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03:25:50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

파일:일본축구협회 로고.svg
일본의 축구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프로팀 참가 대회
파일:J리그 로고.svg 파일:천황배 로고.svg 파일:르방컵 로고 세로.svg 파일:후지필름 슈퍼컵 로고 세로.svg
J리그 천황배 YBC 르방컵 후지필름 슈퍼컵
프로팀 미참가 대회
파일:일본 풋볼 리그 로고.svg 파일:jrcl.png 파일:전국 사회인 축구 선수권 대회 2024시즌 사진.png 파일: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2024시즌 사진.png
일본 풋볼 리그 일본 지역 축구 리그 전국 사회인 축구 선수권 대회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파일:전국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 로고.jpg 파일:643dffcb-6834-44f6-a886-5038d3093d95.jpg 파일:sbscup_2024.png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 U-16 인터내셔널 드림컵 SBS컵
}}}}}}}}} ||
全国高等学校サッカー選手権大会[1]
전국고등학교축구선수권대회
파일:1736959187736_r69dxt_2_0.jpg
<colbgcolor=#0153a1><colcolor=#fff>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시작년도 1917년
주최 일본축구협회, 민간방송43사
참가학교팀수 48교(校)[2]
최다 우승 학교 (효고현) 미카게 시범학교(11회)
최근 우승 학교 (군마현) 마에바시이쿠에이 학원(2024년)
공식 대회 링크 파일:전국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 로고.jpg[3]
공식 후원사 토요타파일:토요타 로고.svg, 후지쯔파일:후지쯔 로고.svg, 메이지파일:Screenshot_20250116_040408_Google.jpg, 미카사파일:external/logonoid.com/mikasa-logo.png, 후지필름파일:후지필름 로고.svg, KDDI파일:KDDI 로고.svg, 테이진파일:테이진 로고.svg 등 9곳

1. 개요2. 역사3. 대회 방식4. 높은 위상과 인기5. 일반 축구에선 보기힘든 진기한 장면들6. 공인구와 시상식 수여
6.1. 대회 공인구6.2. 대회 트로피6.3. 우승 깃발
7. 역대 우승 고교8. 출신 선수9. 여담10.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전국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 로고.jpg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 공식 로고

전국고등학교축구선수권대회 또는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JFA와 민간방송43사에서 주최하는 대회로, 매년 일본에서 열리는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1917년부터 시작하여 일본에서도 상당히 역사가 깊은 축구 대회이며 매년 개최되는 일본 축구계의 고시엔 위상의 대회이다.[4]

일본 전국의 47개의 도도부현 대표[5]로 각 지역에서 우승한 학교들이 모여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 본선 무대에 출전하며 각 현의 지역 예선 대회는 일본 전국의 3천개 이상의 학교가 참가한다.

고시엔과 마찬가지로 정식 대회명이 꽤 길지만 정작 전국고교축구대회는 딱히 널리 쓰이는 줄인 약칭이 없다.

2. 역사

파일:전국 고교 축구 선수권 초창기 사진.jpg

바로 위 사진은 1935년(17회) 대회 결승전 효고현의 고베일중과 오사카부의 덴노지시범학교 결승전 경기 모습이며 고베일중이 2:1로 승리하여 우승을 쟁취하였을때의 당시 모습이다. 고베신문 기사

일본에서 제일 위상이 높은 축구협회 컵대회천황배 대회보다도 4년 더 일찍인 1917년, 다이쇼 6년에 시작하였으며 일본에서도 가장 오래된 축구 대회가 바로 이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이다.[6] 그리고 1941년부터 1945년까지는 태평양 전쟁으로 인하여 개최되지 않았으며,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한 1945년으로 부터 사회불안정 등을 이유로 2년 더 후인 1947년부터 다시 대회가 재개 되었다.

참고로 11번의 우승기록을 보유중인 현재 대회 최다 우승학교인 효고현의 미카게 시범학교는 태평양 전쟁 전이었던 1917년 초대 대회와 1931년 대회까지 20세기 초반인 근대 시대에만 11번을 몰아서 우승하고 태평양 전쟁 후 출전 팀도 늘어나고 대회의 규모도 커지면서 현대에 들어선 지금까지 우승 기록이 없다. 21세기 이후 기록으로 보면 아오모리현의 아오모리 야마다 고교가 4회 우승으로 21세기 이후 대회 최다 우승 학교이다.

