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12:20:15

제26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제25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제26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제27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우승
신민준 신진서 딩하오
1. 개요2. 참가3. 예선4. 본선
4.1. 24강전4.2. 16강전4.3. 8강전4.4. 준결승4.5. 결승
5. 여담

1. 개요

2021년 5월부터 2022년 2월까지 개최 예정인 LG배. 2005년 이후 17년만에 본선 24강 방식으로 회귀하게 된다.

2. 참가

32명이던 본선 인원이 24명으로 줄어들었다.

3. 예선



5월 6일(결승) 홍성지-한상조
A조 / 수순
박진솔-윤준상
B조 / 수순
이동훈-박건호
C조 / 바T
신재원-김명훈
D조 / 수순
이호범-이창석
E조 / 수순
강동윤-김정현
F조 / 바T
안성준-허영호
G조 / 수순
TV 중계에 대한 넷상 반응은, 가장 먼저 보여준 대국이 F조 결승이었던 까닭에 "김정현 선수가 조별 시드?, 같은 조 시드 받은 누구가 더 편하겠는데?"하는 반응이 먼저 나왔었다.

4. 본선

제26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24강~16강 대진표
파일:제26회 LG배 24강.jpg
24강 16강
이창석 미위팅 미위팅 이동훈
홍성지 천치루이 천치루이 이치리키 료
원성진 쉬자위안 원성진 커제
허영호 타오신란 타오신란 신진서
강동윤 셰얼하오 강동윤 신민준
김명훈 셰커 김명훈 변상일
김지석 이다 아쓰시 김지석 양딩신
박진솔 탄샤오 탄샤오 박정환
제26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8강~결승 대진표
8강 준결승 결승
변상일 <colbgcolor=#dcdcdc> 미위팅 <colbgcolor=#dcdcdc> 양딩신
(2패)
준우승
미위팅
신민준 양딩신
양딩신
신진서 신진서 신진서
(2승)
우승
이치리키 료
박정환 커제
커제

4.1. 24강전

일차 대진 (오전 10시 개시) 결과
1일차
(5/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석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249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영호 파일:중국 국기.svg 타오신란 180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251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 281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진솔 파일:중국 국기.svg 탄샤오 190수 백 불계승
2일차
(5/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지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천치루이 249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 153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파일:일본 국기.svg 이다 아쓰시 159수 흑 불계승

4.2. 16강전

일차 대진 (오전 10시 개시) 결과
1일차
(6/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훈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201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국 국기.svg 타오신란 284수 백 3집반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동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73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275수 백 4집반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파일:중국 국기.svg 탄샤오 266수 백 1집반승
2일차
(6/2)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천치루이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146수 흑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333수 백 반집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석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138수 백 불계승

4.3. 8강전

16강 결과에 따른 진출 상황
16강 8강 진출자
미위팅 이동훈 미위팅
천치루이 이치리키 료 이치리키 료
원성진 커제 커제
타오신란 신진서 신진서
강동윤 신민준 신민준
김명훈 변상일 변상일
김지석 양딩신 양딩신
탄샤오 박정환 박정환
일차 대진 (오전 10시 개시) 결과
1일차
(1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210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190수 백 불계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224수 백 불계승
중계 : 바둑TV - 배윤진, 유창혁 / K바둑 - 김규리, 송태곤
2일차
(1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145수 흑 불계승
중계 : 바둑TV - 배윤진, 이희성 / K바둑 - 김규리, 송태곤

4.4. 준결승

일차 대진 (오전 10시 개시) 결과
1국
(11/9)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162수 백 불계승
중계 : 바둑TV (오후 1시부터 지연 중계) - 문도원, 유창혁
2국
(11/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300수 백 3집반승
중계 : 바둑TV - 문도원, 이희성 / K바둑 - 장혜연, 안형준

4.5. 결승

제26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결승 3번기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九단 0 :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九단
대국
흑번
백번
결과
1국
2/7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26수 백 불계승
중계 : 바둑TV - 배윤진, 이희성, 신민준[11] / K바둑 - 장혜연, 송태곤
2국
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247수 흑 불계승
중계 : 바둑TV - 문도원, 유창혁 / K바둑 - 장혜연, 송태곤
3국
2/10
2:0으로 종료되어 해당사항 없음
중계 : 바둑TV - 배윤진, 이희성 / K바둑 - 장혜연, 송태곤
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九단 (두 번째 LG배 우승, 3번째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
파일:제26회 LG배 시상식.jpg

5. 여담



[최철한] 개인사정으로 불참함을 밝혔다.[2] 김진휘-최병환은 10시에 진행[3] 김영도-김현찬 대국이 오전으로 변경[4] 안조영-김명완은 15:30으로 변경되고 원성진과 1회전 통과자인 박영훈의 대국은 5월 1일 12:30으로 변경. 또한 5월 2일 예정됐던 김강근-홍성지 대국이 미리 진행[5] 김동우-강지수 대국이 4월 30일 14시 진행 후 그 승자와 박승현의 대국이 이 때에 먼저 진행됨(원래는 5월 2일 대국)[6] 심재익-이호승 대국이 4월 29일 13시에 미리 진행[7] 박정근-주치홍 대국은 14:30으로 변경[8] 이 때 C조 준결 대진은 "이동훈-박신영, 박건호-이현호"였다.[9] 이 대회의 우승상금이 크라운해태배와 동급이다.(우승상금 3천만원) 또한 우승상금을 포함해 아마대회 중 상금규모가 큰 대회다.(준우승 1400만원, 3위 6백만원, 4위 3백만원, 5/6위전 각 150만원, 7/8위전 각 백만원, 9~12위 각 60만원, 13~16위 각 50만원, ... 25~32위 각 30만원)[10] 유리했던 판에서 실착을 한 후에는 오히려 신민준의 흑 대마가 잡혔다. 신민준은 책상을 내리치며 괴로워 할 정도로 너무나 아픈 패배였다.[11] 특별 객원해설(3부 부터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