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8 20:30:41

제피로(붕괴: 스타레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10101><tablebordercolor=#010101> 파일:운명의 길 파멸.webp절멸 대군
Lord Ravag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주군
파일:Aeon_Nanook.webp
<rowcolor=#b19872> 「괴멸의 신」
나누크
절멸 대군
파일:셀레노바.jpg
파일:스타레일 제피로.jpg
파일:아이언툼.png
파일:팬틸리아_별무리 기행.png
<rowcolor=#b19872> 「화합」의 파멸자
셀레노바
일인군단
제피로
「지식」의 역함수
아이언툼
불사의 열매
팬틸리아
파일:아삿 프라마드.jpg
파일:아치포저.jpg
파일:럭스베인.jpg
「환락」의 파멸자
아삿 프라마드
부식의 군주
아치포저
태양을 삼키는 야수
럭스베인
주로
}}}}}} ||
제피로
Zephyro
파일:스타레일 제피로.jpg
<colbgcolor=#1A1D23,#010101><colcolor=#B19872> 이름 제피로
이명 일인군단
성별 남성
종족 인간[1]
소속 반물질 군단
직위 절멸 대군
운명의 길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파멸|
파일:파멸 운명의 길.png
]] 파멸
공허
언어별 표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피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Zephyro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焚风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uby(風焔,ruby=フウエン)]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원석[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숀 칩록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타도코로 히나타

1. 개요2. 설정3. 작중 행적
3.1. 소멸록: 절멸 대군3.2. 별무리 기행 PV: 별하늘 우화・23.3. 별무리 기행 PV: 이야기의 밖: S#83.4. 개척 임무
3.4.1. 제3장 - 페나코니
3.4.1.1. 제3막: 우리들의 시대에
3.4.2. 제4장 - 앰포리어스
3.4.2.1. 제5막: 태양은 파멸로 향하기에
3.4.2.1.1. 단편 애니메이션 - 들어라! 신성한 산봉우리에서 울리는 환희를
4. 전투력5. 인간관계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제피로는 가장 무시무시한 절멸 대군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만물이 파멸되는 순간의 아름다움에 집착한다. 대군 중에 제피로와 마주치는 게 최선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와 마주치면 아무 고통 없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혼돈의 의사들은 제피로의 「파멸」이 일종의 반항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그가 IX에 소환된 자멸자일지도 모르며, 에이언즈가 드리운 그림자에 맞서 희미한 색을 극한의 하얀 빛으로 정제한다는 게 그들의 견해다. 그의 파괴는 때때로 「공허」의 길을 걷는 자의 꿈에 반영되어 그들이 깨어난 몸에 쓰라린 화상을 남긴다고 한다.

제피로가 「공허」를 노린다고 믿는 이유가 있다. 한 자멸자는 떨리는 목소리로 자신이 겪은 악몽을 묘사했다: 파멸시킬 게 아무것도 없는 종착점에서 어떤 절멸 대군이 IX의 성체에 날아들더니 흰색 광선으로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어둠에 구멍을 뚫었다.
파일:HoYoLAB 로고.svg은하 아카이브 | 「파멸」과 절멸 대군
||

붕괴: 스타레일의 등장인물. 반물질 군단의 절멸 대군 중 한 명.

2. 설정

스타피스 컴퍼니의 방송에서 티아누아 성계에 나타나 성계 자체를 파멸시켰다고 언급된다. 파트레비아라는 행성은 유리화가 됐다고 하며 차분화 우주에서는 문이섬이라는 항성도 파멸시킨 모양이다.

3. 작중 행적

3.1. 소멸록: 절멸 대군

[제피로]

「제피로」는 「일인군단」이라는 섬뜩한 명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폭력적인 파멸을 즐기는 대군이다. 그의 이름처럼 제피로는 파멸의 순간에 폭발하는 힘과 아름다움에 빠져 있다.

