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전주시 전체 인구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20,432명 |
1970년 262,300명 |
1973년 7월 1일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 → 전주시 우아동 편입 |
1975년 311,237명 |
1980년 367,037명 |
1983년 2월 15일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색장리 → 전주시 편입 및 남고동(南固洞) 신설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 → 전주시 우아동 편입 |
1985년 426,382명 |
1987년 1월 1일 완주군 조촌읍 → 전주시 편입 및 조촌동·동산동 분할 1988년 5월 1일 전주시 완산·덕진출장소 설치 1989년 5월 1일 전주시 완산·덕진출장소 → 완산구·덕진구 승격 1989년 1월 1일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금상리 → 전주시 우아동 편입 완주군 구이면 용복리·중인리 → 전주시 삼천동 편입 완주군 구이면 원당리·석구리 → 전주시 평화동 편입 1990년 8월 1일 완주군 이서면 상림리·중리 → 전주시 효자2동 편입 |
1990년 516,965명[1990전주시] |
1994년 12월 26일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강흥리·도도리, 용지면 남정리 → 전주시 편입 1995년 4월 20일 전주시 효자출장소 설치[효자출장소관할지] |
1995년 575,700명[1995전주시] |
1998년 8월 1일 전주시 효자출장소 폐지 및 완산구 통합 |
2000년 627,096명[2000전주시] |
2005년 8월 1일 전주시 덕진구 서노송동 → 완산구 편입 |
2005년 636,058명[2005전주시] |
2010년 641,525명[2010전주시] |
2015년 652,282명[2015전주시] |
2018년 7월 1일 전주시 완산구 효자4동 일부 + 덕진구 동산동 일부 → 덕진구 혁신동 신설 |
2020년 657,432명[2020전주시] |
2021년 9월 658,235명(정점)[2021.09전주시] |
2024년 12월 635,651명[현재전주시]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0만 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송천1동 64,662명 |
평화2동 42,931명 | |
서신동 38,725명 | |
효자4동 38,626명 | |
효자5동 35,964명 | |
혁신동 35,940명 | |
인후3동 29,840명 | |
송천2동 26,338명 | |
삼천3동 20,663명 | |
덕진동 20,532명 | |
중화산2동 18,803명 | |
호성동 18,481명 | |
인후1동 17,129명 | |
여의동 15,691명 | |
우아2동 13,783명 | |
효자3동 13,721명 | |
중화산1동 13,445명 | |
효자1동 12,708명 | |
진북동 12,316명 | |
조촌동 12,237명 | |
삼천2동 12,164명 | |
우아1동 11,828명 | |
평화1동 11,738명 | |
삼천1동 11,509명 | |
노송동 10,295명 | |
인후2동 10,125명 | |
중앙동 9,591명 | |
금암2동 9,418명 | |
효자2동 9,026명 | |
금암1동 8,117명 | |
서서학동 7,890명 | |
팔복동 7,304명 | |
동서학동 5,793명 | |
완산동 4,808명 | |
풍남동 3,509명 | |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각 행정동별 색깔은 각각 완산구, 덕진구 지역임. |
국내도시 중 인구순위로는 18위이며 2010년 이후 인구가 정체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1997년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한 이래 7년간 전주가 비수도권 일반시 중 1위를 차지했으나[11] 2004년부로 청주시가 전주 인구를 앞질러버렸다.[12] 또한 2010년 7월 1일 통합창원시가 출범하며 비수도권 3위로 밀려났고 2014년 7월 1일 통합청주시가 출범하면서 청주시와의 인구격차는 더 크게 벌어졌다. 심지어 2020년 6월부로 천안시도 전주 인구를 추월하면서 4위가 되었다.
대신 지방에서 몇 안 되는 도농분리시라서 지방치고는 인구밀도가 높은 편이다. 약 3,200명/㎢ 정도로 비수도권에서는 부산광역시와 목포시 다음이다.
2020년 이후로도 인구가 소폭 증가하고 있었으나 66만 명을 찍지 못하고 2021년 9월 658,235명으로 인구 정점에 도달했으며, 그 이후 현재까지 계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혁신도시 지역이 편입된 덕진구와는 달리 사실상 개발이 완료된 완산구에서의 인구 감소 폭이 더 크다. 그렇게 전주시의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2023년 2월 65만 명 선이 붕괴되었고, 2024년 5월에 64만 명 선마저 붕괴되었다... 현재 전국적인 인구 감소가 진행 중이며, 특히 타 지역 대비 전북의 인구 감소폭이 큰 편이라 앞으로가 밝지만은 않다.
