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46:27

죽부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고려시대에 쓰인 가전체 문학 작품}}}에 대한 내용은 [[죽부인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죽부인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죽부인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복면가왕의 출연자}}}에 대한 내용은 [[죽부인(복면가왕)]]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죽부인(복면가왕)#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죽부인(복면가왕)#|]]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고려시대에 쓰인 가전체 문학 작품: }}}[[죽부인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죽부인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죽부인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복면가왕의 출연자: }}}[[죽부인(복면가왕)]]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죽부인(복면가왕)#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죽부인(복면가왕)#|]]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상세3. 여담

파일:Bamboo wife.jpg

1. 개요

여름을 시원하게 나기 위해, 대나무로 만들어 냉 기능을 갖춘 침구류의 일종이다.

2. 상세

죽부인()이란 말마따나 대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당나라 시절 전래되어 이후 발상지인 중국은 물론 일본동남아시아 지역에도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왔다. 얇게 쪼갠 대나무를 샌드백처럼 결어서 만든 것으로 세우면 보통 성인 남자의 명치나 가슴 정도 높이고 옆으로 누워서 잘 때 끌어안으면 다리나 팔이 겹쳐 그 사이에 땀이 차는 것을 막고 바람이 통하여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대나무를 써서 딱딱하기 때문에 허벅지가 굵은 사람은 취급시 주의해야 한다. 험하게 다루면 대나무에 조금씩 금이 갈 수도 있는데, 결대로 죽죽 쪼개지는 대나무의 특성 때문에 조금만 금이 가도 뾰족한 흉기로 둔갑해 피부에 상처를 입히기도 한다. 다리에 털이 많은 사람은 털이 끼여서 자다가 깨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주의할 것. 그래서 그냥 베개로 만들거나 천을 씌운 것도 있다.

지금은 예전만큼 많이 쓰진 않으나 선풍기가 없던 시절에는 여름을 나는데 중요한 도구였으며, 비록 대나무로 만든 물건에 불과하나 아버지가 쓰던 것을 아들이 사용하는 것을 금기시했고[1],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사용하던 죽부인은 옷가지와 함께 태웠다고 한다. 꼭 남사스러운 물건이어서 태운 것은 아니다.

여성이 사용하던 것은 죽(竹奴)라고 불렀다. 모 신문의 칼럼니스트에 의하면 양반집 마님들의 건장한 노비에 대한 성적 선망[2]이 반영된 이름이라고...
파일:external/www.gudangfurniture.com/babybolster.gif
위 사진은 인도네시아판 죽부인인 굴링으로,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죽부인의 모습과는 달리 천을 씌운 것이 특징이다.

죽부인에 선풍기를 더한 아이디어 상품도 있다.

3. 여담

2000년대 이후 중국산이 늘어나서, 한국산 수공업 죽부인은 찾아보기 어렵다.

영어로는 Dutch Wife로 쓰는데, 오나홀과 혼동하면 심히 곤란하다. 이 표현은 근대 들어서 인도네시아판 죽부인인 굴링(Guling)이 서구에 소개되는 과정에서 붙은 것이다. 당시 인도네시아를 드나들던 네덜란드 상인들이 현지 첩을 두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조롱하는 표현이 '더치 와이프(화란놈 마누라)'란 것이 통설이다. 이것이 변해서 현대에는 성매매란 뜻으로 변했다. 그리고 'Sex Doll'이란 뜻은 현대 미국, 일본에서 진짜로 그 물건을 만들면서 탄생했다.

국내 박물관에도 전시된 경우가 많은데, 밑도 끝도 없이 'bamboo wife'라고만 써놓고 설명은 없어 일부 외국인들이 과거 한반도인의 자위 기구(...)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2015년에 쇼미더머니4한 참가자가 이걸로 성행위 퍼포먼스(...)를 선보여 논란이 생기기도 했다. 이 외에도 1회에서는 어떤 참가자가 이것을 들고 "죽부인 뿌잉뿌잉"이라는 랩을 시전하기도 했다.


[1] 이름부터가 '부인' 이니까... 한자로도 영어로도 wife를 뜻하는 그 부인이 맞다. 걍 죽베개라고 할 것이지[2] '마님은 왜 돌쇠에게 쌀밥을 주었을까' 같은 것. 육체노동을 하는 노비들은 당연하지만 방에서 책만 읽는 샌님인 남편이랑 비할 수 없는 몸의 보유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