성력 6804년, 스베리환의 태양을 연소시켜 엄청난 양의 방사선으로 지표면을 달구어 유리화시켰다.
성력 7143년, 거대한 회전 폭풍을 생성하여 아덴 행성의 생태계 시스템을 갈기갈기 찢어놓았다.
성력 7658년, 달 수호의 방패 표면을 뚫어 지핵에 타격을 가한 다음 세계 전체를 짓밟아버렸다……
이러한 파멸 행위는 종말의 강림이 초래할 광경에 대한 그의 극단적인 추종을 잘 보여주고 있다.

연맹에 대한 잠재적 위협: 극히 높음.
소멸록: 절멸 대군 中

3.2. 별무리 기행 PV: 별하늘 우화・2

별무리 기행 PV: 「별하늘 우화・2」
흉조 선봉에는 「네 가지 종말론」이라는 예언이 퍼져 있다. 네 가지 운명의 길은 은하를 「종말」의 결말로 몰아넣을 것이다.
그중 하나는 「파멸」로, 나누크의 화염이 모든 것을 집어삼킨다. 열 죽음 속에서 우주는 영원한 종결이라는 첫 번째 엔딩을 맞이한다.
사람들은 두려움 속에서 물었다. 그의 원동력은 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 생명에 대한 멸시인가? 우주를 향한 연민인가? 아니면 신들에 대한 부정과 증오인가? 답을 아는 이는 없었다. 하지만 「파멸」의 끝에서, 문명도, 생령도, 모든 운명의 길과 에이언즈들도 별들처럼 재가 되어 사라질 것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table"
{{{#!folding [ JP ]
{{{#!wiki style="margin: -10px -1px"
}}}}}}}}}
[ CN ]
||<table width=100%><nopad> ||
[ EN ]
||<table width=100%><nopad> ||

}}} ||
파일:제피로 2.jpg
빛 한 점이 항성을 어둠으로 물들이는 걸 봤지
그 후 존재가 찢기고 절망의 흰색만 남더니
엔트로피와 시간을 에워쌌어
공허의 혈죄령
쓸데없는 소리!
태양은 이미 시간의 끝에 떠올랐다

무려 4개에 달하는 행성을 한 번에 파멸시키는 막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뒤늦게 찾아온 아케론은 제피로에게 파멸당한 행성의 혈죄령에게 무엇을 보았는지 물어보는데, 혈죄령은 제피로가 행성계를 파멸시키는 것을 묘사하며 공포에 떤다.

3.3. 별무리 기행 PV: 이야기의 밖: S#8

은하 열차가 앰포리어스가 아닌 파트레비아로 갔을 경우, 그와 조우하게 되며 웰트가 그와 맞서 싸우지만 패배하고 열차팀은 전원 공허에 빠져 혈죄령이 되어버린다.

3.4. 개척 임무

3.4.1. 제3장 - 페나코니

3.4.1.1. 제3막: 우리들의 시대에
꿈세계에 갇힌 페이크 엔딩 중 다음 역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잠시 폼폼에 의해 언급된다.
폼폼 : 마지막은 블랙 스완이 제안한 「유리 벨트」 파트레비아야. 절멸 대군 「제피로」에 의해 완전히 유리화된 거대 행성 벨트지…. 지금은 비애의 연극인 극단의 유명 지부 중 하나가 된 것 같아

3.4.2. 제4장 - 앰포리어스

3.4.2.1. 제5막: 태양은 파멸로 향하기에
3.4.2.1.1. 단편 애니메이션 - 들어라! 신성한 산봉우리에서 울리는 환희를
단편 애니메이션: 「들어라! 신성한 산봉우리에서 울리는 환희를」
{{{#!wiki style="margin: 0 -10px"
{{{-1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8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8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중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8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영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파일:Zephyro.jpg
마지막 루프에서 파이논이 나누크에게 선전포고를 했을 때, 반물질 군단을 상대로 학살을 벌이는 파이논을 상대하기 위해 등장한다. 절멸대군에 걸맞은 압도적인 전투 능력을 보여주며 카오스라나로 각성한 파이논의 티탄의 힘들이 내재된 검격, 운석들을 파멸의 힘으로 무력화시키고 파이논의 날개 한쪽과 오른팔을 베어내며 쓰러뜨린다.[3]

