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전략적 팀 전투|전략적 팀 전투]]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78C3A><tablebgcolor=#fff,#1f2023><bgcolor=#D78C3A>
||
1. 개요
전략적 팀 전투 모드에서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아바타. 무작위 총력전에서도 장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챔피언을 따라다니는 형태로 등장한다.첫 출시 때의 명칭은 '꼬마 전설이(Little Legend)'였으나, 세트 6에서 '미니 챔피언(Chibi Champion)'이 추가되면서 '전략가(Tactician)'로 수정되었다.
2. 상세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서 이동이 가능하며 3개의 감정 표현을 쓸 수 있다.[1] 결투장에 떨어진 상자에 가까이 가게 하면 상자를 열 수 있다. 기물을 옮길 때는 전략가 역시 특유의 행동을 취하며 결투 승패에 따라 적 전략가를 공격하는 혹은 공격받는 모션, 게임 승패에 따라 승리 퍼포먼스 혹은 사망 모션이 존재한다.설정상 꼬마 전설이들은 룬테라 혹은 평행세계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생명체들이다.
기본적으로는 강도깨비라는 전략가가 주어지며, 다른 전략가는 상점에서 구매해야 한다. 전략가는 750rp, 무작위로 나오는 전략가 알은 490rp에 구매가 가능하다. 전략가 자체는 일종의 스킨 개념으로, 모든 전략가들의 이동 속도나 공격력/체력, 그 외 게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능력치의 차이는 전혀 없다.
깃털기사의 1성, 2성, 3성의 모습 |
꼬마 전설이 획득과 진화에 대한 내용
별 파편 체계
3. 시스템
3.1. 보물 왕국
보물 왕국 가이드로테이션 상점
13.10 패치로 추가된 신규 시스템. 이전에는 상술한 신화급 미니 챔피언이나 신화급 결투장을 얻기 위해서는 기간 한정에만 판매되는 특정 알을 최대 61개까지 개봉해야 했는데, 기껏 큰 맘 먹고 패키지를 질렀을 때 너무 이른 타이밍에 신화급 전설이가 떠버리면 나머지 알은 전설이를 모조리 모으는 컬렉터가 아닌 이상 잉여 애물단지가 되어버리고, 이후 새로운 신화급 전설이를 얻으려면 똑같은 양의 불확실한 천장 가챠를 돌려야 했다.
이 점을 개선한 것이 보물 왕국으로 토큰은 기존의 알을 대체하는 전용 화폐다. 보물 왕국 전용 가챠를 돌리다가 노리던 신화급 상품이 나왔다면 훗날 추가되거나 다른 보물 왕국 가챠에도 기존 토큰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이른 바 잉여로 남아돌던 알을 범용성 높은 토큰으로 대체하게 되었다고 보면 된다.
신화 메달과 왕국 보석은 상시로 보유가 가능하고 신화급 시리즈는 신화 상점에서 로테이션으로 만나볼 수 있다. 다만 자신이 원하는 시리즈가 언제 돌아올 지 모르기 때문에 얻고자 하는 신화급 시리즈가 있다면 잘 생각해보아야 한다.
4. 목록
4.1. 꼬마 전설이
꼬마 전설이 |
Little Legends |
원조 전략가인 꼬마 전설이는 전략적 팀 전투의 방대한 오리지널 구성원으로, 개별 세트(시즌)과 연결된 다양한 스킨을 갖고 있다.
별 파편으로 대부분의 변형을 레벨업할 수 있으며, 각 별 레벨에 따라 외형이 진화한다. 직접 구매할 수 있으며 종종 세트(시즌) 배틀패스의 일부로 제공된다.
4.1.1. 종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꼬마 전설이/종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꼬마 전설이/종류#|]][[꼬마 전설이/종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미니 챔피언
미니 챔피언 |
Chibi Champion |
세트 6과 함께 새로 공개된 전략가로,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들을 소형화시킨 모습을 하고 있다. 상점에서 1,900 RP 혹은 TFT 코인으로 직접 구매하거나 보물왕국에서 얻을 수 있는 보물 수정 2500개로 구매할 수 있다. 대신 기본 강도깨비처럼 등급이 존재하지 않으며, 칼바람 나락에 따라다니게 할 수도 없다.
유료 재화로 미니 챔피언을 구매할 경우, 전용 펑펑 효과가 같이 구매된다. 보상 재화인 보물 수정으로 미니 챔피언을 구매할 경우, 전용 펑펑 효과는 포함 되어있지 않으며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 상점 내용은 매 2주로 로테이션으로 변경되며 진행된다.
미니 챔피언 신화급 시리즈는 보물왕국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천장 시스템이 사라지고 신화 상점을 통해 보상 재화인 10 신화 메달을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다. 미니 프레스티지 챔피언은 25 신화 메달을 통해 구매 가능하다.
신화 상점은 매 2주로 로테이션으로 변경되며, 시즌 주인공은 3주로 구매가능 기간이 주어진다. 미니 프레스티지 챔피언의 경우 5주의 구매가능 기간이 주어진다.
