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3:03:10

제1정보통신단

파일:대한민국 국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정보통신단 제2정보통신단 제3정보통신단 제5정보통신단 제12정보통신단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수도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제90정보통신단 제100정보통신단 제101정보통신단 제102정보통신단 제103정보통신단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기동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수도방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공군작전정보통신단_마크.png
제105정보통신단 제107정보통신단 제122정보통신단 제123정보통신단 공군작전정보통신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제1정보통신단
{{{#f3c715 第1情報通信團}}}
The 1st Signal Group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colbgcolor=#005bab><colcolor=#f3c715> 창설일 0000년 00월 00일
상징명칭 1통신단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부대 국군지휘통신사령부
종류
역할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통신업무 지원
단장 육군 대령 박인우(육사 00기)
위치 경기도 과천시 별양동
국군지휘통신사령부

1. 개요2. 상세3. 편제
3.1. 단본부3.2. 제50정보통신대대3.3. 제51정보통신대대3.4. 제52정보통신대대
3.4.1. 환경3.4.2. 생활
3.5. 제53정보통신대대
4. 출신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통신단가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통신을 주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국군 국군지휘통신사령부 소속 직할부대.

2. 상세

국군지휘통신사령부정부과천청사 전·평시 통신지원과 군 위성통신망 통제 및 관리, 작전지역 유·무선 장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3. 편제

3.1. 단본부

경기도 과천시에 위치하고 있다. 사령부 본부, 50대대, 53대대와 같은 부지에 있다. 규모가 3~5명 정도로 작아서 얹혀산다.(...)

3.2. 제50정보통신대대

경기도 과천시에 위치하고 있다. 사령부 본부, 1단 본부, 53대대와 같은 부지에 있다. 건물이 구식이다.

3.3. 제51정보통신대대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51대대는 국직부대이지만, 위치가 위치인지라 간부 두어명을 제외하면 9할 이상이 육군이며, 0.8~9는 공군, 나머지 극소수의 해군이다.

3.4. 제52정보통신대대

3.4.1. 환경

경기도 평택시제7항공통신전대 부지 내에 위치해 있다. 7전대의 안쓰는 2층짜리 건물을 통째로 빌려쓰고 있는데, 공군 건물인 만큼 나쁘지는 않다. 인공잔디가 깔린 체육시설도 있다.

대신 식당[1]을 포함하여 PX, 체단실, 노래방,[2] 풋살장, 축구장, 영내훈련장까지 거의 모든 시설을 7전대의 시설을 대여 및 공유하는 입장이며, 대대소유의 시설은 건물내에 위치한 세탁실, 사지방, 휴게실 같은 최소한의 복지시설뿐이다.

2021년 8석 규모의 pc방이 설치되었으며, 해당건물은 2026년 재건축 예정에 있다.

3.4.2. 생활

해병대 인원은 편제되지 않으며, 해군은 한 손으로 꼽을 수 있는 숫자의 간부TO만 존재한다.

1단 예하의 다른 대대들을 비롯하여 여타 국직부대들과 다르게 육•공군 인원들이 대략 간부 5대5, 병사 7대3 비율로 구성되어 공군들이 우려하는 '육군화된 국직'의 모습이 상대적으로 희석되어 있다.
다만 육군후임이 공군선임보다 빠르거나 비슷하게 전역하는 일은 여타 국직의 모습과 같다.

대대본부는 '주둔지'로 통칭하며, 지역중대와 전술중대의 행정병, 그리고 전술중대 중 1개 중대의 7할 가량이 주둔지에서 생활하며 이들을 '잔류 인원' 또는 '주둔지 인원'으로 통칭한다.

또한 중대급 부대와 별개로 소령이 지휘관으로 보직되는 '대(隊)급' 부대가 편제되어 있어 캠프 험프리스 기지 내부에서 별도로 생활 하고 있다.

주둔지에서 생활하지 않는 정보통신 특기/병과의 병사들은 전부 경기도와 충남, 충북 북부에 분산되어 위치한 통신소에서 생활하며 이들은 전입직후 통신소를 배정받고 짧게는 수 일에서 길게는 2개월 동안 주둔지의 대기자생활관 겸 신병생활관에서 생활하다가 통신소로 가게된다.

이들은 '통신소 인원'으로 통칭하며, 사고를 치거나 하지 않는 이상은 주둔지로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주둔지 선임들과는 남남이다.[3]

주둔지는 3개월 동기제를 시행중이며, 통신소는 통신소 입소순으로 선후임을 가려 생활한다. 공군의 영향을 받아 동기생활관제이며 생활관내 인원배치는 동기간 협의하여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주둔지에서는 공군의 기수제는 사실상 무의미해지며 전역일을 계산할때나 가끔 사용되는 수준이 된다.

공군부대 내부에 위치한 영향으로 육군에는 없는 으뜸병사와 용사자치위원 제도를 시행중이다.

공군에서 흔히 사용되는 개인 태블릿PC 반입은 불가하진 않으나 보안인가절차가 매우 까다로워 반입하는 사람이 드물며, 독립된 위병소가 없고 7전대가 관리하는 위병소로 드나들기 때문에 병사들의 물품 반입 절차(육군의 경우 특히 더)가 상당히 복잡하다.