1.1. 행정동별 인구
1.1.1. 완산구 행정동별 인구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31,883명[1966중앙동] |
1970년 7월 1일 전주시 태평1가동 → 태평1동 개칭 전주시 태평2가동 → 태평2동 개칭 |
1970년 34,210명[1970중앙동] |
1975년 35,597명[1975중앙동] |
1980년 30,803명[1980중앙동] |
1985년 28,411명[1985중앙동] |
1990년 26,214명[1990중앙동] |
1995년 17,202명[1995중앙동] |
1996년 9월 1일 중앙동 + 고사동 + 다가동 → 중앙동 합동 태평1동 + 태평2동 → 태평동 합동 |
2000년 12,519명[2000중앙동] |
2005년 8월 1일 중앙동 + 태평동 → 중앙동 합동 |
2005년 11,088명 |
2010년 10,909명 |
2015년 9,634명 |
2020년 7,597명 |
2024년 12월 9,59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29,523명[1966풍남동] |
1970년 30,156명[1970풍남동] |
1975년 30,887명[1975풍남동] |
1980년 28,413명[1980풍남동] |
1985년 26,243명[1985풍남동] |
1990년 24,882명[1990풍남동] |
1995년 16,661명[1995풍남동] |
1996년 9월 1일 경원동 + 풍남동 + 전동 → 풍남동 합동 |
2000년 12,896명[2000풍남동] |
2005년 8월 1일 풍남동 + 교동 → 풍남동 합동 |
2005년 10,139명 |
2010년 7,760명 |
2015년 5,611명 |
2020년 4,243명 |
2024년 12월 3,50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35,574명[1966노송동] |
1970년 7월 1일 중노송동 → 중노송1가동, 중노송2가동 분동 |
1970년 41,556명[1970노송동] |
1975년 48,751명[1975노송동] |
1980년 49,327명[1980노송동] |
1985년 46,146명[1985노송동] |
1990년 42,502명[1990노송동] |
1994년 8월 8일 전주시 중노송1가동 → 중노송1동 개칭 전주시 중노송2가동 → 중노송2동 개칭 |
1995년 30,749명[1995노송동] |
2000년 21,805명[2000노송동] |
2005년 8월 1일 완산구 중노송1동 + 중노송2동 + 남노송동 + 덕진구 서노송동 → 노송동 합동 |
2005년 18,334명 |
2010년 15,932명 |
2015년 12,920명 |
2020년 12,535명 |
2024년 12월 10,29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16,990명[1966완산동] |
1970년 18,195명[1970완산동] |
1975년 21,372명[1975완산동] |
1980년 22,436명[1980완산동] |
1985년 21,059명[1985완산동] |
1990년 20,468명[1990완산동] |
1995년 14,661명[1995완산동] |
2000년 10,708명[2000완산동] |
2005년 8월 1일 동완산동 + 서완산동 → 완산동 합동 |
2005년 8,215명 |
2010년 7,164명 |
2015년 5,865명 |
2020년 4,914명 |
2024년 12월 4,80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8,302명 |
1970년 9,652명 |
1975년 10,732명 |
1980년 12,016명 |
1983년 2월 15일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색장리 → 전주시 편입 전주시 대성동·색장동 → 남고동 신설 |
1985년 14,452명[1985동서학동] |
1990년 14,134명[1990동서학동] |
1995년 15,115명[1995동서학동] |
1998년 8월 1일 동서학동 + 남고동 → 동서학동 합동 |
2000년 12,273명 |
2005년 10,892명 |
2010년 8,759명 |
2015년 7,603명 |
2020년 6,446명 |
2024년 12월 5,79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9,217명 |
1970년 10,947명 |
1975년 14,032명 |
1980년 16,012명 |
1985년 17,370명 |
1990년 16,579명 |
1995년 13,287명 |
2000년 16,268명 |
2005년 13,617명 |
2010년 12,115명 |
2015년 10,375명 |
2020년 8,765명 |
2024년 12월 7,89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5,893명 |
