회 연장도 없었고 이대로라면 허무하게 끝날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