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02:36:24

제51군수지원단

제1군수지원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징명칭(비봉)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비봉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사령부 예하 부대 예하 단
직할 지상정보여단 드론봇전투단
1군지사 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8군수지원단
<colbgcolor=#009600> 수도 17사단 제3경비단
I 1포병여단 제2포병단 · 제3포병단 · 제7포병단
III 3군수지원여단 동해안군수지원단
V 5포병여단 제1포병단 · 제5포병단 · 제8포병단
VII 7공병여단 도하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부대
사단 예하 단
직할 32사단 세종시경비단
5군지사 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육직부대
사령부 예하 부대 예하 단
군수사 보급창 제1보급단 · 제2보급단 · 제3보급단
정비창 특수무기정비단 · 항공기정비단 · 기동화력장비정비단 · 기동화력부품정비단 · 총포/사통장비정비단 · 통신전자장비정비단 · 생산지원단
교육사 종군교 군수교육단 · 병기교육단 · 병참교육단 · 수송교육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7군수지원단 로고.png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수도군수지원단 제6군수지원단 제7군수지원단 제8군수지원단
파일:청마부대 로고.pn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동해안군수지원단 제51군수지원단 제52군수지원단 제53군수지원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제51군수지원단
第51軍需支援團
The 51st Logistic Support Group
파일:제5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전승보장 군수지원! 제51군수지원단
<colbgcolor=#0000FE><colcolor=#fff> 창설일 1971년 1월(전투교육사령부 군수지원단)
1981년 5월(제1군수지원단)
1986년 10월(제51군수지원단)
상징명칭 비봉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5군수지원사령부
종류
역할 호남 지역 군수지원
단장 대령 김용만
위치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상무대
1. 개요2. 상세3. 예하부대4. 출신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6. 사건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제5군수지원사령부 예하의 군수지원부대이다. 별칭은 비봉부대. 전라남도 장성군 상무대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

1971년 1월 전투교육사령부 예하의 전교사 군수지원단으로 창설되어 1981년 5월 1관구사령부로 예속 전환되면서 제1군수지원단으로 개칭되었다. 이 이름은 1983년 4월 2군사령부로 예속 전환되었을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으나 1986년 10월 5군지사로 예속 전환되었고 5군지사 1군지단이 되었다. 이후 제51군수지원단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

호남 지역에 주둔하는 육해공군 부대에 대한 군수 지원을 담당하는 부대로 전라남도 장성군 상무대에 위치해 있으며, 전투근무지원 부대인 만큼 기술행정병과의 군인과 군무원 위주로 편제되어 있다.

제51군수지원단은 제5군수지원사령부 예하의 여단급에 준하는 독립부대이다.

3. 예하부대


예하부대는 아니지만 5군지사 직속 5예방의무반에서 일부가 파견처럼 여기서 근무한다.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51군수지원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단장
00대 김완태 예) 중장 육사 39기 육군사관학교장
00대 전면엽 예) 준장 학군 23기 제5군수지원사령관
00대 전병민 예) 대령 단장
00대 김대식 예) 대령 단장 [1]
32대 송영덕 예) 대령 육사 44기 단장 [2]
33대 김용석 대령 육사 46기 제2군수지원사령관 [3]
34대 조태근 대령 단장
35대 정재학 대령 단장 [4]
36대 김명수 대령 육사 49기 단장 [5]
37대 장동수 대령 단장 [6]
38대 김기현 대령 단장 [7]
39대 김웅진 대령 단장 [8]
40대 김용만 대령 단장 [9]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급양대에 전군 최초로 2012년 급식유통센터가 완공되었다. 이름만 보면 취사병들이 근무할 것 같은 느낌을 주지만 취사병들은 본부대 소속이며 급양대는 식자재, 부식 등을 피지원 부대에 보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국방TV나 국방일보에서 가끔씩 취재도 하러 찾아오며 이곳에서 육군 요리대회가 열리기도 했다.

국가기술자격검정 한식 중식 양식의 시험을 이곳에서 실시하기도 한다. 육군훈련소가 위치한 논산이 이곳에서 보급을 받는다는 루머가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10]

몇몇 1종 장기저장품목 중 몇가지만 급양대간의 선입선출, 저장량에 따라 가끔씩 와서 보급을 받아갈 뿐이다. 이곳의 급양대는 전남 ~ 전라북도 까지만 담당한다. 해군과 공군 큰 부대만 이곳에서 보급을 받는다.

의무보급정비대는 군에서 쓰이는 의료장비의 정비, 보급 및 의료용품, 약품 등의 보급을 담당하며, 단 내 타 근무대 장병들에겐 공짜 안경 맞추러 가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가끔 근처 다른 부대에도 차 몰고 가서 안경 맞춰준다.[11]

제1지구인쇄소는 육군 내 최대 규모[12] 인쇄소로 관할 지역 내의 교범 및 교재, 현수막 인쇄 등을 담당하고 있다. 거대한 산업용 문서세단기가 인상적이다.

정비근무대는 단 내 최대 규모로 근무대 중 유일하게 일장중대와 화기중대의 두 중대로 편제되어 있다.

국가기술자격검정 자동차정비기능사 시험을 여기서 실시하기도 한다.

육·공군 장비의 입고정비와 육·해·공군 장비에 대한 이동정비를 담당하며 군특성화고교 및 대학 내 군 특성화학과 학생들의 실기 교육도 담당하고 있다. 관할 지역의 수리부속의 보급 및 군용 장비의 폐처리 등도 정비근무대의 담당 업무이다.

