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라이트 노벨 작안의 샤나의 애니메이션. J.C.STAFF 제작, TVA인 1기와 Second, Final(각 2쿨 24화)과 OVA 두 시리즈 및 극장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TVA로 1, 2, 3기를 모두 방영한 방송국은 MBS가 유일하다. 특히 2기의 경우는 주관제작.애니메이션 제작 과정에서 원작 소설은 불변의 교범이라기 보다 if 아이디어를 다른 미디어로 표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바이블이라 하여, 원작에는 없는 설정이나 전개, 캐릭터 등이 등장한다. 또한 프로듀서 카와세 코헤이는 애니화에서 가장 중요시 해야 할 것은 '원작의 '공기', '분위기'를 어떻게 표현하냐는 것이라 발언했으며, 캐릭터의 작화가 비슷하냐와 스토리를 원작대로 진행하느냐는 한 요소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원작 소설에 비해 학원물의 성격이 강화된 것이 특징. 완전무결 츤데레 샤나의 이미지도 사실상 애니메이션에서 만들어진 것. 다만 3기는 원작의 흐름을 최대한 반영하다보니 학원물의 성격은 거의 사라졌다.
샤나 1기 직후에 방영된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의 신드롬에 묻힌 느낌이 강하기는 하지만 샤나의 애니화 이전에는 극소수만이 드문드문 제작된 라이트 노벨 원작물이 이 애니메이션의 흥행 이후로 우후죽순으로 쏟아지다 보니 라이트 노벨 원작의 애니메이션화의 흐름에 있어서도 알게모르게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000년대 중반 이후에 진행된 미소녀 배틀물 열풍에 크게 이바지했다는 평.
2. TVA
2.1. TVA 1기: 작안의 샤나
2.2. TVA 2기: 작안의 샤나 Ⅱ
2.3. TVA 3기: 작안의 샤나 Ⅲ-FINAL-
3. OVA
3.1. 작안의 샤나SP
부제는 사랑과 온천의 교외학습. 2006년 12월 8일 발매.
당시 극장판 이외의 후속작이 아직 계획되지 않은 상태라 TV 1기의 확장격 오리지널 스토리였다.
(정확히는 TV 1기 13화 직후)
타이틀만 보면 샤나와 요시다를 앞세운 서비스 전개를 상상할 수 있겠지만 이는 낚시! 주 내용은 급우 오가타 마타케가 주역으로 다나카 에이타와의 진도에 고민하고 매저리 도에게 조언을 듣는 내용이다. 온천합숙 내용답게 온천신도 나오지만 부차적 전개에 불과하다.
당시 극장판 이외의 후속작이 아직 계획되지 않은 상태라 TV 1기의 확장격 오리지널 스토리였다.
(정확히는 TV 1기 13화 직후)
타이틀만 보면 샤나와 요시다를 앞세운 서비스 전개를 상상할 수 있겠지만 이는 낚시! 주 내용은 급우 오가타 마타케가 주역으로 다나카 에이타와의 진도에 고민하고 매저리 도에게 조언을 듣는 내용이다. 온천합숙 내용답게 온천신도 나오지만 부차적 전개에 불과하다.
