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2025-26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ddd | <colbgcolor=#074ca1><colcolor=#fff> 감독 | 김상우 |
코치 | 고준용 · 지태환 | |
스태프 | 유재안 · 이승윤 · 박성주 · 장진석 · 안태일 · 김택민 · 박태영 · 이희범 · 박준영 | |
아웃사이드 히터 | 1 김우진 '''[[주장| C ]] · 9 황두연 · 17 이윤수 · 21 최현민 · 26 함형진 · 77''' 송명근 | |
아포짓 스파이커 | 6 아히 · 12 이현진 · 75 김요한 | |
미들 블로커 | 7 박지윤 · 11 양수현 · 13 김준우 '''[[부주장| VC ]] · 15''' 손현종 | |
세터 | 2 도산지 · 3 노재욱 · 8 이재현 · 22 박준서 | |
리베로 | 4 조국기 · 10 나두환 · 99 박유현 | |
군 입대 | ''' 2024년 입대 양희준 · 이상욱 · 박찬웅 2025년 입대 ''' 안지원 · 이호건 | |
타 V-리그 남자부 구단 명단 |
이재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재현의 수상 이력 | ||||||||||||||||||||||||||||||||||||||||||||||||||
| |||||||||||||||||||||||||||||||||||||||||||||||||||
이재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등번호 6번 | ||||||||||||||||||||||||||||||||||||||||||||||||||
최익제 (2022~2023) | → | 이재현 (2023~2025) | → | 결번 |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등번호 8번 | |||||||||||||||||||||||||||||||||||||||||||||||||||
막심 (2025) | → | 이재현 (2025~) | → | 현역 |
}}} ||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No.8 | |
이재현 Lee Jae-hyeon | |
출생 | 2002년 11월 2일 ([age(2002-11-02)]세) |
국적 |
|
학력 | 연현중 - 수원수성고 - 중부대 |
포지션 | 세터 |
신체 | 180cm, 80kg |
프로 입단 | 2023-24 V-리그 2라운드 7순위 (삼성화재) |
소속 구단 |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2023~ ) |
링크 |
1. 개요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소속의 세터.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중부대 시절 주전 세터로 활약했다.2.2.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시절
중부대 3학년을 마치고 얼리드래프트를 신청하여, 2023-24 시즌 신인 드래프트 2라운드 7순위로 삼성화재에 지명되었다.2.2.1. 2023-24 시즌
주로 원포인트 서버로 출전하다가 12월 5일 현대캐피탈전에서 노재욱의 백업 세터로 출전해서 2세트에서 프로 첫 득점을 서브 에이스로 득점을 올렸다. 또한, 3세트에는 김정호가 디그로 올린 공을 오픈 득점으로 연결하며 개인 첫 공격 득점까지 성공시켰다.1월 19일에는 노재욱과 이호건이 모두 부상으로 이탈하며 처음으로 주전 세터로 나섰는데, 기복이 있었지만 나름 담대한 모습을 보이며 3:2 풀세트 승리를 견인했다.
시즌 후 2023-24 V-리그 시상식에서 남자부 신인상을 받았다. 2005 시즌 非 1라운더[1]로는 최초로 신인상을 받은 하현용 이후 19년 만에 남자부 非 1라운더[2] 신인상을 받은 선수가 되었다.[3]
2.2.2. 2024-25 시즌
소포모어 징크스를 제대로 겪었는지 단 2경기에 출전하는데 그쳤다. 시즌 개막전에 출전한 이후 한동안 엔트리에조차 포함되지 않았다가 6라운드 현대캐피탈과의 경기에서 복귀했다.2.2.3. 2025-26 시즌
등번호를 6번에서 8번으로 변경했다.3. 플레이 스타일
작은 신장이지만 왼손잡이라는 이점이 있고 빠른 토스 구사가 가능하며, 속공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또한 스파이크 서브를 구사할 수 있고 황동일이 연상될 정도로 공격을 자주 시도한다.
4. 시즌별 성적
5. 여담
- 부모님이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식당을 운영한 적이 있다.
6. 역대 프로필 사진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 |||
<nopad> | <nopad> | ||
2023-24 시즌 | 2024-25 시즌 |
7. 관련 문서
[1] 3라운드 1순위[2] 2라운드 7순위[3] 이 외에도 여자부에서는 흥국생명의 박현주가 2019-20시즌 여자부 非 1라운더 출신(2라운드 1순위)으로는 최초이자 남녀부를 통틀어 두번째로, 뒤를 이어 2021-22시즌에는 한국도로공사 이윤정이 여자부 최고령이자 非 1라운더 출신(2라운드 2순위)으로는 남녀부를 통틀어 세번째로, 2022-23시즌에는 정관장(당시는 KGC인삼공사)의 최효서가 여자부 최초의 리베로 출신이자 非1라운더(2라운드 6순위) 출신으로는 네번째로 신인상을 받았다. 따라서 이재현은 남자부 非1라운드(2라운드 7순위) 출신으로는 두번째이자 남녀부 통틀어 다섯번째로 신인상을 받았다.[4] 마침 김상헌 응원단장의 소속 구단이 삼성 라이온즈와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다. 하지만 응원가는 공유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