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14:52:28

장월신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3a6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2023
온덕서랍일기
(2023)
파일:성락응성당 로고 블랙.png파일:성락응성당 로고.png
(2023)
파일:아적자위여해 시즌2 로고 블랙.png파일:아적자위여해 시즌2 로고.png
(2023)
파일:장월신명 로고.webp
(2023)
파일:호심 로고 블랙.png파일:호심 로고.png
(2023)
파일:당아비 분향니 로고.png파일:당아비 분향니 로고 white.png
(2023)
파일:투투장부주 로고 black.png파일:투투장부주 로고.png
(2023)
파일:랑군불여의 로고 블랙.png파일:랑군불여의 로고.png
(2023)
파일:남풍지아의 로고 블랙.png파일:남풍지아의 로고.png
(2023)
파일:위유암향래 로고 블랙.png파일:위유암향래 로고.png
(2023)
파일:탈궤 한글 로고 블랙.png파일:탈궤 한글 로고.png
(2023)
둘러보기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colbgcolor=#191611><colcolor=#bf8840> YOUKU 드라마
장월신명
(2023)
长月烬明 | Till the End of the Moon
파일:장월신명_한국판 포스터.webp
장르 로맨스, 판타지, 선협
원작 등라위지의 《흑월광나은BE극본 (黑月光拿稳BE剧本)》[1]
촬영기간 2021년 11월 5일 ~ 2022년 3월 31일
방송기간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2023년 4월 6일 ~ 5월 9일[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방송횟수 40부작
채널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요우쿠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아시아앤 로고.png[3]
출연 라운희, 백록, 진도령, 등위, 쑨전니
제작사 양자범오, 달달문화


<colbgcolor=#191611><colcolor=#bf8840> 제작 왕익영
연출 국각량
각본 하방, 라선
미술 루안허신
의상 황웨이
국내 스트리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왓챠 로고.svg ▶︎
파일:모아앱_임시로고.webp[4]
시청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링크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방영 일정
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음악6. 평가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동북공정7.2. OST 표절 논란7.3. 컨셉 및 포스터 표절 논란
8. 기타

[clearfix]

1. 개요

등라위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중국 드라마.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2.2. 포스터

파일:장월신명 티저포스터.jpg
파일:장월신명 커플 티저.jpg
티저 포스터
파일:장월신명 설날 포스터.jpg
파일:장월신명 520 포스터.jpg
설날 포스터 520 포스터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장월신명 2인포스터.jpg
파일:장월신명 2인포스터2.jpg
파일:장월신명 2인포스터3.jpg
}}}
파일:장월신명 메인커플 가로1.jpg
파일:장월신명 메인커플 가로2.jpg
커플 포스터
파일:장월신명 메인캐릭터 라운희.jpg
파일:장월신명 메인캐릭터 백록.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 라운희.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 백록.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 진도령.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 손진니.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 엽청우.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 등위.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라운희.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백록.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진도령.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등위.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손진니.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경업정.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정국림.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우파.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황해빙.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초순요.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장지계.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왕일비.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택직.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이패은.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라운희1.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라운희2.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백록1.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백록2.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진도령.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등위.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손진니.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경업정.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정국림.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우파.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황해빙.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초순요.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장지계.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왕일비.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진박호.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가로 왕석조.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라운희.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백록.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진도령.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등위.jpg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쑨전니.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경업정.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정국림.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우파.jpg
파일:장월신명 캐릭터 세로2 황해빙.jpg
}}}
캐릭터 포스터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1.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2.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3.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4.jpg
명야 최초의 봉황 직택 물의 신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5.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6.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7.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8.jpg
해의 신 달의 신 금의 신 흙의 신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9.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10.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11.jpg
파일:장월신명 12신 포스터 12.jpg
불의 신 바람의 신 번개의 신 나무의 신
파일:장월신명 12신 단체.jpg
12신 포스터
파일:장월신명 단체포스터 세로.jpg
파일:장월신명 단체포스터 가로1.jpg
파일:장월신명 단체포스터 가로2.jpg
파일:장월신명 단체포스터 가로3.jpg
단체 포스터

