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陳) 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초대 호공 | ||||
2대 신공 | 3대 상공 | 4대 효공 | 5대 신공 | 6대 유공 | |
7대 희공 | 8대 무공 | 9대 이공 | 10대 평공 | 11대 문공 | |
12대 환공 | 13대 폐공 | 14대 여공 | 15대 장공 | 16대 선공 | |
17대 목공 | 18대 공공 | 19대 영공 | 20대 하징서 | 21대 성공 | |
22대 애공 | 23대 진군 유 | 24대 혜공 | 25대 회공 | 26대 민공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진(陳)나라 19대 국군 영공 靈公 | ||
성 | 규(嬀) | |
씨 | 진(陳) | |
휘 | 평국(平國) | |
아버지 | 진공공(陳共公) 규삭(嬀朔)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599년 |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13년 ~ 기원전 599년 (15년) |
[clearfix]
1. 개요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陳)나라의 제19대 군주. 진공공(陳共公)의 아들. 진성공(陳成公)의 아버지. 하희(夏姬)와 놀아난 것으로 유명하다.2. 생애
2.1. 다소 평범했던 초, 중기
진 영공 원년(기원전 613년), 노문공, 송소공, 위성공, 정목공과 진(晉)나라의 대신 조돈(趙盾)은 신성에서 회맹했다. 다시 회맹할 때는 초나라에게 순복하고 또한 주(邾)나라를 칠 것을 획책하였다.진 영공 4년(기원전 610년), 진 영공은 공손 녕, 진(晉)나라의 순림보, 위(衛)나라의 공달, 정나라의 석초가 군사를 거느리고 송(宋)나라를 쳤다. 송문공이 송 소공을 시해한 죄를 묻기 위해서였다.
진 영공 6년(기원전 608년), 초(楚)나라의 왕 초장왕(楚莊王)이 정나라와 함께 진(陳)나라를 쳤다. 덤으로 송나라도 쳤다. 진(晉)나라의 조돈은 진(陳)나라와 송나라를 구했다. 진 영공, 송 문공, 위 성공, 조문공과 진(晉)나라가 비림에서 회합해 정나라를 치고자 했다.
진 영공 7년(기원전 607년), 진 영공은 진(晉)나라, 송나라, 위나라 삼국과 정나라를 쳤다.
진 영공 10년(기원전 604년), 초 장왕이 진(晉)나라를 따르는 정나라를 치자 진 영공은 초 장왕에게 강화를 청했다. 이때 진(晉)나라의 순림보가 정나라를 구하고자 진(陳)나라를 쳤다.
진 영공 11년(기원전 603년), 진(晉)나라, 위나라 양국은 진(陳)나라가 초나라를 섬겨 진(陳)나라를 쳤다.
2.2. 하희와 놀아나다.
진 영공 14년(기원전 600년), 진(晉)나라의 순림보가 병사를 거느리고 진(陳)나라를 쳤다. 이때 진 영공과 대부 공영, 의행보와 진(陳)나라의 왕족 출신인 하어숙의 마누라이자 사마 하징서의 어머니 하희(夏姬)와 정을 통했다.[1] 그리고 하희의 겉옷과 속옷을 가지고 섹드립을 치자 대부 설야가 횡음무도한 짓을 하지 말라고 목숨을 걸고 간했으나 공영과 의행보가 진 영공의 묵인하에 설야를 살해했다.[2][3]2.3. 최후
진 영공 15년(기원전 599년), 진 영공은 공영, 의행보 3사람과 하징서와 술을 마시는데, 그 내용이 실로 가관이었다."하징서는 과인과 닮았으니 하징서는 과인의 아들이 아니겠는가?"
공영과 의행보 또한 옳다고 하면서 각기 자신과도 닮았다는 패드립을 치니 하징서가 아무리 인내심이 강해도 참을 수가 없었다. 하징서는 큰 분노를 감추지 못하고 매복시킨 궁노수로 진영공을 살해했다고 한다. 이에 공영과 의행보는 초나라로 달아났고, 진(陳)나라의 태자 규오는 진(晉)나라로 달아났다.
다음 해 초 장왕은 하징서를 죽이고 진(陳)나라를 멸했으나 신숙시의 말을 듣고 태자를 세우니 그가 바로 진 성공이다. 그는 내란 평정 뒤 진 영공의 장례를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