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창원시 시내버스/목록
1. 개요2. 10번대 일반버스 (10~19번)3. 20번대 일반버스 (20~29번)4. 30번대 일반버스 (30~39번)5. 40번대 일반버스 (40~43번)6. 50번대 일반버스 (50~59번)7. 60번대 일반버스 (60~66번)8. 70번대 일반버스 (70~77번)
8.1. 70번 (월영아파트-월영아파트(순환))8.2. 71번 (월영아파트-창원대학교)8.3. 71-1번 (경남대학교-창원대학교)8.4. 72번 (월영아파트-마산대학)8.5. 72-1번 (해운중학교-해운중학교(순환))8.6. 73번 (마산대학-호계)8.7. 77번 (경남대남부터미널-소답동) (폐선)
9. 80번대 일반버스 (80~88번)10. 90번대 일반버스 (90~98번)10.1. 90번 (경남대학교-북면온천)10.2. 90-1번 (경남대학교-북면온천) (폐선)10.3. 90-2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10.4. 90-3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폐선)10.5. 90-4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폐선)10.6. 91번 (대방동-본포)10.7. 91-1번 (대방동-북면온천)10.8. 91-2번 (대방동-북면온천)10.9. 92번 (경남대학교-본포) (폐선)10.10. 92-1번 (대방동-본포)10.11. 92-2번 (죽동-경남대학교) (폐선)10.12. 92-3번 (신전-경남대학교) (폐선)10.13. 92-4번 (대방동-본포)10.14. 93번 (경남대학교-남백)10.15. 94번 (대방동-진영/자여)10.16. 94-1번 (경남대학교-용전)10.17. 95번 (경남대학교-진영/자여)10.18. 97번 (장유-창원대학교(순환)) (폐선)10.19. 98번 (장유-창원대학교(순환)) (폐선)
11. 100번대 일반버스 (101~117번)12. 좌석버스 (300~400번)1. 개요
2005년 6월에 실시된 마산/창원지역 시내버스 대개편 이전의 노선을 기록한 페이지입니다.- 개편전 노선은 2005년 6월에 실시된 개편 직전을 기준으로 작성하는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개편 이전에 폐선된 노선의 경우에는 (폐선) 표시를 별도로 해주시고, 폐선 당시의 노선을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 운행회사가 고정인 경우를 제외하고 운행회사 기재는 생략합니다. 운행회사 기재가 없는 경우는 마창시내버스협의회 소속 8개사(시민버스[1], 신양여객, 마창여객, 대중교통, 제일교통, 대운교통, 동양교통, 마산버스[2]) 공동배차 노선입니다.
- 노선 및 설명 기술 중에 과거 지명과 현재 지명이 혼재될 수 있습니다.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빈 공간은 지속적으로 기입 예정입니다.
- 첫막차와 운행횟수는 여기를 참조할 것.
2. 10번대 일반버스 (10~19번)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1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3. 20번대 일반버스 (20~29번)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2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4. 30번대 일반버스 (30~39번)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3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5. 40번대 일반버스 (40~43번)
40번대 노선은 경남대-합포로 축을 경유, 마산시 창원출장소 지역(현재의 의창구/성산구) 방향으로 운행하던 노선들이 부여받던 번호대였다.5.1. 40번 (경남대학교-남산동)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윤병원 - 사단앞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창원운동장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병무청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남양초등학교 - 남산동(알뜰생활관)첫차는 경남대 5시 22분, 남산동 5시 15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08분, 남산동 23시 11분
8대가 23분 간격으로 하루 48회 운행하였다.
