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004ea2>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004ea2>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편동수 | 2대 김연각 | 3대 이승남 | 4대 고용복 | 5대 김봉찬 | |
6대 유희국 | 7대 노연웅 | 8대 전관 | 9대 김영철 | 10대 김일갑 | |
11대 김효수 | 12대 박청욱 | 13대 엄항석 | 14대 박정주 | 15대 박남필 | |
16대 김갑현 | 17대 김용기 | 18대 이영재 | 19대 임운택 | 20대 이승우 | |
21대 조병오 | 22대 김한선 | 23대 이상현 | 24대 조현천 | 25대 박원수 | |
26대 이승도 | 27대 권혁신 | 28대 이종화 | 29대 정재학 | 30대 권영현 | |
31대 김동호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0001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00010> 대한민국 육군 제50보병사단장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권준 | 제2대 한당욱 | 제3대 전부일 | 제4대 차문호 | 제5대 박경원 | |
제6대 안광영 | 제7대 현석주 | 제8대 김종환 | 제9대 방경원 | 제10대 김우영 | |
제11대 미상 | 제12대 미상 | 제13대 미상 | 제14대 미상 | 제15대 미상 | |
제16대 미상 | 제17대 정호용 | 제18대 미상 | 제19대 미상 | 제20대 미상 | |
제21대 미상 | 제22대 미상 | 제23대 미상 | 제24대 미상 | 제25대 미상 | |
제26대 김인종 | 제27대 미상 | 제28대 미상 | 제29대 미상 | 제30대 미상 | |
제31대 미상 | 제32대 김상기 | 제33대 이태우 | 제34대 이진모 | 제35대 정연봉 | |
제36대 김해석 | 제37대 서정천 | 제38대 정재학 | 제39대 엄용진 | 제40대 김동수 | |
제41대 문병삼 | 제42대 정유수 |
정재학 Jeong Jae-hak | |
| |
<colbgcolor=#2A5034><colcolor=#fff>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기간 | 1986년 ~2021년 |
임관 | 학군사관 (24기)[1] |
최종 계급 | 소장 |
최종 보직 | 육군학생군사학교장 |
주요 보직 | 대한민국 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 제50보병사단장 제13공수특전여단장 제21보병사단 제63연대장 |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최종 계급 육군 소장이며 육군학생군사학교 학교장직을 맡았다.2. 생애
경상북도 예천군 출신으로 우망초등학교(27회), 풍양중학교(25회), 풍양고등학교(4회)를 졸업하고 1986년 계명대학교 통계학과(82학번) 졸업과 함께 학군사관 24기로 임관했다.영관시절 육군사관학교 생도대 훈육관, 제32보병사단 참모장, 제21보병사단 63연대장, 제8군단 작전참모을 역임했다. 준장 진급 후에는 제13공수특전여단장과 육군특수전사령부 참모장을 역임했으며, 소장으로 진급 후 제50보병사단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을 역임했다. 육군학생군사학교장직을 수행하였다. 2021년 10월 27일부로 예편하였다. 최종계급은 소장.
3. 여담
- 특전사 참모장 재직 시 44년 만에 특전사 서울 시대를 마감하고 경기도 이천에 새 둥지를 트는 사업을 주도하였다.
- 50사단장 재임 시 다양한 계층의 부하들과 수시로 작전지역 주요 고지, 전적지 등을 답사하였고 하회마을, 병산서원 체험 하였다.
- 육군 초급장교의 93%를 교육하는 육군학생군사학교장으로서, 야전에서 즉각 임무수행이 가능한 정예 초급장교를 배출하기 위하여 노력했다. 우수자원 조기획득을 위해 고교생, 학부모 등 홍보 대상을 확대하고[2] SNS를 활용한 동영상 홍보전략을 추진했다.
- 학군교 제35주년 창설기념일 체육대회에서는 이등병부터 대령까지 단축마라톤을 실시하고, 25km 계주는 팀별 장교, 부사관, 군무원 등 전 계층의 간부 50명이 개인별 500m 트랙을 이어 달리도록 하여 부대를 화합·단결시키고 체육대회의 열정을 사관후보생 교육으로 승화시켜 나가고자 했다.
- 학교에 근무하는 간부(학군단 및 교육여단 예하 교육단) 대상 "답을 내는 조직(김성호, 2012)" 독서토론회를 통하여 끝장정신 발휘 등 근무자세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문제는 책의 내용이 일본의 기업을 예시로 들며 답을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결과를 도출하라는 식이라 많은 간부들은 이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불만을 가진 바 있다. 또한 변화를 추구한다면서 실제 교육을 담당하는 학군단 소속 간부들의 의견 개진 창구를 방치하는 등 현장의 시각을 무시하여 평이 마냥 좋지는 않았다.
4. 논란
- 2018년 10월, 50사단장 재임 중 회관 조리병에게 갑질을 하는 바람에 사단장 임기를 마치고 나서는 육군 장성들 사이에서는 한직으로 인식되는 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으로 좌천되었다.[3] 출처는 여기에 있다.
- 제13공수특전여단장 재임 당시 포로훈련 도중 사망사고가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