畝 이랑 무/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田,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ホ, ボウ | ||||||
일본어 훈독 | うね, せ | ||||||
亩 | |||||||
표준 중국어 | m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畝는 '이랑 무/묘'라는 한자로, '이랑'을 뜻한다.토지의 넓이나 길이의 단위[1]로도 쓰이며, 현대 중국에서도 민간에 1亩(畝)=666.7m²로 설정하여 사용된다.
이 단위가 명시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한서 식화지(食貨志)로, '六尺為步, 步百為畝, 畝百為夫, 夫三為屋, 屋三為井, 井方一里, 是為九夫'라는 구절이 있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755D로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WNO(卜田弓人)로 입력한다.본자는 畮로, 훈을 나타내는 田(밭 전)과 음을 나타내는 每(매양 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每에서 𠂉가 十로, 母가 久로 뭉개져서 畞의 형태가 되었다가, 十이 또 亠로 간화되고 왼쪽 위로 이동하면서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이 외의 이체자로는 畂, 畒, 畆가 있다.
3. 용례
3.1. 단어
- 전묘(田畝)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일본어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汣(물이름 구)
- 畂(밭갈 구, 밭백묘 류)
- 杦(삼나무 구)
- 奺(수절할 구)
- 镹(오랠 구)[2]
- 玖(옥돌 구)
- 𪖓[⿰鼻久](코막힐 구)[3]
- 𪔼[⿰鼠久](석서 준)
- 𧰫[⿰豕久](걸어갈 촉)
- 𱍾[⿰难久]
- 𱍿[⿰婁久]
- 𠖮[⿰冫久]
- 𬽧[⿰亻久]
- 𠇧[⿰介久]
- 𭅥[⿰南久]
- 𠮻[⿰口久]
- 𡉌[⿰土久]
- 𭖃[⿰山久]
- 𪦉[⿰姯久]
- 𭐕[⿰壴久]
- 𫼖[⿰扌久]
- 𬀨[⿰日久]
- 𰝺[⿰火久]
- 𭧟[⿰景久]
- 𮀌[⿰石久]
- 𱵼[⿰禾久]
- 𮄴[⿰章久]
- 𦤷[⿰至久]
- 𮊣[⿰羊久]
- 𥹰[⿰娄久]
- 𬗎[⿰⿱口糸久]
- 𮠘[⿰酉久]
- 𰸃[⿰𧾷久]
- 𨥆
- 𲉬[⿰⿱业隹久]
- 𩐗[⿰音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