마산시 창원출장소 시절부터 다니던 노선으로 원래 1992년까지는 20번과 함께 창원 구간을 순환하던 노선[3]이었으나, 1992년경에 대방동으로 연장되면서 20번과 분리되고 그 후 남산동으로 또다시 연장되었으며 2001년경 남산동 종점이 폐쇄되면서 위 노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변동 없이 2005년 개편때 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전 소답동 일대를 지나는 노선 중 읍성로를 경유하지 않고 의창대로로 양방향 직통하는 몇 안되는 노선이었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5.2. 40-1번 (월영아파트-남산동)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남양초등학교 - 남산동(알뜰생활관)첫차는 월영A 5시 34분, 남산동 5시 25분
막차는 월영A 23시 17분, 남산동 23시 21분
8대가 23분 간격으로 하루 48회 운행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 신설된 노선으로 40번의 직선화 버전 노선이다. 40번과는 월영아파트 및 북동공설시장(읍성로) 경유, 경남도청 미경유(창원광장 직통) 정도의 차이 밖에 없었다. 40번과 마찬가지로 남산동을 종점으로 삼던 노선이었으나, 2001년경 남산동 종점이 폐쇄되면서 위 노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개편 때 폐선되었다.
5.3. 43번 (경남대학교-대방동)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대방동 방향)/윤병원(경남대학교 방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삼일상가 - 경창상가 - 창원남고 - 가음정동 - 대방초등학교 - 대방동첫차는 경남대 5시 28분, 대방동 5시 21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22분, 대방동 23시 29분
16대가 12분 간격으로 하루 96회 운행하였다.
마산시 창원출장소 시절부터 다니던 노선으로 원래 1992년까지는 23번과 함께 창원 구간을 순환하던 노선[4]이었으나, 1992년경에 대방동으로 연장되고 23번과 분리되면서 위 노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변동 없이 2005년 개편때 까지 운행하였다. 경남대~소답동 구간은 21번과 완전히 동일했다.
개편 전 북성로에 13,14번, 3.15대로에 60번이 있었다면, 합포로에는 43번이 있었다 할정도로 43번도 배차가 빵빵한 노선이었다. 상술한대로 21번의 운행구간을 완벽히 물려받아 21번을 대체했고, 창원시내 구간수요도 쏠쏠한 노선이었다. 일반노선 중에서는 가장 많은 차량이 다녔던 노선.
개편 때 직선화 되고 불모산동으로 연장되어 창원 버스 102가 되었고, 창원 버스 213이 사실상 직선화된 구간을 대체하였는데, 실제로는 보완 과정에서 창원 버스 109가 대부분 동일한 구간으로 신설되어 사실상 부활하였다.[5]
6. 50번대 일반버스 (50~59번)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5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7. 60번대 일반버스 (60~66번)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6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8. 70번대 일반버스 (70~77번)
70번대 노선은 산복도로(고운로, 무학로) 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들이 부여받던 번호대였다.[6]8.1. 70번 (월영아파트-월영아파트(순환))
- [ 지도 노선도 보기 ]
월영아파트 → 문화동 → 중부경찰서 → 경남데파트 → 오동동 → 육호광장 → 회산교 → 삼학사 → 서원곡입구 → 완월동 → 마산중앙고등학교 → 문화동 → 월영아파트
첫차는 월영아파트 5시 00분
막차는 월영아파트 22시 36분
3대가 23분 간격으로 하루 45회 운행하였다.
꽤나 옛날부터 운행하던 노선으로 원래는 72, 72-1번 함께 마산 시내와 산복도로 연결을 책임지던 노선이었다. 이 노선은 마산 시내에서 산복도로 방향으로 운행하였으며, 72, 72-1번은 산복도로에서 마산 시내 방향으로 운행하였다.
옛날부터 월영아파트 연장을 제외하면 노선 변동이 없었으나 2004년 4월 1일에 불종거리로 경유에서 합포로와 용마고등학교 경유로 변경되었다. 그 후 2005년 개편으로 255번이 되었으나 산복도로와 산호동을 순환하는 사실상 다른 노선이 되었다. 그마저도 2007년 경에 종점이 내서로 변경되며 완전히 다른 노선이 되었다. 실질적으로는 265번이 마산역을 순환하며 대부분의 구간을 대체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2023년 개편으로 폐선되며 마산에서는 순환 노선이 사라지게 되었다. 2023년 개편 후 산복도로 구간은 105번과 262번이 대체하고 있다.