또한 각 편제마다 육군TO와 공군TO가 정해져있어서 무조건 그 군의 간부만 보직되는데, 모 중대 행정보급관은 공군TO라서 공군에는 없는 공군 행보관을 만날 수 있다.[4]

만약 이 문단을 읽고있는 당신이 육군이고,신병교육 수료 직후, 또는 육군정보통신학교제2수송교육연대에서 후반기 교육을 수료한 후 자대발표에서 '통신사 - 52대대'가 나왔다면, 당신은 육군기준 전체 상위 0.01% 환경에서 복무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만약 당신의 병과가 '조리'인데 이곳으로 왔다면 당신은 7전대의 '급양병'들과 일하게 될것이며 대대의 선임들에 더해 식당의 선임들 이름까지 추가로 외워야 하게 될것이다. 그리고 전역할 때까지 '조리병'이나 '취사병'이 아닌 '급양병'으로 불리게 될 것이며, 선임들보다 먼저 집에가는 대신 전역하는 그 날까지도 부서의 왕고가 될 수 없다.

이 곳에 온 육군들은 전역하는 그 날까지 육군군가는 직접 찾아서 듣는게 아닌 이상 들을 일이 없다. 대신 기합찬 공군군가 플레이리스트를 매일 일과 시작 및 종료시간에 듣게될 것이며, 어느순간 공군가와 빨간마후라를 흥얼거리는 자신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유격훈련은 코로나19이전에는 존재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중지된 이후 재시행하지 않으며, 연 1회 혹한기 훈련 및 연 2회 전술행군 등을 진행한다. 여기에 동원훈련 및 각종 훈련에 통신지원임무로 참여한다. 7전대에서 기지방호훈련을 진행하는 기간에는 공군식 기지방호훈련에도 동참한다.

만약 당신이 공군이라면 '국직부대중 그나마 가장 공군스러운' 군 생활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5]

특기의 경우, 일반차량운전, 인사행정, 보급, 정보통신 특기만 TO가 존재하며 헌급방 특기는 TO가 없어 배속되지 않는다.

집이 경기도 남부 또는 천안, 아산 인근인데 7전대나 10비, 작사 등을 노리기 힘든 성적이라면 52대대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다.[6]

다만 정보통신은 무조건 통신소로 가게 되고, 나머지 특기들만 주둔지에 남는다.

상술했듯이 다행히유격은 없지만 육군식 혹한기훈련이 연 1회 진행되며, 복무기간이 긴 공군 특성상 꼬인기수들은 혹한기훈련을 2번이나 하게 될 수도 있다.

3.5. 제53정보통신대대

경기도 과천시에 위치하고 있다. 사령부 본부, 1단 본부, 50대대와 같은 부지에 있다. 건물이 신식인 대신 다른 소속인 사람들과 건물을 같이 쓴다.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장성급 장교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1정보통신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노모 육군 대령 초대 단장
2대 전복성 육군 대령
3대 허성 육군 대령
4대 조덕연 육군 대령
5대 장왕재 육군 대령
6대 황인환 육군 대령
7대 윤석일 육군 대령
8대 이수용 육군 대령
9대 홍재식 육군 대령
10대 최차림 육군 대령
11대 변정환 육군 대령
12대 이재하 육군 대령
13대 윤춘식 육군 대령
14대 김한욱 육군 대령
15대 신성평 육군 대령
16대 박동석 육군 대령
17대 엄진욱 육군 대령
18대 이학래 육군 대령
19대 박형욱 육군 대령
20대 이주평 육군 대령
21대 정재민 육군 대령
22대 박인우 육군 대령 現) 단장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근무환경

51대대를 제외하면 다른 모든 예하 대대가 수도권에 위치해 있어 수도권에 거주하는 병사들에게는 좋은 근무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단부터가 과천에 있는 사령부에 위치해 있고, 50대대와 53대대 또한 사령부에 위치해 있는 만큼 입지적인 조건만큼은 상당히 좋다. 52대대의 경우 경기 남부인 평택에 있지만 공군부대인 7전대 내부에 있고 대체로 7전대의 방식을 따라가는 편이다 보니 유사 공군처럼 생활해서 근무환경은 나쁘지 않다. 1시간 30분 이내에 서울을 갈 수 있기에 외출이나 외박 시 즐기기도 편한 편.

통신소 또한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해 있고 운만 좋으면 거주하는 지역 근방의 통신소로 갈 수도 있지만 통신소가 으레 그렇듯 산속이나 도서지역 등 격오지에 있는 경우도 왕왕 있어 근무환경은 케바케.

5.2. 통신단가

6. 사건/사고

7. 여담


[1] 공군밥이라 육군 특유의 짬밥보다 퀄리티와 맛이 매우 좋다.[2] 폐쇄됨[3] 23년까지는 전역 3일전쯤에 주둔지에 복귀한 후 전역했지만, 24년부터는 화상으로 전역신고를 할 지, 주둔지에서 전역 할 지 선택할 수 있게되어 사실상 신병시절 이후에는 주둔지에서 생활할 일이 아주 없어지게 되었다.[4] 육군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공군에는 애초에 본부중대라는 편제방식이 없다.[5] '공군스러운'것이지 '공군과 같은'것은 아니다. 하지만 계근단, 수송사, 화생방사와 같은 타 국직부대 또는 육군부대 파견병사들 보다는 상대적으로 평범한 공군냄새가 나는 생활을 하게 될것이다.[6] 당진, 서산, 홍성, 태안 등 충남 서북부 거주자들에게도 나쁘지 않다. 집 가깝자고 20비를 갈 순 없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