1970년 6,523명 |
1975년 7,563명 |
1980년 8,755명 |
1985년 10,894명 |
1990년 13,404명 |
1995년 23,431명 |
1996년 9월 1일 중화산동 → 중화산1동, 중화산2동 분동 |
2000년 17,178명 |
2005년 16,664명 |
2010년 14,768명 |
2015년 16,080명 |
2020년 14,675명 |
2024년 12월 13,44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96년~현재) |
1996년 9월 1일 중화산동 → 중화산1동, 중화산2동 분동 |
1996년 10,562명 |
1997년 10,681명 |
1998년 10,099명 |
1999년 9,967명 |
2000년 10,023명 |
2001년 10,390명 |
2002년 10,676명 |
2003년 18,047명 |
2004년 19,010명 |
2005년 19,373명 |
2006년 19,724명 |
2007년 19,628명 |
2008년 19,792명 |
2009년 20,009명 |
2010년 20,241명 |
2011년 20,638명 |
2012년 21,046명 |
2013년 21,217명 |
2014년 20,749명 |
2015년 20,645명 |
2016년 20,815명 |
2017년 20,859명 |
2018년 20,200명 |
2019년 19,906명 |
2020년 19,608명 |
2021년 19,688명 |
2022년 19,369명 |
2023년 19,147명 |
2024년 12월 18,80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3,110명 |
1970년 3,492명 |
1975년 5,279명 |
1980년 7,640명 |
1985년 9,698명 |
1990년 11,569명 |
1995년 20,162명 |
2000년 45,408명 |
2005년 47,817명 |
2010년 47,763명 |
2015년 45,058명 |
2020년 41,431명 |
2024년 12월 38,72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6,337명 |
1970년 6,725명 |
1975년 7,448명 |
1980년 7,640명 |
1985년 9,698명 |
1989년 1월 1일 완주군 구이면 원당리·석구리 → 전주시 평화동 편입 |
1990년 14,115명 |
1995년 41,740명 |
1996년 2월 26일 평화동 → 평화1동, 평화2동 분동 |
2000년 17,113명 |
2005년 15,806명 |
2010년 14,683명 |
2015년 14,526명 |
2020년 12,903명 |
2024년 12월 11,73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
(1996년~현재) |
1996년 2월 26일 평화동 → 평화1동, 평화2동 분동 |
1996년 24,050명 |
1997년 23,855명 |
1998년 27,631명 |
1999년 28,895명 |
2000년 29,400명 |
2001년 30,584명 |
2002년 38,374명 |
2003년 42,058명 |
2004년 44,911명 |
2005년 46,751명 |
2006년 47,348명 |
2007년 46,580명 |
2008년 46,071명 |
2009년 45,886명 |
2010년 45,342명 |
2011년 44,767명 |
2012년 44,863명 |
2013년 46,903명 |
2014년 46,374명 |
2015년 45,877명 |
2016년 45,212명 |
2017년 44,879명 |
2018년 46,688명 |
2019년 46,205명 |
2020년 46,396명 |
2021년 45,827명 |
2022년 44,724명 |
2023년 43,693명 |
2024년 12월 42,93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5,369명 |
1970년 5,256명 |
1975년 5,567명 |
1980년 6,656명 |
1985년 5,621명 |
1989년 1월 1일 완주군 구이면 용복리·중인리 → 전주시 삼천동 편입 |
1990년 25,128명 |
1994년 8월 8일 삼천동 → 삼천1동, 삼천2동 분동 |
1995년 18,191명 |
2000년 17,882명 |
2005년 16,373명 |
2010년 14,878명 |
2015년 15,217명 |
2020년 11,783명 |
2024년 12월 11,50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95년~현재) |
1994년 8월 8일 삼천동 → 삼천1동, 삼천2동 분동 |
1995년 30,895명 |
1996년 9월 1일 삼천2동 → 삼천2동, 삼천3동 분동 |