8.2. 71번 (월영아파트-창원대학교)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문화동 - 제일여고 - 마산여고 - 한우아파트 - 서원곡 - (창원행:형제상가빌라[7]/마산행:경남은행연수원) - 회원초등학교 - 석전사거리 - 마산운동장 - 수출후문 - 정우맨션 - 양덕초등학교 - 삼성병원 - 차룡단지 - 동서식품 - 창원터미널 - 대원동 - 충혼탑 - 창원전문대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성산아트홀 - 성심유치원 - 창원대학교첫차는 월영A 5시 30분, 창원대 5시 20분
막차는 월영A 23시 05분, 창원대 23시
8대가 15/30분 간격으로 하루 48회 운행하였다.[8]
오래전부터 운행되던 노선으로 산복도로축을 운행하던 마산-창원간 간선노선으로 활약하였다. 원래 노선은 고속터미널을 경유하고, 28, 71-1번과 마찬가지로 한국전력을 경유하는 노선이었으나, 차룡단지길이 생기면서 27/27-1번과 같이 차룡단지 직통으로 바뀌고, 이후 수출 후문 경유로 바뀌면서 위 노선과 같은 형태로 변경되었다.
72번과 더불어 마산 시내 고등학교를 굉장히 많이 경유했다. 특히 마산 시내 2대 교육단지인 고운로 축과 팔용교육단지를 모두 경유하는 데다 구간 곳곳에 고등학교가 많아서 학생 셔틀의 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창원 F3 대회가 있었던 날에는 창원전문대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구간 대신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삼일상가 구간으로 운행하기도 하였다.[F3]
개편 때 마산 구간은 존치, 창원 구간은 사단앞, 도계동, 명서동 경유 대방동으로 연장되면서 창원 버스 105로 변경되었다. 개편 후 창원 구간이 대폭 바뀌긴 했지만 학생 셔틀의 주 임무은 여전하다(...)
8.3. 71-1번 (경남대학교-창원대학교)
경남대학교 - 문화동 - 제일여고 - 마산여고 - 한우아파트 - 서원곡 - 교방초등학교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마산운동장 - 수출후문 - 정우맨션 - 양덕초등학교 - 삼성병원 - 한국전력 - 창원역 - 극동아파트 - 창원터미널 - 대원동 - 충혼탑 - 창원전문대 - 까치아파트 - 대동그린코아 - 사격장입구 - 창원대학교첫차는 경남대 5시 45분, 창원대 5시 34분
막차는 경남대 22시 55분, 창원대 22시 45분
4대가 45분 간격으로 하루 24회 운행하였다.
71번의 지선형 노선으로 지금은 노선이 없는 교방초등학교 방향으로 운행하였었다. 당시 28번과 더불어 삼성병원 - 한국전력 코스로 운행하던 몇 안되던 노선[10]. 개편 이후로는 어느 노선도 이 코스들을 이용하지 않는다. 71번 2대에 71-1번 1대꼴의 배차였기에 자주 보기는 힘든 노선이었다. 71번의 학생 셔틀 과부하 해소 역할 정도만 하던 노선이었다.
창원 F3 대회가 있었던 날에는 창원전문대를 경유하지 않고 충혼탑 - 올림픽공원 - 창원병원 - 삼일상가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까치아파트 구간으로 돌아서 운행하기도 하였다.[F3]
개편 때 마산 구간 부분만 71번과 함께 창원 버스 105로 통합되었다.
8.4. 72번 (월영아파트-마산대학)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문화동 - 제일여고 - 마산여고 - 한우아파트 - 서원곡 - 마산여중 - 서마산시장 - 교도소입구 - 중리삼거리 - 용마정비 - 삼계롯데마트 - 죽암(월영아파트 방면)/농산물시장(마산대학 방면) - 마산대학첫차는 월영A 5시 29분, 마산대학 6시 14분
막차는 월영A 22시 41분, 마산대학 23시 26분
4대가 35분 간격으로 하루 32회 운행하였다.