보급근무대는 피복이나 개인장구류 등의 보급품을 보급, 수리하며 산업용 세탁기를 보유하고 있어서 주기적으로 타 근무대 병사들의 침구류 따위를 세탁하기도 한다.[13]

5.1. 근무환경

상무대에 위치 해 있는 만큼 인근 전투부대 병사들에게 빠는 부대로 인식이 박혀 있는데, 부대 마크가 꿀벌 캐릭터이다보니 이런 인식이 더더욱 심하다. 방긋 웃는 꿀벌이 손에 스패너를 비롯한 온갖 물건을 쥐고 있는 유아틱한 마크인데, 다행히 이 마크를 오바로크 치진 않고 상급 부대인 5군지사 마크를 부착한다. 다만 영내 곳곳엔 이 캐릭터가 그려져 있다. #

실무 위주의 부대라 훈련이 빡세진 않지만 평소 행정소요나 지원업무로 인하여 업무량은 꽤 많은 편이다. 훈련이 적은 이유도 이러한 군수지원 업무가 워낙 바빠서 상대적으로 훈련량이 적은 것. 군 간부와 군무원은 대개 바쁘지만 병사는 주특기에 따라 케바케로, 부서에 따라서 병장 달고서도 일과에서 헤어나올 수 없는 경우가 있는 반면, 이등병 때부터 부서 내에서 간단한 행정작업만 하다가 작업이나 잡일이 생기면 동원되는 주특기와 무관한 작업병이 되는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 대신 보낼 후임이 늘어나는 말년엔 완전히 뺑끼만 치며 놀아도 아무도 터치하지 않는 수준에 이른다. 전자는 전역 전날까지 일하다 갈 수도 있다.

6. 사건사고

7. 여담

주변에 인근부대로는 제2작전사령부 직할부대인 제1115공병단 190공병대대 그리고 좀만 더 가면 국직부대인 제57통신대대가 있다. 언덕 넘으면 상무대 학교들이 모여있다.

급식유통센터가 2011년 시공~완공~안정화 2013 들기전까지 많은 군무원, 간부, 병사들이 일에 지쳐 넉다운되었다. 몇몇 병사들은 자다가 한밤중에도 급한서류 작업때문에 부사수를 깨워 근무대로 작업을 하러 자주 내려갔다.

피지원부대인 전투부대나 전투지원부대보다 보급우선순위가 낮은 관계로 다른 부대에 보급 해 주기 바쁜 주제에 정작 자대 병사들은 보급품도 잘 안 나오는 편.

급식유통센터가 완공될시 장군들이 시참을 나왔었는데, 시참을 나온 장군의 한마디에 최전방에 보급되는 신형 파카들이 종류별로 며칠만에 보급되는 기염을 토했다고 한다.

또한 상무대 내 각 학교부대들의 초군교육 때마다 매우 폭발적으로 부식량이 늘어난다. 평소의 4배~6배 정도.

후방에 위치한 전투근무지원 부대인 관계로 부대 시설이 많이 낙후되어 있다. 유류 아낀다고 뜨거운 물도 잘 안 틀어줘서 한겨울엔 짜릿한 찬물 샤워를 경험할 수 있다.

일주일에 3번 부식유통 때문에 여름~가을철에는 항상 조기기상을 하고 근무를 시작하며(그렇다고 일과시간이 빨리 끝나는것도 아니다.) 5일은 장기저장품목을 피지원부대에 보급해주고, 또 시장성 품목(현금화의 가능성)이 많은 부대라 검열이 한달에 많게는 3번이나 있다. 부대의 간부, 군무원, 병사들은 항상 일에 지쳐사는 부대.

2012년 겨울 신막사 증축을 실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정비·보급대 기간병들 대우가 개차반이라 병사들의 원성이 높았다. 우선 정비·보급 통합 막사를 비운 뒤 연병장에 컨테이너를 설치하여 병사들을 이주시키고, 정비·보급 통합 막사의 증축을 완료. 증축이 완료된 신막사엔 단 본부 직할대 병사를 이주시킨 뒤 빈 단 본부 막사를 증축 개시. 단 본부도 신막사로 리모델링이 끝나면 단 본부 병사들을 복귀시킨 뒤 컨테이너의 정비·보급대를 원래의 정비·보급 통합 막사로 이주시키는 계획이었기 때문.

부대가 위치한 장성은 유명한 폭설지역으로, 타 지역 출신 장병들이 전라도니까 제설은 편하겠거니 생각하다가 막상 눈이 오는 것을 보고 망연자실해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러 부대가 주둔해 있는 상무대의 위병소 초입에 위치한 부대인데다, 지원부대 특성상 피지원부대가 계속해서 오기때문에 제설이 필수이다. 게다가 근처에 장군 관사도 있다보니 눈이 바닥에 살짝 깔리기만 해도 제설작전이 시작되는 관계로 겨울엔 새벽부터 오밤중까지 신나게 넉가래질을 할 수 있다.


[1] ~2012.12.29[2] 2012.12.29~2013.12.24[3] 2013.12.24~[4] 2017[5] 2019[6] 2019[7] 2021[8] 2022 - 2024[9] 2024 ~[10] 충청도는 53군지단[11] 군대 특성상 안경이 훼손됐다고 바로 민간 안경점에 갈 수가 없다. 미리 밖에서 여분의 안경을 준비하는 경우도 있지만 개개인 사정이 다르고 군 복무에 필요한 내용들은 군에서 지원하는 것이 당연하다. 안경이 없으면 생활에 어려움이 큰 저시력자들도 국가가 징집을 했으니 국방부에 예산이 편성돼 있는 것이다.[12] 소장 군무원이 5급(단내 최고급수)[13] 건조까지 해주기 때문에 나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