파이논이 팔과 날개가 잘렸음에도 불구하고 일어나 계속 전의를 보이는 것에 흥미를 보였는지 그의 검인 새벽을 다시 던져주었다. 그의 미학이 파멸의 순간에 폭발하는 힘과 아름다움인 걸 생각하면 파이논은 적격이었던 셈.[4]

4. 전투력

선주를 지켜보는 건 「제피로」도 「셀레노바」도 아니니, 행운이네
팬틸리아와 개척자의 대화 中
제피로는 가장 무시무시한 절멸 대군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만물이 파멸되는 순간의 아름다움에 집착한다. 대군 중에 제피로와 마주치는 게 최선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와 마주치면 아무 고통 없이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별하늘 우화 2 中
카프카: 그 길은 가장 악랄한 적, 제피로에게 향하거든
은랑: 그만, 상상만 해도 끔찍해
별무리 기행「이야기의 밖: S#8」中

파멸의 사도인 절멸 대군의 일원으로 그 전투력은 의심할 여지 없이 현재 등장하거나 언급된 인물 중 에이언즈를 제외하면 최강자 중 하나로 추측된다.

소멸록: 절멸 대군에서는 그가 파멸시킨 행성, 항성들이 몇개 적혀있고 별하늘 우화에서는 단신으로 간단하게 행성 4개를 파멸시켜버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그 절멸 대군 중에서도 무력을 과시했다. 파이논의 단편 애니메이션에서는 나누크 앞에 선 4억 개의 불씨를 짊어져 사도에 준할 정도의 존재로 거듭난 파이논을 상대로 대등히 겨루다 한순간에 압도해버렸다.[5] 한 자멸자는 제피로가 IX의 성체의 구멍을 뚫었다고 언급했는데 이것이 실제 사실이라면 파이논과 함께 에이언즈의 성체에 상처를 낸 단 둘 뿐인 인물이다.[6]

별무리 기행 PV 이야기에 밖에서 만일 열차가 파트레비아로 향했을 경우 제피로에 의해 전멸하고 은하가 붕괴한다는 언급이 나왔는데 현재 제피로의 강함은 은하열차 전원을 합친 것보다 훨씬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은랑 역시 그런 결말이 닥친다면 본인들도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가장 절망적인 상황임을 암시하였다.