2000년 23,282명 |
2005년 21,464명 |
2010년 19,266명 |
2015년 16,882명 |
2020년 13,529명 |
2024년 12월 12,16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1996년~현재) |
1996년 9월 1일 삼천2동 → 삼천2동, 삼천3동 분동 |
1996년 8,585명 |
1997년 12,328명 |
1998년 14,084명 |
1999년 16,238명 |
2000년 23,873명 |
2001년 24,893명 |
2002년 27,408명 |
2003년 26,566명 |
2004년 26,776명 |
2005년 26,840명 |
2006년 26,444명 |
2007년 25,907명 |
2008년 25,771명 |
2009년 25,226명 |
2010년 24,970명 |
2011년 24,710명 |
2012년 24,608명 |
2013년 25,244명 |
2014년 24,716명 |
2015년 24,596명 |
2016년 24,558명 |
2017년 24,541명 |
2018년 23,900명 |
2019년 23,248명 |
2020년 22,337명 |
2021년 21,952명 |
2022년 21,356명 |
2023년 20,961명 |
2024년 12월 20,66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7,305명 |
1970년 8,498명 |
1975년 9,980명 |
1980년 18,394명 |
1985년 32,891명 |
1990년 7월 1일 효자동 → 효자1동, 효자2동 분동 |
1990년 17,011명 |
1995년 20,095명 |
2000년 15,870명 |
2005년 15,927명 |
2010년 14,899명 |
2015년 14,019명 |
2020년 11,089명 |
2024년 12월 12,70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1990년~현재) |
1990년 7월 1일 효자동 → 효자1동, 효자2동 분동 1990년 8월 1일 완주군 이서면 상림리·중리 → 전주시 효자2동 편입 |
1990년 30,482명 |
1992년 5월 1일 효자2동 → 효자2동, 효자3동 분동 |
1995년 20,742명 |
2000년 17,345명 |
2005년 15,823명 |
2010년 13,651명 |
2015년 11,479명 |
2020년 10,295명 |
2024년 12월 9,02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1995년~현재) |
1992년 5월 1일 효자2동 → 효자2동, 효자3동 분동 |
1995년 24,952명 |
1996년 9월 1일 효자3동 → 효자3동, 효자4동 분동 |
2000년 18,915명 |
2005년 18,649명 |
2010년 18,242명 |
2015년 16,914명 |
2020년 14,850명 |
2024년 12월 13,72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2018년~현재) |
2018년 7월 1일 효자4동 일부 → (신) 효자4동, 효자5동 분동 완산구 효자4동 일부 + 덕진구 동산동 일부 → 덕진구 혁신동 분동 |
2018년 28,612명 |
2019년 32,082명 |
2020년 39,796명 |
2021년 39,426명 |
2022년 38,722명 |
2023년 38,615명 |
2024년 12월 38,62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1996년~현재) |
1996년 9월 1일 효자3동 → 효자3동, 효자4동 분동 |
1996년 7,693명 |
1997년 7,527명 |
1998년 7,657명 |
1999년 11,548명 |
2000년 17,972명 |
2001년 17,658명 |
2002년 18,159명 |
2003년 17,622명 |
2004년 17,348명 |
2005년 20,780명 |
2006년 21,653명 |
2007년 26,957명 |
2008년 33,875명 |
2009년 37,903명 |
2010년 46,577명 |
2011년 52,969명 |
2012년 57,420명 |
2013년 59,570명 |
2014년 67,775명 |
2015년 72,304명 |
2016년 74,417명 |
2017년 75,229명 |
2018년 7월 1일 효자4동 일부 → (신)효자4동, 효자5동 분동 완산구 효자4동 일부 + 덕진구 동산동 일부 → 덕진구 혁신동 분동 |
2018년 38,308명 |
2019년 37,511명 |
2020년 36,526명 |
2021년 36,787명 |
2022년 36,692명 |
2023년 36,119명 |
2024년 12월 35,96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5만 명 |
