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1 03:53:12

이진익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8985, #009893 20%, #009893 80%, #028985);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능창대군 인평대군 복녕군 의원군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안흥군 이진익 이병순 이낙중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이연응 이재극 이인용 이수길
제13대 제14대
이한주 이덕
}}}}}}}}}

대궁 제6대 궁주
조선 인조의 5대손
이진익 | 李鎭翼
본관 전주(全州)
이름 진익(鎭翼)
생부 안흥군
생모 문화 류씨[1]
부인 청풍 김씨[2]
자녀 3남 1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이병순(李秉淳, 1746 ~ 1810)
차남 - 이병원(李秉源, 1752 ~ 1822)[3]
삼남 - 이병준(李秉浚, 1755 ~ 1799)
1녀 - 류함(柳諴)의 처
묘소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
생몰
기간
음력 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
양력 1728년 10월 27일 ~ 1796년 6월 1일
1. 개요2. 생애3. 사후4. 가족과 후손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 인평대군의 현손으로, 대궁의 6대 종주이다. 남연군의 친조부, 흥선대원군의 친증조부, 고종의 친고조부이다.

2. 생애

1728년(영조 4년) 한양에서 태어났으며, 1753년(영조 29년) 진사 시험에서 2등으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765년(영조 41년) 인평대군 제사를 모시는 봉사손 자격으로 음서제의 혜택을 받아 관직에 올랐고,[4] 1773년(영조 49년) 돈녕부 도정이 되었으며,[5] 영조의 명으로 인평대군의 문집을 정리했다. 그 후 경주부윤, 영월군수 등을 역임했으나, 1780년(정조 4년) 직무 불성실로 탄핵을 받았다.[6] 1793년(정조 17년) 1계급 승진했고, 1794년(정조 18년) 장단부사로 부임했으나, 조세 업무를 향리와 아전에게 맡겼다는 이유로 다시 탄핵을 받았다.[7]

3. 사후

1796년(정조 20년)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67세.[8]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에 안장되었다. 이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혈통상 현손인 고종이 즉위한 후인 1864년(고종 1년) 1월 10일에는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다.

4. 가족과 후손

청풍 김씨 김도건의 딸 사이에서 3남 1녀를 두었다. 대궁 종주를 이은 장남 이병순은 2남을 낳았으며, 이병순의 장남 이낙중의 장손이 훗날 친일파가 된 궁내부대신 이재극이다. 차남 이병원은 5남(적자 3남, 서자 2남) 1녀를 두었으며, 적차자 이채중은 사도세자의 서2남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하여 남연군이 되었다. 남연군의 4남이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의 차남이 고종으로, 조선 최후의 왕통이 이진익의 혈통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병준은 1남 2녀(적녀 1녀, 서녀 1녀)를 보았고, 이진익의 딸은 전주 류씨 류함과 혼인했다.
[1] 류집(柳潗)의 딸.[2] 김도건(金道健)의 딸.[3] 고종의 친증조부.[4] 출처: 《영조실록》 106권, 영조 41년 12월 5일 병오 2번째기사, 〈성혼·윤집·인평 대군의 봉사손을 녹용토록 하다〉[5] 돈녕부는 종친부에 속하지 않은 종친과 외척과 관련된 사무를 관장하는 관서로, 도정은 정3품 당상관이다.[6] 출처: 《정조실록》 10권, 정조 4년 12월 21일 을축 1번째기사, 〈영남 암행 어사 이시수가 관리들의 부정·대구 영의 고리대업·환곡과 시노의 폐단 등으로 서계하다〉[7] 출처: 《정조실록》 41권, 정조 18년 11월 16일 경자 1번째기사, 〈경기 각읍의 암행 어사와 적간 사관에게 별도로 내린 유시. 여러 어사와 사관의 결과 보고〉[8]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로 69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