3.2. OVA: 작안의 샤나 S
작안의 샤나 S (2009~2010) 灼眼のシャナ S | |||
| |||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학원, 연애, 판타지, 배틀 | |
원작 | 타카하시 야시치로 | ||
감수 | |||
원작 일러스트 | 이토 노이지 | ||
감독 | 와타나베 타카시 | ||
시리즈 구성 | 코바야시 야스코 | ||
캐릭터 디자인 | 오오츠카 마이 | ||
프롭 디자인 | 타카세 켄이치 | ||
미술 감독 | 히로세 요시노리(廣瀬義憲)1, 2화 쿠와하라 사토루(桑原 悟)3, 4화 | ||
색채 설정 | 이토 유키코(伊藤由紀子) | ||
촬영 감독 | 후쿠요 신고 | ||
편집 | 니시야마 시게루(西山 茂) |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 ||
음악 | 오오타니 코우(大谷 幸) | ||
프로듀스 | 카와세 코헤이(川瀬浩平) 마츠쿠라 유지 코야마 나오코(小山直子) | ||
프로듀서 | 미키 카즈마 나카야마 노부히로(中山信宏) 호소카와 오사무(細川 修)1화 히다카 이사오(日高 功)2~4화 |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타베야 마사히로(田部谷昌宏) | ||
애니메이션 제작 | J.C.STAFF | ||
제작 | 『작안의 샤나 S』 제작위원회 | ||
공개 기간 | 2009. 10. 23. ~ 2010. 09. 29. | ||
방송국 | |||
편당 러닝타임 | 25분 | ||
화수 | 4화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3.2.1. 음악
3.2.1.1. 주제가
3.2.1.1.1. OP
OP Prophecy | |||
OVA ver. | |||
MV ver. | |||
<colbgcolor=#dc143c,#dc143c><colcolor=#ffffff,#ffffff> 노래 | 카와다 마미 | ||
작사 | |||
작곡 | 나카자와 토모유키 | ||
편곡 | 나카자와 토모유키 오자키 타케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c143c,#dc143c><colcolor=#ffffff,#ffffff> 콘티 | 와타나베 타카시 | |
연출 | |||
일러스트 | 오오츠카 마이 | ||
원화 | 스도 토모노리, 이이즈카 하루코, 카토 츠루기 등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1.1.2. ED
ED All in Good Time | ||
Full ver. | ||
<colbgcolor=#dc143c,#dc143c><colcolor=#ffffff,#ffffff> 노래 | 카와다 마미 | |
작사 | ||
작곡 | 나카자와 토모유키 | |
편곡 | 나카자와 토모유키 오자키 타케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1.2. 삽입곡
삽입곡 portamento | ||
Full ver. | ||
<colbgcolor=#dc143c,#dc143c><colcolor=#ffffff,#ffffff> 노래 | 카와다 마미 | |
작사 | ||
작곡 | 나카자와 토모유키 | |
편곡 | 나카자와 토모유키 오자키 타케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3.2.2.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fffff>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공개일 |
01 | リシャッフル Reshuffle | 시라네 히데키 (白根秀樹) | 와타나베 타카시 | 진보 마사토 | 이모토 유키 (井本由紀) 아카오 료타로 (赤尾良太郎) 노리미 소노미 (のりみそのみ) | 오오츠카 마이 | 2009.10.23. |
02 | ドミサイル Domicile | 치바 타카히로 누마타 세이야 | 2010.02.26. | ||||
03 | オーバーチュア 前編 Overture (Part I) | 코바야시 야스코 | 이지마 케이코 (井嶋けい子) 하야카와 카즈코 (早川加寿子) 카토 마유코 (加藤万由子) 사노 에리 (さのえり) 오가와 코지 (小川浩司) 오오츠카 마이 | 2010.06.25. | |||
04 | オーバーチュア 後編 Overture (Part II) | 하세가와 미치오 (長谷川亨雄) 데노 요시노리 (出野喜則) 노다 메구미 (野田めぐみ) 오오시마 미와 타카하라 슈지 (高原修司) 이시노 히로카즈 (石之博和) 노리미 소노미 | 2010.09.29. |
4. 해외 공개
4.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2000년대 J.C.STAFF 전담 채널 애니맥스를 통해 1기가 2007년 12월 20일부터 2008년 1월 22일까지 매주 월~수요일에 방영되었는데 배정미가 맡은 샤나의 목소리 연령대가 캐릭터와 상당히 이질감이 있어서 성우 팬들에게도 상당히 까였다. (샤나 항목 참조) 게다가 배정미는 역시 애니맥스에서 방영했던 슈발리에에서 히로인인 리아 드 보몽을 맡았는데, 슈발리에가 끝난 후 그 시간대에 편성된 작품이 작안의 샤나. 덕분에 또 애니맥스식 캐스팅이냐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더빙 퀄리티는 당시 애니맥스 작품 대부분이 그랬지만 그리 좋지는 않았다. 위에 언급한 대로 주인공인 샤나의 미스캐스팅 논란이 있었고 음향 상태도 썩 좋지는 않아서 배경음이 캐릭터 목소리에 비해 상당히 작았고 21화에서는 성여전의 등장 때 아라스톨과 샤나의 대화에서 샤나의 음성까지 아라스톨과 같은 홍세의 왕에게 적용하는 음향 효과 처리를 하는 등 연출도 영 좋지 않았다. 피가 나오지 않더라도 절단되거나 칼 등에 몸을 관통당하는 장면은 거의 잘렸고 애염의 남매의 키스신도 잘리는 등 편집도 상당했다.[1] 중복 캐스팅도 꽤 심해서 박신희가 마리안느, 소라토, 티아마트, 헤카테, 홍범기가 이케 하야토, 위네, 도미노, 1화의 도깨비불(린네) 4개 캐릭터를 맡아서 가장 많이 중복당했고, 이용신은 히라이 유카리, 티리엘, 빌헬미나 카르멜의 3개 캐릭터, 서문석은 라미, 오르곤, 베헤모트 3개 캐릭터를 맡았다.