꽤나 옛날부터 운행하던 노선으로 70, 72-1번과 함께 마산 시내와 산복도로 연결을 책임지던 노선이었다. 70, 72-1번과 함께 순환 노선이었지만 이 노선은 석전사거리를 경유하였다.[12] 그러나 2000년 초반에 순환 노선에서 내서 방향 노선으로 변경되며 70, 72-1번만 마산을 순환하게 되었다. 내서 방향 노선이 된 후로도 산복도로 구간은 석전사가리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다. 학교를 많이 끼고 있어서 학생들이 많이 타던 노선으로, 출퇴근 시간이면 양방향으로 수요가 많던 노선이었다.
2005년 개편 때 이미지아파트를 경유하며 254번이 되었고 2023년 개편 후까지 유지되고 있다. 학교가 많아서 학생들은 여전히 많이 탄다.
8.5. 72-1번 (해운중학교-해운중학교(순환))
- [ 지도 노선도 보기 ]
해운중학교 → 문화동 → 마산중앙고등학교 → 완월동 → 합포고등학교 → 롯데캐슬프리미어아파트 → 동중입구 → 원불교교구청 → 자유무역지역정문 → 어시장 → 마산합포구청 → 반월민원센터 → 경남대남부터미널 → 해운중학교
첫차는 해운중학교 5시 20분
막차는 해운중학교 22시 56분
3대가 23분 간격으로 하루 45회 운행하였다.
꽤나 옛날부터 운행하던 노선으로 70, 72번과 함께 마산 시내와 산복도로 연결을 책임지던 노선이었다. 70번은 마산 시내에서 산복도로 방향으로 운행하였고, 72번과 이 노선은 산복도로에서 마산 시내 방향으로 운행하였다. 72번과의 차이점은 72번 문서 참고.
옛날부터 해운중학교 연장을 제외하면 노선 변동이 없었으나 2004년 4월 1일에 불종거리로 경유에서 합포로와 용마고등학교 경유로 변경되었다. 그 후 2005년 개편으로 256번이 되었으나 산복도로와 산호동을 순환하는 사실상 다른 노선이 되었다. 그마저도 2007년 경에 종점이 내서로 변경되며 완전히 다른 노선이 되었다. 실질적으로는 266번이 마산역을 순환하며 대부분의 구간을 대체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2023년 개편으로 폐선되며 마산에서는 순환 노선이 사라지게 되었다. 2023년 개편 후 산복도로 구간은 105번과 262번이 대체하고 있다.
8.6. 73번 (마산대학-호계)
마산대학 - 죽암 - 장미아파트 - 상곡 - 삼계롯데마트 - 안계초등학교 - 이미지아파트 - 원계 - 용마정비 - 중리현대아파트 - 동서병원 - 코오롱아파트 - 호계2004년 4월 1일에 내서읍 순환노선 신설 요구에 따라 만들어진 노선. 공식적으로는 2대 35분 간격으로 다니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신설 2주 뒤부터 파행운행 수준이 심해서 모 회사 배차시만 1대 정도 다니고 타 회사 배차시는 아예 다니지도 않았던 노선이다..;;
개편 때 대체노선 없이 폐선되었다. 하지만 2010년에 내서읍 순환노선 신설로 창원 버스 240이 이 노선과 거의 동일한 선형으로 신설되면서 사실상 부활되었다. 이 노선과 차이점이라면 호계와 상곡 미경유 정도...