신화급 전략가의 경우 다른 전략가를 처치 시 컷신이 재생되는 특수 종결자 효과를 가지고 있다[2]. 플레이어간 전투에서 상대 기물을 전부 처치한 시점에서 합산 데미지가 상대 플레이어의 남은 체력 수치 이상일 경우 곧바로 컷신이 재생되며 마무리한다. 다만 확률이 2%로 극악인데다 천장 가챠 방식이라 확정 획득은 가능하나 알을 수십 개 씩이나 까야 하다보니 운이 없으면 최대 61개까지 까야 할 수도 있으며, 십만 단위로 돈이 깨질 수 있다. 이후 미니 티모를 기점으로 보물 왕국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알에 대한 부담감이 어느 정도 줄어들었다.
일반적인 신화급 전략가의 경우 천장까지 닿는데 최대 20만원 가량이 들어가고 프레스티지 수식어가 붙은 전략가는 최대 45만원 가량의 재화를 소모해야 한다.
상대방 입장에선 특수 종결자 효과의 문제점이 있다면, 바로 패배자 입장에선 원치않아도 컷신을 봐야한다는 것이다.
신화급 전략가의 획득 방식은 수차례 바뀌었다. 최대 천장은 20만원 가량으로 현재까지도 계속 유지되고 있으나 초창기에는 전략가 알이라는 랜덤 뽑기로 최대 60회 가량 개봉해야 확정 획득이 가능했으며 이미 획득한 전략가가 많을수록 소거법으로 획득률이 올라가지만 서사급 전략가들이 매 패치마다 수없이 추가되기도 하고 쓰지도 않을 전략가가 너무 쌓이기만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이후 보물왕국이라는 시스템이 추가되어 토큰 화폐로 가챠를 돌리는 형식으로 변경되었으나 유저들이 이벤트나 무료 패스 보상으로 지급되는 토큰으로 존버하거나 운좋게 뽑아가는 것을 라이엇이 아니꼬왔는지 보상 재화를 왕국 수정과 신화 토큰으로 나누어 펑펑이 같은 부가 효과나[3] 과거 기간한정 패스에서만 얻을 수 있었던 결투장과 전략가들을 로테이션 상점으로 간간히 풀어주는 대신 신화급 전략가 등장 확률을 1%에서 0.3%로 낮췄다. 즉, 기존에 패스 구매나 토큰을 현질해가면서 뽑아오던 유저들에겐 선택폭이 넓어졌지만 무료 보상으로 뽑아오던 유저들에겐 확률 너프가 된 셈.
여담이지만 텐센트에서 운영하는 중국판 TFT에선 어마무시한 속도로 미니 챔피언들을 찍어내고 있다.[4] 본판인 글로벌 TFT는 이러한 미니 챔피언들을 퀄리티 면에서 좀 더 손보고 넘어오며 대부분 출시되는 시즌이나 이벤트 테마에 맞춰 출시되는지라 그 숫자가 뒤쳐진다. 다만 시간이 걸리더라도 어느 정도 손을 보고 넘어오는 글로벌 TFT의 미니 챔피언이 좀 더 퀄리티가 좋은 편이다. 2024년에 들어서는 호불호가 갈리더라도 미니 챔피언과 신화급 전략가를 출시하는 텀이 많이 짧아져 매 패치마다 출시되고 있다.
4.2.1. 종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니 챔피언/종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니 챔피언/종류#|]][[미니 챔피언/종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해방된 챔피언
해방된 챔피언 |
Champion Unbound |
세트 13과 함께 새로 공개된 전략가로, 2등신으로 소형화시킨 미니 챔피언과는 다르게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들을 그대로 구현한 모습을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신화급 미니 챔피언과 동일하게 다른 전략가 처치 시 컷신이 재생되는 특수 종결자 효과를 가지고 있다.
4.3.1. 종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방된 챔피언/종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방된 챔피언/종류#|]][[해방된 챔피언/종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4시즌 이후 출시되는 전략가는 감정표현을 4개씩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2] 단, 6시즌 후반기에 등장한 미니 불꽃놀이 징크스는 효과를 갖고 있지 않다. 컷신이 등장한 시점은 7시즌 미니 용술사 야스오부터이다.[3] 본래 신화급 전설이는 전용 펑펑 효과가 없었으나 이 변경점이 적용된 펭구 코스프레 트리스타나 부터 신화급 전설이에 맞춰진 펑펑 효과도 같이 출시하고 있다. 가격은 신화 토큰 2개로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4] 럭스, 아리, 애니, 야스오 등은 글로벌 서버에 출시되기 2년 전에 이미 테스트를 마치고 출시된 미니 챔피언 시리즈다. 이 쪽은 아예 틀과 시즌만 공유하는 별개의 게임이라 볼 정도로 운영 방식이 천지 차이인데, 이전 시즌 플레이도 자유롭고 기물마다 전용 이펙트까지 별개로 판매하는 극한의 장사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후 개발자에 의하면 중국판 TFT는 아예 별개의 프로그램 엔진으로 개발 및 운영하고 있어 양쪽 다 컨텐츠나 출시면에서 차이점이 생기고 있으며 이는 본 서버에만 있는 요소가 중국판 TFT에 없기도 하고 마찬가지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