1.1.2. 덕진구 행정동별 인구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8,930명 |
1970년 15,736명 |
1973년 7월 1일 진북동 → 진북1동, 진북2동 분동 |
1975년 22,737명[1975진북동] |
1980년 30,559명[1980진북동] |
1985년 29,793명[1985진북동] |
1990년 29,035명[1990진북동] |
1995년 28,812명[1995진북동] |
2000년 24,619명[2000진북동] |
2005년 8월 1일 진북1동 + 진북2동 → 진북동 합동 |
2005년 21,336명 |
2010년 18,254명 |
2015년 16,708명 |
2020년 14,373명 |
2024년 12월 12,31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12,587명 |
1970년 7월 1일 인후동 → 인후1동, 인후2동 분동 |
1970년 9,958명 |
1975년 13,025명 |
1980년 23,562명 |
1983년 10월 1일 인후1동 → 인후1동, 인후3동 분동 |
1985년 20,543명 |
1990년 22,830명 |
1995년 21,210명 |
2000년 18,131명 |
2005년 12,232명 |
2010년 20,901명 |
2015년 20,549명 |
2020년 18,551명 |
2024년 12월 17,129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70년~현재) |
1970년 7월 1일 인후동 → 인후1동, 인후2동 분동 |
1970년 8,761명 |
1975년 13,854명 |
1980년 18,075명 |
1985년 22,850명 |
1990년 29,728명 |
1995년 22,990명 |
2000년 18,013명 |
2005년 15,495명 |
2010년 13,278명 |
2015년 11,833명 |
2020년 11,459명 |
2024년 12월 10,12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1985년~현재) |
1983년 10월 1일 인후1동 → 인후1동, 인후3동 분동 |
1985년 13,861명 |
1990년 12,968명 |
1995년 9,929명 |
2000년 29,074명 |
2005년 37,952명 |
2010년 36,655명 |
2015년 36,175명 |
2020년 32,411명 |
2024년 12월 29,84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7,186명 |
1970년 9,020명 |
1975년 12,586명 |
1980년 19,159명 |
1985년 24,582명 |
1990년 28,279명 |
1995년 22,240명 |
2000년 18,847명 |
2005년 17,518명 |
2010년 15,874명 |
2015년 21,509명 |
2020년 20,230명 |
2024년 12월 20,53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9,230명 |
1970년 12,532명 |
1975년 19,504명 |
1980년 26,387명 |
1983년 10월 1일 금암동 → 금암1동, 금암2동 분동 |
1985년 17,384명 |
1990년 17,398명 |
1995년 12,838명 |
2000년 9,832명 |
2005년 12,881명 |
2010년 7,915명 |
2015년 7,568명 |
2020년 7,654명 |
2024년 12월 8,11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1985년~현재) |
1983년 10월 1일 금암동 → 금암1동, 금암2동 분동 |
1985년 19,353명 |
1990년 22,399명 |
1995년 18,074명 |
2000년 14,848명 |
2005년 12,236명 |
2010년 12,150명 |
2015년 11,033명 |
2020년 9,982명 |
2024년 12월 9,41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5,189명 |
1970년 8,550명 |
1975년 12,958명 |
1980년 17,949명 |
1985년 20,814명 |
1990년 21,485명 |
1994년 12월 1일 동산동 일부 → 팔복동 편입[팔복동편입지] |
1995년 19,625명 |
2000년 15,608명 |
2005년 13,292명 |
2010년 11,219명 |
2015년 9,927명 |
2020년 7,691명 |
2024년 12월 7,30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3,773명 |
1970년 3,810명 |
