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山
1. 상고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존재했던 국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산(춘추전국시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산(춘추전국시대)#|]][[중산(춘추전국시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고대 전한의 군국제 봉국
삼국지 촉한의 유비의 가계도에서 종종 언급되는 그 중산정왕 유승의 봉국이다. 그 중심지는 현재의 허베이성 딩저우시였고, 한대 중산 왕릉이 남아있다. 중산회왕 유순의 후계가 단절되면서 일시적으로 봉국이 폐지되었다.2.1. 역대 군주
대수 | 시호 | 성명 | 재위기간 |
1 | 중산정왕(中山靖王) | 유승(劉勝) | 기원전 154년 ~ 기원전 113년 |
2 | 중산애왕(中山哀王) | 유창(劉昌) | 기원전 113년 ~ 기원전 112/111년 |
3 | 중산강왕(中山糠王) | 유곤치(劉昆侈) | 기원전 110년 ~ 기원전 90년 |
4 | 중산경왕(中山頃王) | 유보(劉輔) | 기원전 90년 ~ 기원전 87년/86년 |
5 | 중산헌왕(中山憲王) | 유복(劉福) | 기원전 87년/86년 ~ 기원전 70년/69년 |
6 | 중산회왕(中山懷王) | 유순(劉循) | 기원전 70년/69년 ~ 기원전 55년/54년 |
7 | 중산애왕 (中山哀王) | 유경(劉竟) | 기원전 45년 ~ 기원전 35년 |
8 | 중산효왕(中山孝王) | 유흥(劉興) | 기원전 23년 ~ 기원전 8년 |
9 | 중산왕(中山王) | 유간(劉衎) | 기원전 7년 ~ 기원전 1년 |
10 | 중산왕(中山王) | 유성도(劉成都) | 기원후 1년 ~ 기원후 8년[1] |
3. 류큐 왕국의 별칭
원래는 삼산시대에 존재했던 한 왕국의 이름이었다. 이후 쇼하시가 중산의 왕좌를 차지하고, 남산과 북산을 정복해 통일 류큐 왕국(유구국)을 건국하였다. 이 때 중산의 주도로 통일되었기 때문에 류큐 왕국은 중산이라는 별칭을 쓰게 되었다. 국왕은 유구국 중산왕(琉球國中山王)이라 불렸고, 역사서인 중산세감(中山世鑑) 등에도 이 이름이 쓰였다.4. 쑨원의 별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쑨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쑨원#|]][[쑨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융펑급 해방함 1번함 융펑의 개명된 이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산(해방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산(해방함)#|]][[중산(해방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중국 광둥성의 도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산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산시#|]][[중산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대한민국의 중산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산동(고양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산동(고양시)#|]][[중산동(고양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