2.3. 방영 일정

파일:장월신명 방영일정.jpg

3. 시놉시스

마신의 통치로부터 삼계 사대주를 구하기 위해 형양종 장문의 딸 려소소는 500년 전으로 돌아가 아직 사념에 완전히 잠식당하지 않은 담태신이 마신으로 부활하는 것을 막으려고 한다. 하지만 운명의 장난처럼 려소소는 성국 엽소 대장군의 막내딸 엽석무의 몸에 들어가고, 자신이 성국에 볼모로 잡혀 있는 담태신과 혼인한 사이임을 알게 된다. 엽석무(려소소)와 담태신은 부부로 지내면서 서로 정이 들고 결국 자기 한몸을 희생해 담태신과 세상의 운명을 바꿔놓는다. 사랑하는 여인을 잃은 담태신은 유명천에서 500년 동안 엽석무의 원신을 찾아 헤맨다. 죽기 직전에 선문에 의해 구조된 담태신은 선문 제자가 되고 개과천선한 후 오매불망 그리던 엽석무와 재회하게 되는데...
아시아앤 블로그

4.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 음악

장월신명 OST

6.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5.6 / 1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3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74%


무난하게 흥행에 성공했다. 다만 6000만뷰를 넘은 높은 유효뷰수에 비해 화제성은 무난한 편이었다. 비슷한 뷰수를 기록했던 재작년과 작년의 타 드라마들에 비해 크게 화제가 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후반부로 갈수록 중구난방이었던 편집과 사라진 분량, 또한 산으로 가는 내용 문제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올해 방영된 타 드라마들과 비교해 대박은 아니지만 단순 뷰수만으로도 평균 이상의 흥행이다.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동북공정

파일:장월신명_망건.webp
파일:장월신명 망건2.gif
31화에서, 돈만 주면 무엇이든 하는 떠돌이 용병이 쓰고 있는 망건이 한국식이다. 중국식 망건은 머리 전체를 양파망처럼 감싸고 칠하여 굳힌 불투명한 형식인데 반해, 드라마에 나온 망건은 이마만 가리고 투명한 전형적인 조선 망건이다. 배우 팬들이 이 역시 중국에서도 이마에 망건을 쓰는 장면이 나온다며 다른 중국 드라마 장면을 증거로 쓰며 주장하여 중드 팬 사이에서 비웃음을 샀는데, 만드는 재질 및 이에 따른 투명성 등 질감이 다르다는 기본을 무시한 주장이기 때문.

또한 현재 한국 사극에서 이마 중심에 두르는 망건도 사실은 각색한 것으로 본래 망건은 그보다 위쪽을 두르는 것이 정석이었다. 사극에서 그대로 하기엔 다소 폼이 안 나는 등(...) 사정으로 이마 중간에 하는 식으로 나오는 것이다. 실상은 조선식 망건도 선물 등으로 중국으로 역수출되기도 했지만 보편적으로 쓰이지도 않았고, 문제의 드라마에 나오는 것도 원래 망건 위치 대신 한국 사극식 방식을 쓰는 것이라 빼박. 관련 기사
파일:장월신명_젓가락 동북공정.webp
뿐만 아니라, 19화에서 남자주인공 담태신이 쇠로 된 젓가락을 쓰는 장면이 나온다. (참고로 쇠젓가락은 한중일 중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사용한다.) 중국인들은 둥근 식탁 중앙의 큰 접시에 중요 음식들을 두고 각자 자기 그릇에 덜어먹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멀리 음식을 잡기 위해 길쭉한 나무 젓가락을 사용한다. 그리고 주요리는 튀김이나 기름진 음식 등 기름진 음식이 많기 때문에 열 전달이 잘되고 미끌미끌한 쇠는 젓가락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은젓가락도 마찬가지다. 중국에서는 음식의 독 검사에 은젓가락보다는 주로 은침을 사용했으며, 무엇보다 은젓가락도 조선식이라고 볼 수 있기에 어찌됐든 동북공정이다. 한반도에서는 왕이 은젓가락을 쓰는 것을 동경해 백성들도 비슷한 쇠저를 쓴 것 등 여러 근거가 있고, 가벼운 나무 젓가락을 사용하던 중국에서는 쇠나 은젓가락이 무겁다, 미끄럽다는 이유로 익숙해지지 않아 쓰는 것 자체를 불편해했기 때문.
"중국에서 남북조시기 이후 발견되는 금속제 젓가락은 대부분이 은젓가락이다(...) 하지만 중국에서 금속제 젓가락은 발견되는 사례가 극히 드물어 실용적 목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출처
중국에 은젓가락이 존재하기는 했으나, 실생활에선 거의 쓰이지 않은 장식용으로 생각하면 편하다. 당연히 은젓가락이든 뭐든 금속 젓가락은 민간, 귀족 할 것 없이 아예 쓰이지 않았다는 소리. [10]

더군다나 위의 장면에 나온 젓가락은 유독 길이가 긴데, 한국식 쇠젓가락에 길쭉하고 끝이 뭉툭한 중국 젓가락의 특성을 합친 것을 보아 중국식으로 둔갑시킨 것이나 다름없다. 오죽하면 일본과 중국의 관광객들이 꼭 사가는 한국 물품에 쇠젓가락이 있을 정도. 위의 망건과 다르게 한복이 아닌 또다른 문화를 건드려서 반응이 좋지 않다.