3. 대회 방식

보통 대회는 연말~새해 초순에 걸쳐 치뤄지며 그로인해 토너먼트 경기는 아무래도 내년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그 경기들도 당연히 전년도 대회로 취급 된다.[7]

대회 1차전부터 3차전에서는 무승부시 곧바로 승부차기가 진행되며 토너먼트 첫경기인 8강전까지는 전후반 각각 40분 총 80분으로 진행하며 준결승전부터는 프로 경기와 같은 전후반 45분 총 90분 경기, 무승부시 연장전이 진행된다.

그 외 별도의 3/4위 결정전은 진행하지 않는다.

4. 높은 위상과 인기

파일:Screenshot_20250116_080250_YouTube.jpg
제96회 2017년 대회 결승전 모습.[8] 반대편 2층석까지 다 사람이다. 장소는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이다.동영상
제101회 2022년 대회 결승전 모습.[9]

관중수나 인기, 위상에는 일본 고교 야구의 꽃인 고시엔에 조금 밀리지만, 전국고교축구선수권의 위상도 나름 고시엔 다음이라 할 정도로 일본내에선 상당히 규모가 큰 대회라고 볼 수 있다. 고시엔처럼 고등학생 치어리더 응원단이 활성화 되어있으며 일본 스포츠 문화 특유의 응원가나 노래, 여러 퍼포먼스 등을 볼수 있다. 일본에서 내로라 하는 유명 여자 연예인들도 매번 대회 응원 매니저로 선발 될 만큼 인기가 상당하다. 대표적으로 카와구치 하루나, 히로세 스즈, 모리 나나 등이 고교선수권대회 응원 매니저로 역임한 적이 있다.

일본의 지상파 방송국인 닛테레에서도 대회를 생중계 해주며, 준결승전-결승전은 그 관심도도 더 높아지기에 무조건 지상파 중계를 해준다.[10] 거기에다 최근에 끝난 제103회째 대회인 2024년 대회 결승전에서는 무려 5만 8천명이라는 때구름 관중이 몰리면서 과거 제98회 대회 결승 당시의 최다관중수 기록인 5만 6천명 관중수의 기록을 넘고 최고기록을 달성하였을 정도로 웬만한 국가대표팀 A매치프로리그, 과장해서 말하면 작은 월드컵 급으로 대회의 위상이나 인기가 높은 편이다. 심지어 S급 실력을 가진 흔히 월드 클래스급의 유망주 스타 선수가 없어도 늘 이러한 인기를 이끌어 간다는 얘기이다. 이번 2024년 대회는 아예 태국에서도 결승전 경기를 정식 중계를 하였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매 대회때마다 일본의 고교축구 관중수에 대한 얘기가 인터넷에서 올라오는게 바로 이 대회이다.1 2 3

역대 관중 집계 기록을 시작한 제81회 대회 결승전 부터만 봐도 역대 최저 '유료' 관중수 기록2만 4937명[11]으로 일본의 스포츠 인프라가 탄탄하게 자리잡혀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들중 하나이다.[12] 이 대회의 공식 후원사들중 하나이며 세계적으로도 대기업중 하나인 도요타가 직접 스폰을 하고있기에 자금력도 빵빵한 편이다.

개회식과 개막전, 준결승전과 결승전의 개최 경기장은 수도 도쿄에서도 규모가 큰 축구/종합 경기장인 도쿄국립경기장에서 열린다. 그렇기에 학교가 소재하고 있는 동네에서 전국고교축구선수권에서 우승학교를 배출시키면 대대적으로 지역민들이 환영을 해주거나 지역의 명물로 홍보를 한다. 다만 제99회째 대회는 전세계를 강타한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최초로 무관중으로 진행되었다. 그래도 정말 아슬아슬하게 기념비적인 100회째 대회는 무관중을 피했다.

