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9:26:30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서울특별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종로 성동 광진
정흥진 김동일 설송웅 고재득 정영섭
동대문 강북 도봉
박훈 이문재 진영호 장정식 유천수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정태승 이배영 이정규 노승환 양재호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유영 박원철 반상균 김기두 임성수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진진형 조남호 권문용 김성순 김충환
노원구청장 김용채 사퇴 (1998.3.4.)
동작구청장 김기옥 구청장직 상실 (1998.3.25.)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3석 2석


1. 종로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종로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종로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배문환(裵文煥) 41,153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1.39% 낙선
2 정흥진(鄭興鎭) 46,964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7.24% 당선
3 전재갑(全在甲) 11,29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36% 낙선
선거인 수 154,097 투표율
66.49%
투표 수 102,454
무효표 수 3,043

2. 중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구청장(서울)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장환(金璋煥) 28,811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9.60% 낙선
2 김동일(金東一) 38,810 1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53.35% 당선
3 정문철(鄭文喆) 5,123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7.04% 낙선
선거인 수 111,245 투표율
67.17%
투표 수 74,724
무효표 수 1,980

3. 용산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용산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용산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준우(李俊雨) 40,529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2.55% 낙선
2 설송웅(偰[1]松雄)[2] 72,880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58.53% 당선
3 김종환(金鍾煥) 11,10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8.91% 낙선
선거인 수 194,174 투표율
65.80%
투표 수 127,768
무효표 수 3,257

4. 성동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동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성동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광하(李光夏) 50,199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1.06% 낙선
2 고재득(高在得) 72,063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4.59% 당선
3 장문구(張汶龜) 8,320 5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5.14% 낙선
4 김원식(金元植) 15,131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36% 낙선
5 황인범(黃寅範) 15,89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83% 낙선
선거인 수 252,032 투표율
66.05%
투표 수 166,457
무효표 수 4,852

5. 광진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진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진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전명호(田明鎬) 60,452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4.30% 낙선
2 정영섭(鄭永燮) 81,010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5.97% 당선
3 김광해(金光海) 20,96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89% 낙선
4 전재정(全在成) 13,786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82% 낙선
선거인 수 273,776 투표율
66.04%
투표 수 180,802
무효표 수 4,590

6. 동대문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대문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동대문구 CI_White.svg 동대문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종심(朴鍾心) 76,131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7.69% 낙선
2 박훈(朴勳) 95,936 1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47.50% 당선
3 인택환(印擇煥) 29,90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80% 낙선
선거인 수 312,601 투표율
66.30%
투표 수 207,252
무효표 수 5,282

7. 중랑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랑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랑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동만(趙東萬) 49,194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4.66% 낙선
2 이문재(李文在) 90,675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5.46% 당선
3 강병진(姜秉珍) 33,497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6.79% 낙선
4 김장수(金長洙) 6,675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34% 낙선
5 양재철(梁在哲) 19,391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72% 낙선
선거인 수 313,096 투표율
65.33%
투표 수 204,539
무효표 수 5,107

8. 성북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북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성북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병용(金炳龍) 84,923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6.64% 낙선
2 진영호(陳英浩) 115,778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9.95% 당선
3 황호산(黃鎬山) 31,064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40% 낙선
선거인 수 360,168 투표율
66.05%
투표 수 237,899
무효표 수 6,134

9. 강북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북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북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지성우(池晟宇) 46,808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5.96% 낙선
2 장정식(張正植) 88,941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9.43% 당선
3 박영식(朴永植) 12,079 5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6.70% 낙선
4 백중원(白中元) 15,300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8.48% 낙선
5 이기택(李起鐸) 15,808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8.76% 낙선
6 이수춘(李守春) 1,347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74% 낙선
선거인 수 287,802 투표율
64.39%
투표 수 185,319
무효표 수 5,036

10. 도봉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봉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봉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창신(金昌信) 53,364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2.75% 낙선
2 유천수(柳千秀) 68,314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1.92% 당선
3 조성국(趙成國) 16,733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0.26% 낙선
4 임익근(林翼根) 20,648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67% 낙선
5 최순자(崔順子) 3,874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37% 낙선
선거인 수 252,556 투표율
66.20%
투표 수 167,200
무효표 수 4,267

11. 노원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노원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노원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기재(李祺載) 90,979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5.42% 낙선
2 최선길(崔仙吉) 126,775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9.35% 당선
3 김동익(金東益) 39,099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5.22% 낙선
선거인 수 390,892 투표율
67.52%
투표 수 263,936
무효표 수 7,083

최선길 구청장이 당선됐지만, 선거법 위반으로 1년만에 구청장직을 상실했다. 이후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소속으로 도봉구청장에 출마해 연임하였다.