1973년 7월 1일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 → 전주시 우아동 편입 |
1975년 4,693명 |
1980년 4,496명 |
1985년 12,603명 |
1989년 1월 1일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금상리 → 전주시 우아동 편입 |
1990년 22,488명 |
1995년 27,130명 |
1996년 9월 1일 우아동 → 우아1동, 우아2동 분동 |
2000년 15,724명 |
2005년 14,748명 |
2010년 13,217명 |
2015년 11,266명 |
2020년 9,743명 |
2024년 12월 11,82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
(1996년~현재) |
1996년 9월 1일 우아동 → 우아1동, 우아2동 분동 |
1996년 8,919명 |
1997년 8,864명 |
1998년 9,727명 |
1999년 11,870명 |
2000년 12,216명 |
2001년 12,110명 |
2002년 12,349명 |
2003년 13,063명 |
2004년 13,401명 |
2005년 13,576명 |
2006년 13,990명 |
2007년 13,600명 |
2008년 13,767명 |
2009년 14,706명 |
2010년 14,946명 |
2011년 15,283명 |
2012년 15,452명 |
2013년 15,765명 |
2014년 15,649명 |
2015년 15,616명 |
2016년 15,757명 |
2017년 15,880명 |
2018년 15,491명 |
2019년 14,956명 |
2020년 14,573명 |
2021년 14,481명 |
2022년 14,276명 |
2023년 13,978명 |
2024년 12월 13,78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5,700명 |
1970년 5,397명 |
1975년 5,296명 |
1980년 4,993명 |
1985년 4,372명 |
1990년 6,615명 |
1995년 15,775명 |
2000년 21,421명 |
2005년 22,239명 |
2010년 24,992명 |
2015년 23,455명 |
2020년 20,644명 |
2024년 12월 18,48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4,086명 |
1970년 4,713명 |
1975년 5,993명 |
1980년 8,609명 |
1985년 13,482명 |
1990년 21,706명 |
1995년 39,636명 |
1996년 9월 1일 송천동 → 송천1동, 송천2동 분동 |
2000년 32,379명 |
2005년 33,750명 |
2010년 36,653명 |
2015년 39,413명 |
2020년 60,980명 |
2024년 12월 64,66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5만 명 |
(1966년~현재) |
1957년 12월 12일 전주시 행정동제 실시[전1][전2] 중앙동1가~4가 → 중앙동 신설 경원동1가~3가 → 경원동 신설 풍남동1가~3가 → 풍남동 신설 전동1가~3가 → 전동 신설 다가동1가~4가 → 다가동 신설 고사동1·2가 → 고사동 신설 교동1·2가 → 교동 신설 태평동1가 → 태평1가동 신설 태평동2가 → 태평2가동 신설 중노송동1·2가 → 중노송동 신설 서노송동(법정동) → 서노송동(행정동) 남노송동(법정동) → 남노송동(행정동) 동완산동1·2가 → 동완산동 신설 서완산동1·2가 → 서완산동 신설 동서학동1·2가 → 동서학동 신설 서서학동(법정동) → 서서학동(행정동) 중화산동1·2가 → 중화산동 신설 진북동(법정동) → 진북동(행정동) 금암동(법정동) → 금암동(행정동) 인후동1·2가 → 인후동 신설 덕진동1·2가 → 덕진동 신설 서신동(법정동) → 서신동(행정동) 우아동1가~3가 → 우아동 신설 호성동1가~3가 → 호성동 신설 전미동1·2가 → 전미동 신설 평화동1가~3가 → 평화동 신설 삼천동1가~삼천동3가 → 삼천동 신설 효자동1가~효자동3가 → 효자동 신설 팔복동1가~3가 → 팔복동 신설 송천동1·2가 → 송천동 신설 |
1966년 4,196명 |
1970년 3,843명 |
1975년 3,809명 |
1980년 3,338명 |
1985년 3,055명 |
1990년 2,858명 |
1995년 2,549명 |
1996년 9월 1일 송천동 → 송천1동, 송천2동 분동 1998년 8월 1일 전미동 + 송천2동 → 송천2동 합동 |
2000년 26,137명 |
2005년 24,512명 |
2010년 28,572명 |
2015년 28,780명 |
2020년 26,746명 |
2024년 12월 26,33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1966년~현재) |