이 대회가 끼치는 파급력이 상기하였듯 어마어마하기에 고교 축구부팀의 유니폼 후원사들도 고교팀들이 직접 해당 스포츠 브랜드의 유니폼을 사입거나 하는 것이 아닌 정식 프로 클럽팀이나, 국가대표팀 후원처럼 스포츠 브랜드들이 고등학교 축구부 유니폼들을 후원하고있다. 특히 이 대회에서 이름 날려본 강호 학교들은 아예 축구부 선수단의 기숙사나 트레이닝 센터 등도 고등학교의 축구부로는 안보일 정도로 프로팀에 준하게 상당히 화려하고 규모도 크게 지으며 축구부를 지원해주는 학교들도 꽤 많다.

5. 일반 축구에선 보기힘든 진기한 장면들

두번째 영상의 썸네일이 다소 국뽕튜브 스러운건 넘어가자.

일반 축구 경기 상황에서 보기힘든 진귀한 광경을 유독 이 대회에서 자주 볼 수가 있다. 그 덕에 한국에서도 화제가 되기도 하며 세트피스 상황에서 강강술래[13] 말고도 기차놀이 등 여러 가지를 선보이기도 한다.

6. 공인구와 시상식 수여

6.1. 대회 공인구

파일:1736966728457_l6cv9d_2_0.jpg

일본의 스포츠 브랜드인 미카사의 FT550B 공인구를 사용한다.

6.2. 대회 트로피

파일:1736967266559_97275e_2_0.jpg

6.3. 우승 깃발

파일:1736959578067_stq3tc_2_0.jpg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학교 축구부의 주장 선수에게 깃발이 양도된다. 사진은 2016년 대회와 2018년 대회 당시 아오모리현 지역 우승 자격으로 출전하여 본선 대회에도 우승한 아오모리 야마다 고등학교의 우승 깃발 당시의 모습이다.

참고로 우승 깃발 가운데는 일본축구협회의 공식 엠블럼 마스코트인 삼족오가 박혀있다.

7. 역대 우승 고교

파일:전국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 로고.jpg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 역대 우승팀 결과
[ 펼치기 · 접기 ]
* 1968년(47회) 하츠시바 고교(初芝)(오사카부)파일:전국 고교 축구 선수권 대회 로고.jpg 파일:일본축구협회 로고.svg

8. 출신 선수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던 시바사키 가쿠가 아오모리 야마다 고등학교 축구부 출신으로, 대회에도 나온적이 있다. 아오모리 야마다 고교는 최근까지도 총 4번이나 우승한 강호 학교들중 한 곳이다.

9. 여담

10. 관련 문서


[1] 히라가나 표기: ぜんこくこうとうがっこうさっかーせんしゅけんたいかい
한국어: 젠코쿠 코토 갓코 삿카 센슈켄 타이카이
[2] 일본의 모든 47개의 도도부현 우승 학교 한팀씩 참가하며 수도인 도쿄도는 2교까지 참가하여 총 48교가 출전한다.[3] (구 트위터) X 공식 계정[4] 전체 인기로는 제1 스포츠인 고시엔(야구) 다음의 인기를 가지고 있다.[5] 수도 도쿄도는 2교 출전하여 총 48개팀 체제[6] 참고로 일본 구글에도 천황배가 1921년부터 시작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대회라고 나오지만 본 전국고교축구대회가 1917년에 시작하였기에 사실 틀린말이다.[7] 동남아의 월드컵이라 불리며 연말과 연초에 겹쳐 열리는 미쓰비시컵도 마찬가지이다.[8] 군마현 대표였던 마에바시이쿠에이학원 우승[9] 오카야마현 대표였던 오카야마학예관고교 우승[10] 여담으로 최근 끝난 2024년 대회 결승전 승부차기에서 닛테레가 도중 경기를 끊으며 가장 중요한 순간에... 광고를 틀면서 일본내에서 상당한 비난을 받았었다.[11] 제91회 대회[12] 야구 고시엔의 위상과 인기는 굳이 설명을 안해도 될 정도이고 전일본 배구 고등학교 선수권 대회, 일본 고등학교 농구대회인 윈터컵 등도 마찬가지로 모두 프로 경기가 아님에도 기본적으로 위상이나 인기가 높은 편이다.[13] 다만 일본 고등학교 축구 선수들이 하고 있는건 강강술래와 비슷한 일본의 전통놀이인 카고메카고메일 가능성이 더 크다.[BCC] 공동 우승[BCC] 공동 우승[BCC] 공동 우승[무관중] 코로나 바이러스 팬더믹으로 인하여 사상 처음으로 무관중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