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fff | <colbgcolor=#545454> 터보제트 엔진 | J33 | J79 | J85 |
터보팬 엔진 | CF6 | CF34 | TF34 | TF39 | GE90 | GEnx | GE9X | F101 | F110 | F118 | F404 | F414 | YF120 | XA100 | |
터보 샤프트 엔진 | T58 | T64 | T408 | T700 | T901 | |
CFM 인터내셔널 제조 | CFM56 | LEAP | |
엔진 얼라이언스 제조 | GP7200 |
[1]
1. 제원
명칭 | 길이 (m) | 지름 (m) | 중량 (kg) | 최대추력 (lbf) | 압축기-터빈 (LPC-HPC-HPT-LPT) | 압축비 | 바이패스비 | 적용 | |
Dry | AB | ||||||||
F101-GE-100 | 4.59 | 1.40 | 1,990~2,020 | 17,000 | 30,000 | 0-9-1-2 | 26.5~26.8 | 1.9~2.1 | B-1A |
F101-GE-102 | 17,400 | 30,800 | B-1B |
2. 개요
General Electric F101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개발한 군용 저바이패스 터보팬 제트엔진으로서 B-1 폭격기에만 채택되어 현재도 운용하고 있으며 GE가 개발한 첫 번째 애프터버너 터보팬 제품이다.
B-1A가 개발이 막 시작될 1964년 무렵은 XB-70 폭격기의 추락사고도 나기 전이었고 프로젝트가 순항중이었으나 미 공군은 AMSA (Advanced Manned Strategic Aircraft)라는 또 다른 계획을 시작한다. 고공 초음속 운항능력도 지닌 한편 소련의 영공에 진입할 무렵에는 저공으로 비행하여 레이더를 피한다는 개념이었는데 가변익을 채용해서 저공에서의 안정성을 도모함과 함께 활주로의 손상에 대비한 STOL 능력도 부여하려 했다. 약 1000대의 엔진수요가 예상되었고 GE와 F&W가 입찰하였다.
GE는 기술실증용 터보팬 엔진을 개발한 후 이듬해 이 새로운 폭격기의 엔진 계약자로 선정되었는데 당시 미 공군이 요구했던 ROC를 충족하였고 이후 F101으로 제식명이 정해진다. 이후 F101은 저공침투를 위해 소음을 감소시키고 순항 중에는 매연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개선하고 노즐을 단순화해서 자체중량을 줄이는 개량을 거쳐 1982년 개발이 완료된다.
1990년 10월 엔진 1개의 팬 블레이드가 파손되면서 파편이 엔진을 손상시킨것과 12월 엔진에 화재가 발생하여 모든 B-1B가 50일 동안 비행금지된다. 2건 모두 팬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금속 부품의 결함이 원인으로 판명되어 더 두껍고 강화된 재질로 교체하는 한편 검사 주기를 단축시켰다. 사고기는 수리 후 다시 작전에 복귀했고 현재까지도 운용하고 있다.
그 다음 해 11월에는 좌측 엔진 쪽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해 기체를 손실하고 1998년 2월에는 공중급유 훈련 도중 엔진 4개가 모두 고장이 발생해 기체를 손실하였으며사진 2007년에도 엔진에 화재가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