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0:58:18

응원봉


1. 개요2. 역사
2.1. 응원 도구가 된 형광봉2.2. 한국 아이돌형 응원봉의 등장2.3. 사회 운동 도구로의 변용
3. 목록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발광체를 탑재한 봉 형태의 응원 도구를 통칭하는 말.

한국 연예계에서 응원봉이라고 하면 주로 한국 아이돌 팬덤에서 사용하는 공식 응원봉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본 서브컬처 쪽에서는 오타게 등에 사용되는 형광봉을 의미하기도 한다.

콘서트에서 사용되는 LED 응원봉을 중앙에서 제어하여 전체적인 관객석의 조명을 조정하기도 한다.

2. 역사

2.1. 응원 도구가 된 형광봉

본래 형광봉은 군용으로 제작된 도구였으나 일본에서 응원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자세한 내용은 형광봉 문서의 공연/라이브에서의 사용 문단 참조.

한국에 이러한 형광봉을 처음 콘서트에 도입한 것은 문희준의 2002년 솔로 2집 데뷔 당시로, 이는 일본 J-POP 팬덤에서 쓰던 형광봉을 응원 도구로서 최초로 들여온 것이다. 이 같은 풍경이 미디어에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점점 형광봉이 일반적인 응원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2. 한국 아이돌형 응원봉의 등장

파일:아이돌_응원봉_모음_사진.jpg
응원봉 사진 모음

최초로 고유한 디자인을 가진 응원봉을 만든 것은 가수 SE7EN이다. 초기 한국 아이돌 팬덤에서는 주로 팬덤 마다 다른 특정한 색의 풍선을 사용해 응원하는 문화가 있었는데[1]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많은 그룹들이 데뷔하면서 아이돌끼리 유사한 색상을 선정하면서 겹치게 되니 각 팬덤에서 상징색을 둘러싸고 소유권에 대해 다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특정 색의 풍선으로는 한 아이돌을 대표하는 데 한계가 나타났기 때문에 새로운 응원 도구가 나타날 것은 사실상 예정된 수순이었다.

세븐의 데뷔 당시에도 여전히 대중적인 응원 도구였던 풍선의 색을 겹치지 않도록 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범용적인 응원 도구로 사용되던 형광봉의 형태를 꺾어 자신을 상징하는 숫자 7 모양으로 직접 제작하고 이름도 7봉으로 붙이면서 처음으로 고유 디자인을 가진 공식 응원봉이 탄생하게 된다.

이후 기존의 형광봉 형태에서 벗어나 현재 대부분 아이돌 응원봉의 형태를 유행시킨 응원봉은 BIGBANGG-DRAGON이 디자인한 뱅봉이라고 할 수 있다. 뱅봉은 빅뱅의 팬덤인 VIP를 상징하는 왕관 모양에 노란색 LED 조명을 넣은 상징이 스틱 윗부분에 있는 디자인으로, 현재 많은 팬덤들이 사용하는 LED 장식 응원봉의 기초가 되었다.

빅뱅 성공 이후 2010년대 들어 응원봉은 케이팝의 기본값이 됐다. 그룹이 데뷔하면 자동적으로 응원봉도 함께 만들어지는 시대가 된 것이다. 최근에는 LED 기술 발전으로 인해 밝기, 색깔 등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조종할 수 있다. 여기에 특정 주파수를 이용해 중앙에서 제어가 가능한 기능이 제공되면서 공연장에서 응원봉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다. 응원봉 하나하나가 무대 장치와 조명 역할까지 하기 때문이다.

엄연히 전기제품이기 때문에 전문 제작 업체들이 존재한다. 팬라이트, 비트로, 사운드 웨이브 3개 제조사가 3대 기획사(하이브, SM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의 응원봉 제작을 담당하며 업계를 삼분하고 있다. 이 가운데 팬라이트는 2018년 매출 140억원에서 2023년 275억원으로 5년 새 두배 가까이 뛰었다. 그만큼 응원봉 업계가 활황이란 의미다.

제작 과정은 아티스트마다 다르다. 신인인 경우에는 보통 소속사 브랜드 관리 부서에서 기획하지만, 중견급 이상의 가수들은 적극적으로 콘셉트나 디자인에 대한 의견을 낸다. 아이유는 응원봉은 물론 굿즈 하나하나까지 직접 디자인을 검토한다고 한다.

응원봉마다 개성 있는 이름도 있다. 그룹의 로고나 아티스트 각자의 특징을 응원봉 디자인에 반영하는데, 이름 붙이는 방식은 가수마다 달라팬들과 소통하다가 지을 때도 있고 기획사에서 자체적으로 짓기도 하고 팬들이 애칭으로 부르다가 정착되기도 한다. NCT의 ‘믐뭔봄’은 팬들이 네모난 응원봉 모양을 보고 만든 이름이다. 반면 NewJeans의 ‘빙키봉’은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가 디자인은 물론 이름까지 직접 만들었다.

2.3. 사회 운동 도구로의 변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응원봉 혁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 아이돌/응원도구 문서
번 문단을
응원봉(야광봉 및 풍선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5. 관련 문서



[1] H.O.T 흰색, god 하늘색, 젝스키스 노란색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