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11:08:57
}}}}}}}}} ||}}}}}}}}} ||}}}}}}}}} ||}}}}}}}}} ||
1. 개요2. 상세3. 수록곡4. LP5. CD6. Staff Credit
[clearfix]1984년 발매된 조용필의 정규 6집 음반.
조용필이 창작한 음악은 1곡만 수록되었다. 음반사인 지구레코드와 "매년 음반 한 장 발매"라는 계약을 하였는데, 실제 조용필은 1집부터 심지어 계약이 끝난 한참 후인 14집까지도 진짜로 1년에 정규앨범 하나 이상 내왔다. 때문에 창작자로서의 역량은 덜 발휘된 음반이나 음반의 완성도는 결코 부족하지 않다. 전문 작곡가들과 위대한 탄생 멤버들이 다수 곡을 작업한 것이 특징이다.
타이틀곡은 "정의 마음"이며, 애시드풍의 신시사이저 연주와 리드미컬하고 펑키한 베이스라인이 인상적인 "눈물의 파티"도 크게 히트하였다. 전자올갠을 적극 사용하고 파격적인 스타일의 연주와 가창을 선보인 얼터너티브 록 "정말 모르겠네"가 수록되었다. 발라드와 트로트 곡들에서는 대단히 고급스럽고 낭만적인 현악/브라스/어쿠스틱 세션을 감상할 수 있었다.
국내 최초로 디지털 레코딩/믹싱을 이용해 제작한 음반이다. 녹음 및 믹싱 작업은 일본 CBS-SONY(현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재팬) 시나노마치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고 한다. 대중음악에서 디지털 레코딩/믹싱으로 제작한 앨범이 겨우 2년 전인 1982년에 발매된 것을 감안하면 조용필의 혁신성과 음악적 욕심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 조용필 6집 '눈물의 파티, 바람과 갈대' 1984.2.9. 지구레코드 JLDS-1201843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Side A |
1 | 바람과 갈대 | 이용일 | 이봉조 | 3:45 |
2 | 그대 눈물이 마를 때 | 박건호 | 이범희 | 3:40 |
3 | 가랑비 | 손석우 | 손석우 | 3:55 |
4 | 눈물의 파티 | 박건호 | 이범희 | 3:48 |
5 | 내 입술에 그대 눈물 | 정풍송 | 정풍송 | 2:55 |
6 | 나그네 바람 | 하지영 | 이호준 | 3:41 |
Side B |
7 | 정의 마음 | 조용필 | 조용필 | 4:30 |
8 | 차라리 학이 되리라 | 하지영 | 이호준 | 3:11 |
9 | 어떤 결정 | 이수월 | 원희명 | 3:39 |
10 | 무정유정 | 김지평 | 백영호 | 3:05 |
11 | 정말 모르겠네 | 하지영 | 송홍섭 | 3:19 |
12 | 영원 속으로 | 임석호 | 임석호 | 2:54 |
13 | 서로 믿는 우리 마음(건전가요) | - | 최진희 | 1:40 |
4.3. 그대 눈물이 마를 때
|
그대 눈물이 마를 때 |
우린 잊었다 하겠지 오랜 세월이 흐르면 |
|
눈물의 파티 |
파티 파티가 시작될 때 나는 너를 보고 말았네 |
4.6. 내 입술에 그대 눈물
|
내 입술에 그대 눈물 |
내 입술에 떨어지던 뜨거운 그대 눈물 |
|
나그네 바람 |
그리움도 아쉬움도 내 가슴속 깊은 곳에 뿌려놓고서 |
|
정의 마음 |
흘러가는 저 구름은 정의 마음일까요 |
4.10. 차라리 학이 되리라
|
무정유정 |
강물 속에 깨지는 건 산을 떠난 고운 달이여 |
4.15. 서로 믿는 우리 마음
<rowcolor=#d47000>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1 | 바람과 갈대 | 이용일 | 이봉조 | 3:45 |
2 | 그대 눈물이 마를 때 | 박건호 | 이범희 | 3:40 |
3 | 가랑비 | 손석우 | 손석우 | 3:55 |
4 | 눈물의 파티 | 박건호 | 이범희 | 3:48 |
5 | 내 입술에 그대 눈물 | 정욱 | 정풍송 | 2:55 |
6 | 나그네 바람 | 하지영 | 이호준 | 3:41 |
7 | 정의 마음 | 조용필 | 조용필 | 4:30 |
8 | 차라리 학이 되리라 | 하지영 | 이호준 | 3:11 |
9 | 어떤 결정 | 이수월 | 원희명 | 3:39 |
10 | 무정유정 | 김지평 | 백영호 | 3:05 |
11 | 정말 모르겠네 | 하지영 | 송홍섭 | 3:19 |
12 | 영원 속으로 | 임석호 | 임석호 | 2:54 |
6. Staff Credit
- Keyboard & Moog : 이호준
- Solina & Organ : 김효국
- Guitar : 김석규, 조용필
- Bass Guitar : 송홍섭
- Drums : 백천남
- Violin : 민태자, 소권식, 길정아자, 소원충, Yangi Miyako, 일야식구, 소본금, 각전지수자
- Cello : 실도부응, 소전항웅
- Acoustic Guitar : 제소교
- Alto Sax : 좌야정명
- Recording : 1984년 1월 12일~1월 20일, 동경 CBS/SONY SHINANO MACHI Studio
- Producer : 임정수
- A&R, Director : 임석호
- Recording & Mix Down : 이태경
- Mastering : CBS/SONY Studio
- Designer : 최성규, 황철중
- Photo : 이창남, 김중만
- Special Thanks : 삼수순호, 고본수일, Katsumi Nishimu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