5. 인간관계

6. 여담

7. 둘러보기


#!wiki
||<tablealign=center><width=600><tablebordercolor=#010101,#000><tablebgcolor=#010101><color=transparent> [[붕괴: 스타레일|[[파일:붕괴 스타레일 로고.png|width=200]]]] ||
||<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스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transparent><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transparent><width=100px> '''[[붕괴: 스타레일/스토리|{{{#fff 스토리}}}]]'''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개척 임무]] {{{-2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프롤로그|프롤로그]]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1장|1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2장|2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3장|3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개척 임무/제4장|4장]])}}} · [[붕괴: 스타레일/임무/동행 임무|동행]] · [[붕괴: 스타레일/임무/모험 임무|모험]]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이벤트]] {{{-2 ([[붕괴: 스타레일/이벤트/1.n 버전|1]]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2.n 버전|2]] · [[붕괴: 스타레일/이벤트/3.n 버전|3]])}}} ||
|| '''[[붕괴: 스타레일/지역|{{{#fff 지역}}}]]''' ||[[은하열차]] · [[우주정거장 「헤르타」]] · [[야릴로-Ⅵ]] · [[선주 「나부」]] · [[페나코니]] · [[앰포리어스]] ||
||<|2> '''[[붕괴: 스타레일/설정|{{{#fff 설정}}}]]''' ||'''지역별''': [[붕괴: 스타레일/설정/야릴로-Ⅵ|야릴로-Ⅵ]] · [[선주 연맹]] · [[붕괴: 스타레일/설정/페나코니|페나코니]] · [[붕괴: 스타레일/설정/앰포리어스|앰포리어스]] · [[그라모스(붕괴: 스타레일)|그라모스]] ||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에이언즈]] · [[사도(붕괴: 스타레일)|사도]] · [[곤충 떼 재난]] · [[기계 제왕 전쟁]]}}} ||
||<|2>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fff 등장인물}}}]]''' ||'''지역별''': [[우주정거장 「헤르타」#등장인물|우주정거장 「헤르타」]]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야릴로-Ⅵ|야릴로-Ⅵ]]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선주 「나부」|선주 「나부」]]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페나코니|페나코니]] · [[붕괴: 스타레일/등장인물/앰포리어스|앰포리어스]] ||
||'''[[붕괴: 스타레일/파벌|파벌]]''': [[스타피스 컴퍼니]] · [[스텔라론 헌터]] · [[소멸파]] · [[선주 연맹]] · [[갤럭시 레인저]] · [[지니어스 클럽]] · [[황금의 후예]]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플레이 ]⠀
{{{#!wiki style="margin: -5px -1px -6px; word-break: keep-all"
||<|5><tablewidth=100%><table bgcolor=transparent><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transparent><width=100px> '''[[붕괴: 스타레일/콘텐츠|{{{#fff 콘텐츠}}}]]'''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캐릭터]] {{{-2 ([[붕괴: 스타레일/캐릭터/운명의 길|운명의 길]])}}} · [[붕괴: 스타레일/적|적]] {{{-2 ([[붕괴: 스타레일/적/열계 창조물|열계 창조물]] · [[붕괴: 스타레일/적/선주 「나부」|선주 「나부」]] · [[붕괴: 스타레일/적/나쁜꿈 극단|나쁜꿈 극단]] · [[붕괴: 스타레일/적/주간 보스|주간 보스]])}}} ||
||[[붕괴: 스타레일/망각의 정원|망각의 정원]] {{{-2 ([[붕괴: 스타레일/혼돈의 기억|혼돈의 기억]])}}} · [[붕괴: 스타레일/허구 이야기|허구 이야기]] · [[붕괴: 스타레일/종말의 환영|종말의 환영]] · [[붕괴: 스타레일/이상 중재|이상 중재]]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시뮬레이션 우주]]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곤충 떼 재난|곤충 떼 재난]]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황금과 기계|황금과 기계]]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인지 불가 영역|인지 불가 영역]]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기물|기물]] · [[붕괴: 스타레일/시뮬레이션 우주/축복|축복]]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차분화 우주]]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기물|기물]]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축복 및 방정식|축복 및 방정식]] {{{-2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공허|공허]]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기억|기억]]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번식|번식]]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수렵|수렵]]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지식|지식]]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파멸|파멸]]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화합|화합]]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환락|환락]])}}}[br][[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2 (현재 서비스)}}} · [[붕괴: 스타레일/차분화 우주/인간 희극|인간 희극]]{{{-2 (서비스 종료)}}} 
화폐 전쟁 ||
||꿈세계 여권 · [[붕괴: 스타레일/내가 쓰는 대로|내가 쓰는 대로]] ||
|| '''[[붕괴: 스타레일/시스템|{{{#fff 시스템}}}]] ''' ||[[붕괴: 스타레일/전투|전투]] · [[붕괴: 스타레일/속성|속성]] · [[붕괴: 스타레일/워프|워프]] {{{-2 ([[붕괴: 스타레일/워프/캐릭터 이벤트 워프|캐릭터]] · [[붕괴: 스타레일/워프/광추 이벤트 워프|광추]])}}} · [[붕괴: 스타레일/무명의 공훈|무명의 공훈]] · [[붕괴: 스타레일/업적|업적]] ||
|| '''[[붕괴: 스타레일/아이템|{{{#fff 아이템}}}]]''' ||[[붕괴: 스타레일/광추|광추]] {{{-2 ([[붕괴: 스타레일/광추/파멸|파멸]] · [[붕괴: 스타레일/광추/수렵|수렵]] · [[붕괴: 스타레일/광추/지식|지식]] · [[붕괴: 스타레일/광추/화합|화합]] · [[붕괴: 스타레일/광추/공허|공허]] · [[붕괴: 스타레일/광추/보존|보존]] · [[붕괴: 스타레일/광추/풍요|풍요]] · [[붕괴: 스타레일/광추/기억|기억]])}}}
----
[[붕괴: 스타레일/유물|유물]] · [[붕괴: 스타레일/육성 아이템|육성]] · [[붕괴: 스타레일/소모품|소모품]] · [[붕괴: 스타레일/재료|재료]] · [[붕괴: 스타레일/기타 아이템|기타]]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 bgcolor=transparent><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transparent><width=100px> '''{{{#fff 미디어 믹스}}}''' ||[[붕괴: 스타레일/OST|OST]] {{{-2 ([[붕괴: 스타레일/콘서트|콘서트]])}}} · [[붕괴: 스타레일/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2 ([[붕괴: 스타레일/별무리 기행|별무리 기행]] · [[붕괴: 스타레일/단편 애니메이션|단편]])}}} · [[붕괴: 스타레일/한국 서비스|한국 서비스]] {{{-2 ([[호요랜드 2024#붕괴: 스타레일|호요랜드 2024]] · [[호요랜드 2025#붕괴: 스타레일|호요랜드 2025]])}}} ||
|| '''{{{#fff 기타}}}''' ||[[붕괴: 스타레일/업데이트|업데이트]] · [[붕괴: 스타레일/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붕괴: 스타레일/오마주 및 패러디|오마주 및 패러디]] · [[붕괴: 스타레일/오역|오역]] · [[붕괴: 스타레일/여담|여담]] · [[붕괴: 스타레일/평가|평가]] · [[붕괴: 스타레일/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 '''{{{#fff 관련 사이트}}}''' ||[[붕괴 스타레일 마이너 갤러리|갤러리]] · [[붕괴 스타레일 채널|채널]] · [[https://www.hoyolab.com/circles/6/42/feed|HoYoLAB]] ||}}}}}}
}}}}}} ||