12. 은평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은평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은평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중태(崔重兌) 49,194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4.66% 낙선
2 이배영(李培寧) 90,675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5.46% 당선
3 박영서(朴英緖) 33,497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6.79% 낙선
4 박남선(朴南先) 6,675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34% 낙선
5 이영화(李英和) 19,391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72% 낙선
선거인 수 313,096 투표율
65.33%
투표 수 204,539
무효표 수 5,107

13. 서대문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대문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대문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병석(金炳汐) 53,981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0.92% 낙선
2 이정규(李政奎) 80,286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6% 당선
3 고은석(高恩錫) 8,703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98% 낙선
4 김석겸(金碩謙) 7,921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53% 낙선
5 이기형(李基亨) 8,127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65% 낙선
6 정병훈(鄭炳勳) 8,74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01% 낙선
7 좌두행(左斗行) 6,761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7% 낙선
선거인 수 269,147 투표율
66.72%
투표 수 179,563
무효표 수 5,035

14. 마포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포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마포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삼섭(曺三燮) 83,275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3.53% 낙선
2 노승환(盧承煥) 108,017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56.46% 당선
선거인 수 296,511 투표율
66.23%
투표 수 196,370
무효표 수 5,078

마포구 갑 지역에서 5선 의원과 국회부의장을 지냈던 노승환 전 의원이 구청장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5. 양천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양천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양천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허완(許完) 87,675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1.17% 낙선
2 양재호(梁在鎬) 101,661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7.74% 당선
3 염장호(廉章浩) 23,59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08% 낙선
선거인 수 323,468 투표율
67.34%
투표 수 217,832
무효표 수 4,899

16. 강서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서구청장(서울)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서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승정(朴勝正) 86,973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9.45% 낙선
2 유영(兪煐) 133,445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60.54% 당선
선거인 수 340,989 투표율
66.58%
투표 수 227,026
무효표 수 6,608

17. 구로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로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구로구 CI_White.svg 구로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익수(金益洙) 45,159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6.19% 낙선
2 박원철(朴元喆) 71,022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1.20% 당선
3 여범구(呂範九) 30,579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7.74% 낙선
4 안경달(安炅達) 25,609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85% 낙선
선거인 수 268,256 투표율
65.99%
투표 수 177,014
무효표 수 4,645

18. 금천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금천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금천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성환(姜性煥) 36,573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9.01% 낙선
2 반상균(潘尙均) 52,937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1.99% 당선
3 정홍권(鄭洪權) 7,817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6.20% 낙선
4 한인수(韓仁洙) 28,72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2.78% 낙선
선거인 수 199,909 투표율
64.56%
투표 수 129,060
무효표 수 3,010

19. 영등포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등포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등포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영목(朴泳穆) 80,949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1.74% 낙선
2 김두기(金斗基) 94,530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8.74% 당선
3 강석률(姜錫律) 18,43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50% 낙선
선거인 수 301,714 투표율
65.97%
투표 수 199,049
무효표 수 5,133

20. 동작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작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작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성준(李成濬) 76,513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7.59% 낙선
2 김기옥(金基玉) 97,518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47.91% 당선
3 김동훈(金東燻) 15,51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62% 낙선
4 이영민(李映珉) 13,963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86% 낙선
선거인 수 315,790 투표율
66.38%
투표 수 209,617
무효표 수 6,110

21. 관악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관악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관악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형석(朴亨錫) 102,567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8.78% 낙선
2 진진형(陳搢炯) 137,932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52.15% 당선
3 안두영(安斗榮) 23,96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06% 낙선
선거인 수 405,518 투표율
66.84%
투표 수 271,039
무효표 수 6,577

22. 서초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초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초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남호(趙男浩) 77,993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2.40% 당선
2 이충우(李忠雨) 73,965 2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40.21% 낙선
3 이정환(李丁換) 25,156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67% 낙선
4 차일호(車一鎬) 6,80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60% 낙선
선거인 수 284,241 투표율
66.28%
투표 수 188,408
무효표 수 4,486

당시 서울에서 여당인 민주자유당이 승리한 유이한 선거구이다. 이때 초선으로 당선된 민자당 조남호 후보는 탁월한 행정능력을 바탕으로 지역주민들의 신망을 얻으며 3선 구청장직을 역임하는등 승승장구했지만,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던 이충우 후보는 선거 다음날 일어난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원인 중 한사람으로 지목 되면서[3] 구속까지 당하는 수모를 겪어야했다.

