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가 존재하는 지역사랑상품권 목록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000><colbgcolor=#000,#aaa> 전국 공통 대행사 | |||||
대행사 | | | | |||
목록 | 코나카드/지역사랑상품권 | 그리고 | 착한페이 | 지역상품권 Chak | ||
지방자치단체 주관 지역사랑상품권 | ||||||
광역 단위 | | | | | ||
서울사랑상품권 | 그래서울 | 경기지역화폐 | 인천e음 | 동백전 | ||
| | | | | ||
광주상생카드 | 여민전 | 대전사랑카드 | 대구로페이 | 탐나는전 | ||
기초 단위 | | | | | | |
노원 | 대덕 e로움 | e바구페이 | 군산사랑상품권 | 굿뜨래페이 | ||
| ||||||
김포페이 |
| |||
운영사 | KT | ||
개발수행사 | 다온링크 | ||
주관 | 해당 각 시/구 | ||
사용처 | 사용 불가 장소를 제외한 각 시/군 전역 |
1. 개요
KT에서 개발 및 운영중인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서비스. 개발 수행사는 다온링크이다.2. 상세
일반 사용자는 다양한 지자체의 지역화폐를 충전하여 사용하고, 또 지자체에서 본인에게 발급된 지급형 화폐를 손쉽게 수령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사용자는 본인의 가게에서 착한페이를 통해 결제된 내역을 관리하고, 지역화폐를 손쉽게 현금으로 계좌입금(환전)을 신청할 수 있으며 수수료가 없다는 점이 장점이다.결제 방식으로는 QR코드 결제 방식을 지원하며, 카드형의 경우에는 하나카드. 농협카드 등 체크카드 기반으로 운영되며(하나멤버스 1Q카드) 착한페이 앱을 통해 별도로 신청해야 한다. 또한 카드로 결제시 충전된 착한페이 앱 내 금액에서 빠져나가는 형태이다.
2.1. 운영 지역
2.1.1. 공주페이(충청남도 공주시)
| |
하나멤버스 1Q 체크카드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 |
* 소비자는 마일리지를 인센티브로 지원받는 형태이다.
* 카드형은 교통형과 비교통형으로 나뉘어 나온다.
* 25년 4월 10일부로 NICE정보통신으로 이관 예정이다.
2.1.2. 익산 多e로움(전라북도 익산시)
| |
| |
익산다이로움카드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농협카드/신협/전북은행 |
* 2025년 3월 7일부터 비즈플레이로 운영 대행사 이관 예정이다. 기사
2.1.3. 칠곡사랑카드(경상북도 칠곡군)
| |
칠곡사랑카드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 / 농협카드 |
2021년 1월부로 농협카드도 출시 예정이다.
2.1.4. 소양에너지페이(강원도 춘천시)
2021년 1월 26일 출시. 국내 최초의 에너지 전자화폐다. 신재생에너지 보급·확산, 에너지 이용체계의 선순환을 만들기 위한 지급형 지역화폐다.2.2. 서비스 종료 지역
2.2.1. 고양 탄소지움카드(경기도 고양시)
| |
고양탄소지움 체크카드 | |
카드형 대행사 | NH농협카드 |
따라서 고양시도 서울시 노원구 & 강동구처럼 2가지 운영 대행사를 통용하는 지역이 되었으나, 운영이 중단되었다.
2.2.2. 김포페이(경기도 김포시)
카드형 김포페이 1기 | 카드형 김포페이 2기 | 카드형 김포페이 3기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 |
2.2.3. 구미사랑카드(경상북도 구미시)
|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 농협, 대구은행, 새마을금고 |
* 경상북도 구미시 주관 체크카드형 지역화폐로, 1인당 구매한도는 월 40만원이며, 상품권 소진시까지 10%할인판매된다.카드 발급은 농협, 대구은행, 새마을금고, 하나은행에서 가능하다.
* 카드 디자인에 독립운동가가 새겨져 있다.
* 2023년 2월 7일 서비스 종료 후 2023년 2월 13일 나이스정보통신으로 이관되었다.
2.2.4. 울산페이(울산광역시)
| |
하나멤버스 1Q 체크카드 | 농협체크카드 |
| |
경남은행 일반형 세로 | 경남은행 다자녀형 세로 |
카드형 대행사 | 하나카드/농협카드/경남은행 |
공식 블로그 | http://blog.naver.com/ulsanpay |
- 5% 인센티브를 지원한다. [1]
- 선불 적립형 카드도 출시 예정으로 울산페이는 착한페이/체크카드/선불 적립카드 3종류로 운영될 예정이다.
- 하나카드와 농협카드, 경남은행 체크카드(일반, 다자녀형)가 있다.
- 2023년 4월부로 우선협상자로 코나아이가 선정되면서 서비스 종료 후 6월 1일부로 코나아이로 이관.
3. 관련 문서
[1] 가끔 이벤트로 10%까지 올라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