[1] 앰포리어스 개척 임무에서 헤르타에 의해 인간 출신이었음이 밝혀졌다. 다만 헤르타가 '승격했다' 라는 표현을 사용함에 따라 현재는 인간이 아닐 가능성도 존재한다.[2] 아내는 같은 게임에서 브로냐를 담당.[3] 파이논의 배점피스톨이 측정불가인 것을 보면 아이언툼과 별도의 절멸대군이 된 셈인지 초전에는 나름 합을 맞추면서 전투가 성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제피로가 제대로 힘을 발휘하자 마자 순식간에 팔이 잘리고 제압당해버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힘을 쥐어짜내 나누크에게 혼신의 일격을 가해 아주 약간의 생채기를 남겼다. 물론 바로 재생해버렸지만 나누크도 나름 파이논(정확히는 자신을 파멸시키면서까지 파멸을 파멸시키고자 한 파이논의 파멸의 의지)이 인상깊었는지 살짝 동요하는 모습을 보이며 추락하는 파이논을 끝까지 주시했다.[4] 더불어 제피로도 IX에게 돌진했던 경험이 있으니 동질감이 있었을 수도 있다.[5] 말이 좋아 압도했다지 사실 싸움이라고 부르기 애매할 정도로 일방적으로 가지고 놀았는데 파이논의 검격과 운석을 파멸의 힘으로 모조리 무력화 시켜버렸으며 이후 순식간에 오른팔을 잘라버리고 파이논을 잠깐 리타이어시켰다. 이후 파이논이 다시 일어서자 더 해보라는듯 검을 던져주었고 싸움이 재개되자 순식간에 파이논의 검을 뺏어 찌르며 단 한번의 유효타마저 허용하지 않았다.[6] 그것도 파이논은 수천만 번의 윤회로 쌓인 자신의 분노와 생명력을 모두 털어넣어 나누크에게 상처를 냈지만 제피로는 이후에도 멀쩡히 잘만 살아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