오역도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처럼 대사의 내용 자체를 왜곡하는 발번역은 아니지만 오역이 간간히 보였다.[2]
1기에 이어 2기는 애니맥스에서 매주 월~목요일에 한국어 더빙으로 방영되었으나 더빙 퀄리티는 전작 1기에 이어 혹평을 받았다. 또한 중복 캐스팅 문제도 여전해서 곽윤상, 박찬희, 이동은, 하미경 등이 추가로 각각 이스트에지, 카샤, 나카무라 키미코, 메아 등을 맡으면서 결국은 중복 캐스팅 대열에 끼었다.
다만 오역 문제는 상당한 개선을 보였는데, 블루트 사우거를 빼면 오역은 정상화되었고 편집이 극히 일부 장면의 모자이크 처리 정도로 이루어졌고[3] 음향 상태도 개선되었다.[4] 다만 전술한 추가 캐릭터를 게스트 성우 하나 없이 기존 성우진만으로 때워서 중복은 더 심해졌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워낙 잠깐 나왔다가
5. 극장판
2007년 4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개봉
1권 내용을 재구성하여, 유지와 샤나의 만남부터 프리아그네 토벌까지의 스토리를 다루었다.[5] 이는 전격문고 무비 페스티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키노의 여행 극장판 -For You-[6], 이누카미! THE MOVIE[7]와 같이 3작품이 동시 개봉되었다. 같은 내용의 세 번 반복이었던 탓에 지금은 그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극장판 상영 이후 TV2기 제작이 결정되었다. OST는 그나마 아는 사람은 아는 명곡으로 남았다.
1권 내용을 재구성하여, 유지와 샤나의 만남부터 프리아그네 토벌까지의 스토리를 다루었다.[5] 이는 전격문고 무비 페스티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키노의 여행 극장판 -For You-[6], 이누카미! THE MOVIE[7]와 같이 3작품이 동시 개봉되었다. 같은 내용의 세 번 반복이었던 탓에 지금은 그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극장판 상영 이후 TV2기 제작이 결정되었다. OST는 그나마 아는 사람은 아는 명곡으로 남았다.
5.1. 주제가
- 주제가 천양을 달리는 자들(天壌を翔る者たち)
- 작사: KOTOKO
- 작곡: 타카세 카즈야
- 편곡: 타카세 카즈야
- 노래: Love Planet Five[8]
- 레이블:제네온 엔터테인먼트
6. 평가
액션 씬은 J.C.STAFF 작품이 대개 그렇지만 좀 부실하다. 오죽하면 작안의 샤나 최고의 전투 장면은 오프닝에 있다고 할까. 그래서 오프닝에 제작비를 다 썼냐는 비아냥까지 나왔으며 리즈 시절의 애니갤이나 카페 등지에선 "작붕의 샤나"라고 부르기도 하였다.구성에 대해서도 말이 좀 많은데 프리아그네의 최후[9], 2기에서 등장해 2기의 평가를 말아먹는데 일조한 코노에 후미나라는 오리지널 캐릭터, 1, 2기의 완결 부분, 그 외 몇몇 설정(히라이 유카리가 무리에게 잡아먹혀서 토치가 된 시점, 사카이 유지와 사토 케이사쿠의 교우관계, 유지가 홍세의 왕 수준의 존재의 힘을 보유하게 된 계기 등)이 소설과 다르다. 다만 3기는 원작과 약간의 차이가 있긴 했으나 최대한 원작을 따라갔다.
7. 작안의 샤나땅
애니메이션 DVD/BD 초회판에 특전으로 수록된 단편 부록으로 캐릭터를 SD화시켜 속성(츤데레, 메론빵 등)을 극대화시켰으며, 네타 요소가 만재한 것이 특징.
나름대로 애니화의 전통으로 자리잡았고, J.C.Staff가 재미를 들였는지 이후의 간판작인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의 DVD/BD에도 부록으로 어떤 마술의 인덱스땅 시리즈를 제작 수록하였다.