그리고 위의 두 장면은 논란을 의식한 한국 방영사에서 편집하여 방영하였고, 결국 한국판에서만 동북공정 내용을 찾아볼 수 없어 눈가리고 아웅이라는 한국 시청자들의 반발을 샀다.

7.2. OST 표절 논란

25화에서, OST로 흘러 나온 노래가 중국의 게임 음양사의 OST를 표절했다는 의혹이 일었다. 음양사의 제작사인 넷이즈 측과 장월신명의 제작사 측은 각각 확인해 보겠다고 답했으며, 넷이즈 측에서는 후에 공식 웨이보를 올렸다. 일단 음악이나 영상 등의 저작권과 관련된 라이센스를 사용하겠다고 장월신명 측에서 접촉해 온 적은 없으며, 법무팀과 함께 저작권 침해와 관련해서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자 게임 플레이어들은 OST뿐만 아니라 컨셉적인 측면에서도 표절이 의심된다며 말을 꺼내기 시작했다.

반면 드라마 측에서는 일단 문제의 음악을 교체하고, 결과가 나오면 다시 공지하겠다고 답했다. 현재 진행중인 일이라 아직 결과가 확정되지는 않았다.

7.3. 컨셉 및 포스터 표절 논란

파일:장월신명 음양사 비교2.jpg
파일:장월신명 음양사 비교.jpg
상술한 음양사 OST 표절 논란이 커지면서, 해당 게임 이용자들이 음양사의 건물과 캐릭터 이미지도 장월신명 측에서 표절했다는 것을 찾아내며 논란이 일었다. 상단의 사진을 보면, 제일 위 신의 형상은 흔하지만, 두번째 건물의 모습은 거의 동일하다. 이에 더해, 메인 캐릭터의 포스터 구도도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파일:장월신명 음양사 비교3.webp
물론 봉황 캐릭터와 위의 옷과 악기도 흔한 편이지만, 하나의 게임에서 OST, 건물이 동일한 경우라 같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정리하자면, 모두 흔한 구도에 흔한 구도, 흔한 자세라고 볼 수 있지만, 하필이면 두 캐릭터가 모두 봉황을 모티프로 하는데다가 모두 같은 게임이고, 건물 모양도 동일하며, 그 게임의 OST까지 표절 의혹이 있어서 더욱 논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이 게임은 중국 게임이다(!) 이 사항에 대해 아직 제작사 측에서 밝힌 입장은 없다.

8. 기타



[1] 국내 미정발[2] 유쿠 유료 회원 한정.[3] MOA앱에서 저작권을 샀는데, 이 모아앱이 아시아앤 자체 어플이라 아시아앤이라고 봐야 한다.[4] 모바일 아시아앤 플랫폼인 MOA앱 예정이다[우정출연] [특별출연] [7] 가뭄을 일으키는 전설상의 괴물[특별출연] [우정출연] [10] 국내에서도 이 드라마와 주인공 일부 팬들이 황제와 귀족 등은 독살 때문에 은젓가락을 사용했다고 필사의 실드를 치며대체 왜? 동북공정이 아니라고 옹호하지만, 출토된 유물이나 기록 등 증거가 너무 없는 데다 여타 중국 고장극에도 황제나 황족이 은젓가락 사용한다는 고증은 거의 없다. 역사적 근거나 현실 배경 고장극도 그런데, 가상 세계인 드라마에서 굳이 은젓가락을 썼을 것이라는 것 역시 억지스러운 부분. 중요한 건 장월신명 중국 팬이나 동북공정 파들조차 중국 황제는 은젓가락을 썼다고 주장하지 않고 드라마 제작사도 이것이 독살 방지 은젓가락이라고 확언해주지 않았다. 그걸 국내에서 한국인 팬들이 앞장서 은젓가락이라 외치며 창조 실드 중이라는 것(...)[11] 각각 번개의 신과 바람의 신[12] 모아에서 단독으로 공개한 드라마는 현재까지 침향여설이 있다.[13] 라운희 또한 이 드라마의 논란에 휘말리면서 전작 '량언사의'에서 김장을 하는 장면에 직접 나와 동북공정 드라마에 출연한 전적이 회자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 장면이 필사적 편집 후 방영했지만 진행상 완전히 삭제되지 않아서 동북공정 드라마 수입 논란을 가열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