23. 강남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남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남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문용(權文勇) 108,210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4.46% 당선
2 박응격(朴鷹擊) 92,196 2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37.88% 낙선
3 김길웅(金吉雄) 13,59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58% 낙선
4 박종국(朴鍾國) 7,722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17% 낙선
5 이윤길(李潤吉) 12,704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21% 낙선
6 정정봉(鄭靖奉) 8,959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68% 낙선
선거인 수 380,717 투표율
65.71%
투표 수 250,159
무효표 수 6,775

24. 송파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송파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송파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근(金永根) 82,809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8.32% 낙선
2 김성순(金聖順) 152,551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52.17% 당선
3 이상목(李相穆) 32,35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06% 낙선
4 전익정(全益政) 24,644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8.42% 낙선
선거인 수 452,290 투표율
66.09%
투표 수 298,927
무효표 수 6,570

이 선거에서 당선된 초대 송파구청장 출신 김성순 후보는 훗날 재선 의원을 역임한다. (16, 18대)

25. 강동구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동구청장 문서
번 문단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강동구청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반충남(潘忠男) 71,308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2.13% 낙선
2 김충환(金忠環) 103,473 1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46.63% 당선
3 정정휴(鄭正休) 10,870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4.89% 낙선
4 강대치(姜大治) 7,923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57% 낙선
5 정안상(鄭安相) 28,30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75% 낙선
선거인 수 341,737 투표율
66.44%
투표 수 227,057
무효표 수 5,183

26. 총평

파일:election95 seoul.jpg

23:2 민주당의 압승, 민자당의 참패

서울 구청장은 서초구청장강남구청장 두 곳만 민자당이 차지했을 뿐 나머지 23곳을 민주당이 장악했으며 서울시의회는 아예 122:11로 민주당이 싹쓸어버렸다. 서울이 민주당 지지세가 만만치 않은 지역이었다는 점을 고려해도[4] 격차가 너무 컸기에 사실상 YS정권에 대한 민심 이반이 심상치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보수정당이 서울에서 압도적으로 참패한 선거 중 하나.[5] 그리고 이 결과는 7회 지방선거에서 재현됨을 넘어 신기록을 썼다.[6]


[1] 또는 .[2] 역사 강사 설민석의 아버지.[3] 삼풍백화점 준공 당시 뇌물을 받고 부실시공을 눈감아 주었다.[4] 13대 총선14대 대선 모두 서울에서는 김대중이 이겼다.[5] 반대로 보수 계열 정당이 서울에서 대승을 거둔 선거라면 4회 지방선거17대 대선, 18대 총선, 2021년 재보궐선거, 8회 지방선거가 있다. 다만 역사적으로 보면 서울은 기본적으로 민주당계 우세 지역이긴 했다. 당장 2010년대 이후 전국단위 선거에서 보수정당이 서울에서 우세를 보인 적은 거의 없었다. 정확히 따져보자면 2010년부터 4차례의 지선(2010, 2014, 2018, 2022), 3차례의 대선(2012, 2017, 2022), 4차례의 총선(2012, 2016, 2020, 2024), 2010년대 이후 선거 중 보수정당이 서울에서 이긴 사례는 2010년 5회 지방선거 오세훈의 신승과 2021년 재보궐선거·8회 지방선거 오세훈의 압승, 20대 대선 윤석열의 승리 딱 네 번뿐이었다. 공교롭게도 네번 중 세번이 오세훈이 관여했다[6] 서울 구청장 24:1 그나마도 더불어민주당서초구청장 후보로 이정근이 아닌 구의원 출신을 냈다면 이겼을 거라는 얘기가 나왔다. 왜냐면 그 선거에서 서초구 소속 시의원은 민주당이 싹 털어갔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