8.7. 77번 (경남대남부터미널-소답동) (폐선)
- [ 지도 노선도 보기 ]
경남대남부터미널 - 반월민원센터 - 마산합포구청 - 부림시장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문화방송 - 양덕광장교차로 - 역전치안센터 - 합성동 - 구암동 - 창원역 - (동정동 → 동일그린맨션 → 소답동(회차) → 태광주유소) - 창원역 - 이후 역순
1990년대 초반 마산시청[13]의 신축 공사로 인해 시청이 임시로 마산운동장[14]으로 이전되며 편의를 위해 88번과 함께 몇 년간 운행하였다. 마산의 기본 노선인 13번과 21번 노선을 바탕으로 삼호로에서 88번과 8자로 꼬아진 노선 형태였다.[15]
1992년경 88번과 함께 폐선되었다.
9. 80번대 일반버스 (80~88번)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8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10. 90번대 일반버스 (90~98번)
90번대 노선은 창원군 시절 북면, 동읍, 대산면 지역으로 운행하던 시외버스에서 형간전환 된 노선들이 부여받던 번호대였다.10.1. 90번 (경남대학교-북면온천)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부림시장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동정동 - 굴현고개 - 화천리 - 동전 - 북면사무소 - 북면농협 - 북면온천첫차는 경남대 6시 22분, 북면온천 7시 50분
막차는 경남대 21시 55분, 북면온천 22시 50분
2대가 80분 간격으로 하루 12회 운행하였다.
개편 후 창원여중 경유로 바뀌고 창원 버스 24가 되어 존치되었다. 그리고 2023년 6월 10일부터는 덕동공영차고지로 기점이 변경되고 현동지구 및 밤밭고개를 추가로 경유한다.
10.2. 90-1번 (경남대학교-북면온천) (폐선)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2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10.3. 90-2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부림시장 - 회산교 - 석전사거리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동정동 - 굴현고개 - 화천리 - 동전 - 북면사무소 - 북면농협 - 북면온천북면온천 방향에 대해 외감 내부 및 내감 내부를 경유하는 것 이외에는 90번과 동일하다.
첫차는 경남대 8시 17분, 북면온천 6시 50분
막차는 경남대 22시 35분, 북면온천 20시 50분
1대가 180분 간격으로 하루 7회 운행하였다.
개편 후 창원여중 경유로 변경, 외감 및 내감 경유 구간을 창원 버스 22에 넘겨주고 창원 버스 24에 흡수되었다.
10.4. 90-3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폐선)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2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10.5. 90-4번 (북면온천-경남대학교) (폐선)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2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10.6. 91번 (대방동-본포)
대방동 - 대동백화점 - 정우상가 - 창원종합운동장 - 명서동 - 창원서부경찰서 - 소답동 - 동정동 - 굴현고개 - 화천 - 동전 - 북면사무소 - 북면농협 - 북면온천 - 마산리 - 본포첫차는 대방동 5시 30분, 본포 6시 45분
막차는 대방동 20시 20분, 본포 21시 30분
1대가 18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개편 후 창원 버스 10이 되어 존치되었다.
10.7. 91-1번 (대방동-북면온천)
대방동 - 대동백화점 - 정우상가 - 운수연수원 - 반지동사무소 - 지귀상가 - 창원공고 - 농산물도매시장 - 창원대로 - 팔용동 - 창원여중 - 동정동 - 굴현고개 - 화천리 - 동전 - 북면사무소 - 북면농협 - 북면온천첫차는 대방동 6시 09분, 북면온천 7시 27분
막차는 대방동 21시 40분, 북면온천 22시 40분
2대가 63분 간격으로 하루 12회 운행하였다.
시간표대로 무동, 갈전, 아산 등을 거쳤다.
개편 후 창원 버스 11이 되어 존치되었다.
상남동과 반림동(현대건설, 럭키아파트)을 잇는 유일한 노선이어서, 해당 구간에서 시간표 암기 후 이용하는 수요도 있었다. 참고로 다른 노선이 있긴 한데, 랜덤배차와 굴곡노선으로 악명높은 54번(...)