1966년 17,281명 |
1970년 17,531명 |
1975년 19,142명 |
1980년 20,484명 |
1983년 2월 15일 이서면 원동리 → 조촌면 편입 1985년 10월 1일 완주군 조촌면 → 조촌읍 승격 |
1985년 23,583명 |
1987년 1월 1일 완주군 조촌읍 → 전주시 편입 및 폐지 조촌읍 반월리 + 성덕리 + 용정리 + 화전리 + 원동리 → 조촌동 신설 조촌읍 장동리 + 만성리 + 여의리 + 동산리 + 고랑리 → 동산동 신설 |
1990년 7,118명 |
1994년 12월 1일 조촌동 일부 → 팔복동 편입[팔복동편입지] 1994년 12월 26일 김제군 백구면 도도리·강흥리·도덕리 → 전주시 조촌동 편입 김제군 용지면 남정리 → 조촌동 편입 |
1995년 8,749명 |
2000년 11,557명 |
2005년 11,221명 |
2010년 11,067명 |
2015년 10,635명 |
2020년 12,524명 |
2024년 12월 12,23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1990년~현재) |
1987년 1월 1일 완주군 조촌읍 → 전주시 편입 및 폐지 조촌읍 반월리 + 성덕리 + 용정리 + 화전리 + 원동리 → 조촌동 신설 조촌읍 장동리 + 만성리 + 여의리 + 동산리 + 고랑리 → 동산동 신설 |
1990년 15,664명 |
1995년 18,260명 |
2000년 17,960명 |
2005년 18,518명 |
2010년 17,913명 |
2015년 22,210명 |
2018년 7월 1일 완산구 효자4동 일부 + 덕진구 동산동 일부 → 혁신동 분동 2019년 10월 1일 전주시 동산동 → 여의동 개칭 |
2020년 30,597명 |
2023년 6월 30일 여의동 일부 → 혁신동 편입 |
2024년 12월 15,691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
(2018년~현재) |
2018년 7월 1일 완산구 효자4동 일부 + 덕진구 동산동 일부 → 혁신동 분동 |
2018년 17,639명 |
2019년 17,900명 |
2020년 19,556명 |
2021년 20,237명 |
2022년 20,009명 |
2023년 6월 30일 여의동 일부 → 혁신동 편입 |
2023년 35,906명 |
2024년 12월 35,940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
[1990전주시] 완산구 246,480명 + 덕진구 270,579명[효자출장소관할지] 서신동, 삼천1동, 삼천2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1995전주시] 완산구 166,791명 + 덕진구 273,872명 + 효자출장소 135,037명[2000전주시] 완산구 336,304명 + 덕진구 290,792명[2005전주시] 완산구 354,552명 + 덕진구 281,506명[2010전주시] 완산구 357,919명 + 덕진구 283,606명[2015전주시] 완산구 365,605명 + 덕진구 286,677명[2020전주시] 완산구 339,718명 + 덕진구 317,714명[2021.09전주시] 완산구 337,671명 + 덕진구 320,564명[현재전주시] 완산구 321,910명 + 덕진구 313,741명[11] 이 시절에는 울산과 함께 광역시 승격 논의도 있었다. 물론 결과는 알다시피 울산은 승격된 반면, 전주는 논의로만 끝났다.[12] 1960년 전주의 인구는 188,726명으로 청주(92,342명)의 2배를 넘었다. 그러나 전주의 인구는 정체된 반면 청주는 조금씩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면서 결국 추월을 피하지 못하게 되었다.[13] 1966년의 태평1·2가동의 인구는 1970년 인구를 기준으로 예상한 추정치임.[전1] 전주시의 경우, 행정동 제도 실시 일자가 정확히 언제인지는 확인이 어려우나, 여러 자료들을 취합하여 본 결과 해당 일자가 유력함.[전2] 또 전주시는 이후 몇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행정동 제도 실시 당시와 현재의 법정동이 다른, 통폐합된 경우가 있으니 주의 바람.