나름대로 애니화의 전통으로 자리잡았고, J.C.Staff가 재미를 들였는지 이후의 간판작인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의 DVD/BD에도 부록으로 어떤 마술의 인덱스땅 시리즈를 제작 수록하였다.
- 작안의 샤나땅(しゃくがんのシャナたん) : TV 1기 DVD 1권 수록 DVD매거진1
- 작안의 샤나땅 리턴즈(しゃくがんのシャナたん りたーんず) : TV 1기 5권 수록 DVD매거진2
정좌정상의 헤카테땅(頂のヘカテーたん) : 전격문고 발행 공식 가이드 '애니메이션 작안의 샤나의 모든것' 부록DVD매거진- 작안의 샤나땅 극장공개직전편(灼眼のシャナたん -劇場公開直前編-) : OVA SP 수록 극장판공개직전 스페셜
- 작안의 샤나땅 극장판(灼眼のシャナたん@劇場版Ver) : 극장판 디렉터즈컷 DVD 특전
- 작안의 샤나땅 비긴즈(しゃくがんのシャナたん びぎんず) : TV 2기 DVD 1권 수록 스페셜1
- 작안의 샤나땅&요시다 -코노에 후미나의 역습-(しゃくがんのシャナたん&吉田 -近衛史菜の逆襲-) : TV 2기 DVD 5권 수록 스페셜2
- 작안의 샤나땅 리벤지(灼眼のシャナたん リベンジ) : '애니메이션 작안의 샤나II의 모든것 부록 DVD매거진
- 작안의 샤나땅G, 2dos, 3tri, FRONTIER : OVA S 수록 특전 전4권에 1편씩
- 작안의 샤나땅 파이널 디스트럭션(灼眼のシャナたん ふぁいなるですとらくしょん) : TV 3기 2권 수록
- 작안의 샤나땅 파이널 디스트럭션2(灼眼のシャナたん ふぁいなるですとらくしょん2) : TV 3기 6권 수록
ㄴ부제 => * 만조의 카르멜씨(バンジョウのカルメルさん) : 극장판상영시 공개
[1] 21화에서 샤나가 빌헬미나의 리본 창에 몸이 꿰뚫린 장면은 어째서인지 편집되지 않았으나 22화 도입부와 회상에서 같은 장면이 나왔을 땐 잘렸다.[2] 예를 들면 샤나의 무기인 보구 니에토노노샤나를 니에토노'의' 샤나로 '번역'하거나 플레임헤이즈를 일본어 발음 그대로 프레임헤이즈로 썼다거나 마르코시어스의 이명 유린의 조아를 유린의 마수로 번역하는 등. 또한 보구 블루드 자우거(Blut Sauger, 흡혈귀라는 뜻의 독일어)는 영어식으로 읽어서 블루트 사우거가 되어버렸다.[3] 편집이 덜 가해진 것 외에도 1기보다 학원물 성향이 더 강해진 2기에서는 편집할만한 부분이 상당히 줄어든 것도 이유. 8화 초반의 머리가 터지는 장면이나 중간에 매저리 도의 나체가 드러나는 장면은 삭제되었지만 그 외에는 삭제까지 가해야 할 정도로 수위가 높은 장면도 없었다. 하지만 아이캐치 삽화는 처음 부분만 남기고 다 잘렸고 이 때문에 아이캐치 삽화가 많이 나오는 7화는 좀 많은 부분이 잘렸다. 1기에서는 안 잘리고 전부 그대로 나왔다.[4] 다만 마이크 상태는 (1기 때도 그랬지만) 썩 좋지는 않아서 다른 캐릭터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샤나의 성우인 배정미의 하이톤을 감당할 수 없었는지 샤나가 기합을 내지르거나 소리지르는 장면에서 음이 뭉개지는 현상이 있었다.[5] 원작과의 차이점이라면 매저리 도가 이 시점에서 일찌감치 등장한다는 것.[6] 샤프트 제작[7] 세븐아크스 제작[8] KOTOKO, 카와다 마미, 시마미야 에이코, 우타츠키 카오리, MELL로 구성된 5인조 I've 스페셜 유닛[9]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홍세의 왕 중에서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강대한 힘을 가졌으나 단순히 재수가 없어서 절대적인 존재에게 끔살당한 원작과는 달리 매우 허무하게 사망한다. 참고로 이 원래 전개는 극장판에서 재현되었다. 원작 전개의 애니메이션을 보려면 극장판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