10.8. 91-2번 (대방동-북면온천)
대방동 - 남산동 - 가음정동 - 창원남고 - 창원병원 - 올림픽공원 - 창원터미널 - 창원대로 - 팔용동 - 창원여중 - 동정동 - 굴현고개 - 화천리 - 동전 - 북면사무소 - 북면농협 - 북면온천첫차는 대방동 6시 48분, 북면온천 8시 07분
막차는 대방동 21시 20분, 북면온천 22시 18분
1대가 175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개편 후 창원 버스 12가 되어 외감 및 내감 내부 경유에 명촌까지 운행하였다가 북면온천 - 명촌 구간을 창원 버스 14에 넘겨주고 다시 북면온천까지로 단축되었다.
10.9. 92번 (경남대학교-본포) (폐선)
개편 전 21-5번 문서 참조.10.10. 92-1번 (대방동-본포)
대방동 - 대동백화점 - 정우상가 - 창원종합운동장 - 명서동 - 창원서부경찰서 - 도계검문소 - 용강검문소 - 덕산 - 다호 - 석산 - 용산 - 봉곡마을 - 봉강 - 전촌 - 본포첫차는 대방동 5시 40분, 본포 6시 40분
막차는 대방동 19시 50분, 본포 21시
1대가 17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개편 후 92-4번과 통합되어 창원 버스 30이 되었다.
10.11. 92-2번 (죽동-경남대학교) (폐선)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2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10.12. 92-3번 (신전-경남대학교) (폐선)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20번대 문서 참고하십시오.10.13. 92-4번 (대방동-본포)
대방동 - 남산동 - 가음정동 - 창원남고 - 창원병원 - 올림픽공원 - 창원터미널 - 창원대로 - 팔용동 - 창원여중 - 소답동 - 도계검문소 - 용강검문소 - 덕산 - 다호 - 석산 - 용산 - 봉곡마을 - 봉강 - 전촌 - 본포첫차는 대방동 6시 20분, 본포 7시 10분
막차는 대방동 20시 50분, 본포 22시
1대가 18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개편 후 92-1번과 통합되어 창원 버스 30이 되었다.
또한 대방동종점 ~ 팔용동 구간까지는 창원 버스 108번 노선이 대체하고 있다.
10.14. 93번 (경남대학교-남백)
경남대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고속터미널 - 한일합섬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구암동 - 창원역 - 동정동 - 굴현고개 - 외감입구 - 화천 - 대천 - 월촌 - 남백첫차는 경남대 8시 17분, 남백 6시 50분
막차는 경남대 22시 35분, 남백 20시 50분
1대가 16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경남대학교에서 남백까지 운행하던 노선이였다.
특이하게도, 북면노선임에도 불구하고 북면온천을 경유하지 않았다.
개편 후 동정동 경유에서 팔용동 - 창원여중 경유로 바뀌고 창원 버스 23이 되었다.
북면온천 미경유는 여전하다.
10.15. 94번 (대방동-진영/자여)
대방동 - 사파동성아파트 - 법원,검찰청 - 경남도청 - 롯데아파트 - 정우상가 - 창원종합운동장 - 명서동 - 창원서부경찰서 - 용강검문소 - 덕산 - 내단계 - 용정 - 자여 - (외단계 - 진영)1호차
첫차는 대방동 5시 50분, 자여 7시
막차는 대방동 21시 40분, 자여 22시 40분
1대가 160분 간격으로 하루 7회 운행하였다.2호차
첫차는 대방동 6시, 진영 7시 20분
막차는 대방동 20시, 진영 21시 30분
1대가 210분 간격으로 하루 5회 운행하였다.
1호차와 2호차가 나눠져 있는 노선이었다. 1호차는 자여까지, 2호차는 진영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후 1호차는 창원버스 34번, 2호차는 창원버스 35번이 되어 법원 경유 대신 대동백화점 경유로 바뀌어 존치되었다.
10.16. 94-1번 (경남대학교-용전)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마산운동장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서상삼거리 - 윤병원 - 39사단 - 용강검문소 - 남산 - 용전첫차는 경남대 6시 10분, 용전 7시 10분
막차는 경남대 20시 25분, 용전 21시 35분
1대가 16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
개편 후 창원 버스 46이 되었다.