[1966중앙동] 중앙동 4,241명 + 다가동 8,113명 + 고사동 6,303명 + 태평1가동 6,596명 + 태평2가동 6,630명[1970중앙동] 중앙동 4,681명 + 다가동 8,360명 + 고사동 6,029명 + 태평1동 7,551명 + 태평2동 7,589명[1975중앙동] 중앙동 5,119명 + 다가동 7,869명 + 고사동 7,043명 + 태평1동 7,786명 + 태평2동 7,780명[1980중앙동] 중앙동 3,873명 + 다가동 6,757명 + 고사동 6,334명 + 태평1동 6,218명 + 태평2동 7,621명[1985중앙동] 중앙동 3,529명 + 다가동 5,982명 + 고사동 5,239명 + 태평1동 6,300명 + 태평2동 7,361명[1990중앙동] 중앙동 3,305명 + 다가동 5,803명 + 고사동 4,370명 + 태평1동 6,121명 + 태평2동 6,615명[1995중앙동] 중앙동 2,176명 + 다가동 3,508명 + 고사동 2,794명 + 태평1동 4,173명 + 태평2동 4,551명[2000중앙동] 중앙동 6,002명 + 태평동 6,517명[전1] [전2] [1966풍남동] 경원동 5,954명 + 풍남동 6,841명 + 전동 5,869명 + 교동 10,859명[1970풍남동] 경원동 6,227명 + 풍남동 7,024명 + 전동 5,076명 + 교동 11,829명[1975풍남동] 경원동 6,454명 + 풍남동 7,107명 + 전동 5,235명 + 교동 12,091명[1980풍남동] 경원동 4,697명 + 풍남동 6,962명 + 전동 4,843명 + 교동 11,911명[1985풍남동] 경원동 4,382명 + 풍남동 6,241명 + 전동 4,462명 + 교동 11,158명[1990풍남동] 경원동 4,012명 + 풍남동 5,696명 + 전동 4,363명 + 교동 10,811명[1995풍남동] 경원동 3,019명 + 풍남동 4,117명 + 전동 2,679명 + 교동 6,846명[2000풍남동] 풍남동 7,585명 + 교동 5,311명[전1] [전2] [1966노송동] 중노송동 13,193명 + 남노송동 10,703명 + 서노송동 11,678명[1970노송동] 중노송1가동 9,336명 + 중노송2가동 8,603명 + 남노송동 12,484명 + 서노송동 11,133명[1975노송동] 중노송1가동 13,000명 + 중노송2가동 10,322명 + 남노송동 12,616명 + 서노송동 12,813명[1980노송동] 중노송1가동 13,813명 + 중노송2가동 10,292명 + 남노송동 12,549명 + 서노송동 12,673명[1985노송동] 중노송1가동 13,456명 + 중노송2가동 9,300명 + 남노송동 12,062명 + 서노송동 11,328명[1990노송동] 중노송1가동 13,144명 + 중노송2가동 8,552명 + 남노송동 10,798명 + 서노송동 10,008명[1995노송동] 중노송1동 10,683명 + 중노송2동 6,068명 + 남노송동 7,943명 + 서노송동 6,055명[2000노송동] 중노송1동 7,559명 + 중노송2동 4,280명 + 남노송동 5,540명 + 서노송동 4,426명[전1] [전2] [1966완산동] 동완산동 7,979명 + 서완산동 9,011명[1970완산동] 동완산동 8,643명 + 서완산동 9,552명[1975완산동] 동완산동 9,774명 + 서완산동 11,598명[1980완산동] 동완산동 9,402명 + 서완산동 13,034명[1985완산동] 동완산동 9,157명 + 서완산동 11,902명[1990완산동] 동완산동 8,583명 + 서완산동 11,885명[1995완산동] 동완산동 6,137명 + 서완산동 8,524명[2000완산동] 동완산동 4,553명 + 서완산동 6,155명[전1] [전2] [1985동서학동] 동서학동 10,980명 + 남고동 3,472명[1990동서학동] 동서학동 10,939명 + 남고동 3,195명[1995동서학동] 동서학동 11,426명 + 남고동 3,689명[전1] [전2] [전1] [전2] [전1] [전2] [전1] [전2] [전1] [전2] [전1] [전2] [71] 1970년 조사에서 진북1동, 진북2동으로 분리되어 잡혀있음. 그러나 뉴스 기사, 진북동 행정복지센터 연혁 등을 참조하였을 때 1973년 분동이 맞는 것으로 보임.[전1] [전2] [1975진북동] 진북1동 11,404명 + 진북2동 11,333명[1980진북동] 진북1동 12,814명 + 진북2동 17,745명[1985진북동] 진북1동 11,936명 + 진북2동 17,857명[1990진북동] 진북1동 11,678명 + 진북2동 17,357명[1995진북동] 진북1동 7,361명 + 진북2동 21,451명[2000진북동] 진북1동 5,507명 + 진북2동 19,112명[전1] [전2] [전1] [전2] [전1] [전2] [전1] [전2] [팔복동편입지] 편입 지역에 팔복동4가가 신설되었음.[전1] [전2] [전1] [전2] [전1] [전2] [95] 1966년부터 1995년 까지의 인구는 舊 전미동 지역임. 송천2동 지역의 경우 1996년에 분동되어 1995년 조사에서 당연하게 미집계되었고, 2000년 조사에서는 이미 전미동과 송천2동이 통폐합되어 전미동의 인구가 미집계 되기에 색상이 달라지므로 이 점에 유의하길 바람.[전1] [전2] [舊] 舊 조촌읍사무소 소재지가 관내 법정동인 반월동이었음.[팔복동편입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