10.17. 95번 (경남대학교-진영/자여)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신세계백화점 - 자유무역지역후문 - 양덕동 - 한일타운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소답동 - 용강검문소 - 덕산 - 내단계 - 용정 - 자여 - (외단계 - 진영)1호차
첫차는 경남대 6시, 자여 7시 10분
막차는 경남대 20시, 자여 21시 10분
1대가 14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였다.2호차
첫차는 경남대 5시 30분, 진영 6시 50분
막차는 경남대 19시 30분, 진영 21시
1대가 210분 간격으로 하루 5회 운행하였다.
1호차와 2호차가 나눠져 있는 노선이었다. 1호차는 자여까지, 2호차는 진영까지 운행하였다.
개편 후 1호차는 창원버스 44번, 2호차는 창원버스 45번이 되어 존치되었다.
10.18. 97번 (장유-창원대학교(순환)) (폐선)
(김해불암동 - 김해지내동 - 인제대학교 - 김해시외버스터미널 - 일동한신아파트 - 내덕 -) 장유석봉마을 - 장유농협 - 장유온천 - 대청마을 - 능동삼거리 - 창원터널 - 불모산동 - 남산동 - 남산고등학교 - 대방동종점 - 사파동성아파트 - 법원. 검찰청 - 경남도청 - 창원대학교 - 창원의 집 - 까치아파트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남양초등학교 - 남산동 - 불모산동 - 창원터널 - 대청마을 - 장유온천 - 장유농협 - 장유석봉마을 (- 내덕 - 일동한신아파트 - 김해시외버스터미널 - 인제대학교 - 김해지내동 - 김해불암동)첫차는 창원대 6시 10분, 장유 7시 10분
막차는 창원대 20시 10분, 장유 21시 20분
1대가 120분 간격으로 하루 8회 운행하였다.
창원버스 폐선 전 김해버스는 12회 운행하였다.
1990년대 말 김해시 장유면의 장유신도시가 개발되고 장유가 창원의 위성도시의 역할을 수행하여 양시를 오가는 수요가 생겨났다.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양시는 버스를 공동배차하기로 하고 2001년 5월 97,98번이 신설되었다. 개통당시엔 ()를 제외한 지역만을 오갔으나 김해시가 ()안의 지역으로 노선을 연장하였다. 한동안 창원버스는 원래의 노선을, 김해버스는 ()안의 지역을 포함한 노선을 운행하였으나 2002년 9월 1일 부로 원래의 창원순환이었던 58번을 장유로 연장하면서 97번의 장유노선을 58번으로 넘겨주고 2003년 5월경 폐선되었다. 김해시내버스는 계속해서 운행하여 현재는 김해 97번이 되었다.
개편때 97번의 장유 → 창원 노선을 기반으로 171번이 만들어졌다가 곧 170번에 흡수되었다.
10.19. 98번 (장유-창원대학교(순환)) (폐선)
(김해불암동 - 김해지내동 - 인제대학교 - 김해시외버스터미널 - 일동한신아파트 - 내덕 -) 장유석봉마을 - 장유농협 - 장유온천 - 대청마을 - 능동삼거리 - 창원터널 - 불모산동 - 남산동 - 남양초등학교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정우상가 - 창원운동장 - 까치아파트 - 창원의 집 - 창원대학교 - 경남도청 - 법원. 검찰청 - 사파동성아파트 - 대방동종점 - 남산고등학교 - 남산동 - 불모산동 - 창원터널 - 대청마을 - 장유온천 - 장유농협 - 장유석봉마을 (- 내덕 - 일동한신아파트 - 김해시외버스터미널 - 인제대학교 - 김해지내동 - 김해불암동)첫차는 창원대 6시 30분, 장유 7시 30분
막차는 창원대 20시 50분, 장유 21시 50분
1대가 120분 간격으로 하루 8회 운행하였다.
창원버스 폐선 전 김해버스는 12회 운행하였다.
1990년대 말 김해시 장유면의 장유신도시가 개발되고 장유가 창원의 위성도시의 역할을 수행하여 양시를 오가는 수요가 생겨났다.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양시는 버스를 공동배차하기로 하고 2001년 5월 97,98번이 신설되었다. 개통당시엔 ()를 제외한 지역만을 오갔으나 김해시가 ()안의 지역으로 노선을 연장하였다. 한동안 창원버스는 원래의 노선을, 김해버스는 ()안의 지역을 포함한 노선을 운행하였으나 2002년 9월 1일 부로 원래의 창원순환이었던 59번을 장유로 연장하면서 98번의 장유노선을 59번으로 넘겨주고 2003년 5월경 폐선되었다. 김해시내버스는 계속해서 운행하여 현재는 김해 98번이 되었다.
개편때 98번의 장유 → 창원 노선을 기반으로 170번이 만들어졌다.
11. 100번대 일반버스 (101~117번)
진해시 시내버스의 번호였다. 마산, 창원 버스의 대개편 이후에도 그대로 운영하다, 2010년 마창진 통합이후 300번대로 변경되었다.[16]12. 좌석버스 (300~400번)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좌석 문서 참고하십시오.[1] 부도로 인한 면허 소멸[2] 현, 창원버스[3] 이 때 당시 창원구간 노선은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명곡로타리 → 창원운동장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병무청 → 창원중부경찰서 → 삼일상가 → 창원병원 → 충혼탑 → 대원동 → 창원터미널 → 동서식품 → 한국전력 순으로 순환 운행하였다.[4] 이 때 당시 창원구간 노선은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동 → 명곡로타리 → 창원운동장 → 성산아트홀 → 경남도청 → 병무청 → 창원중부경찰서 → 삼일상가 → 상남시장 → 창원남고 → 창원병원 → 창원터미널 → 동서식품 → 한국전력 순으로 순환 운행하였다. 23번과는 달리 경창상가를 경유하지 않고 상남시장을 경유하였다.[5] 차이점이라면 2023년 6월 10일 이후 기준으로 소답동 - 도계주유소(43번)/팔용동 - 유니시티 - 도계초등학교(109번) 구간과 대방초등학교(43번)/남산공원환승센터 - 삼정자동(109번) 구간 그리고 대방동(43번)/불모산동(성주공영차고지, 109번) 종점 차이 등이 있다.[6] 단, 1992년경까지만 운행하였던 77번은 예외적으로 산복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마산시청(현, 마산합포구청)을 경유하였다.[7] 현재 무학산벽산블루밍 아파트에서 약간 아래로 지나간다. 308번(현 창원 버스 707)과 동일하게 지나갔다.[8] 71-1번과 통합 15분 배차로 다녔기 때문에 15분간격과 30분 간격으로 나눠져있다.[F3] 창원 F3 대회가 열리면 그 기간 동안 충혼로 일부 및 주변 몇 도로가 F3 경주로로 쓰이기 때문에 해당 구간은 경주용 자동차를 제외한 모든 차량에 대한 통행이 차단되었다.[10] 당시 한국전력 방향으로는 현재의 구암남11길, 삼성병원 방향으로는 현재의 구암남10길로 운행하였다. 두 길 모두 일방통행 동네 골목길인데 정류소까지 있었단건 함정 그리고 27번과 71번도 초기에는 이 코스를 운행한 바 있다. 나중에 차룡단지행으로 노선 변경이 되기는 했지만...[F3] [12] 72-1번과 노선이 거의 겹치기 때문에 이 노선이 내서로 연장된 후 72-1번이 개통했을 수도 있다[13] 마산합포구청[14] 창원NC파크[15] 그래서 삼호로 구간에서는 같은 정류장에 서로 다른 방향을 가는 형태였다[16] 예) 101번 → 30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