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0 22:50:13

유시연(1874)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유승일(柳承一)
자 / 호 박여(璞汝) / 성남(星南)
본관 전주 류씨[1]
출생 1874년 1월 1일[2]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임하현 고천동
(현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고천리)[3]
사망 1914년 1월 29일[4]
대구형무소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유시연은 1874년 1월 1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임하현 고천동(현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고천리)에서 아버지 유정호(柳正鎬)와 어머니 함안 조씨 조전(趙佺)의 딸 사이의 1남 1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조선 세종 때 도승지, 이조참판, 예조참판 등을 지낸 유의손(柳義孫)의 후손이며, 선조 유복기(柳復起)는 임진왜란곽재우 의병장을 따라서 화왕산성에서 회맹(會盟)한 뒤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이후로 그의 집안은 대대로 안동 수곡의 대평 마을에서 살아가면서 영남의 현족(顯族)으로 인정받았다.

유시연은 어렸을 때 용맹하고 담력이 있었다고 하며, 전사(戰史)와 병서(兵書) 읽기를 좋아했다고 한다. 또한 그는 국가의 형세가 위급해지는 걸 보고 탄식하며 항상 이런 말을 하곤 했다고 한다.
"바야흐로 집안과 나라가 위태롭고 망하게 된 시기에 있어서 어찌 책장만 뒤적이고 글 이야기만 하는 말단의 일에 국한하겠느냐· 오늘날의 급선무는 시대에 순응해서 현실로 써나가는 데에 있는 것이다."

이후 수레바퀴와 두레박을 만들기도 하고, 활·창·화약 등속을 만들기도 하였다고 한다.

1895년 을미사변단발령이 잇달아 발발하자, 그는 1896년 1월 권세연을 의병장으로 추대하여 안동의진을 일으킨 뒤 자신은 선봉장을 맡았다. 항상 선봉에서 관군과 맞서 큰 활약을 했기에 유선봉(柳先鋒)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러나 안동의진이 끝내 패퇴한 뒤 해산되자 관군의 추적을 피해 이동하고 있던 김하락의 의병대에 가담하기로 했다.

1896년 5월 29일 유시연은 그와 합진하고자 하여 6개 부대를 이끌고 찾아간 바 있었으나 김하락 의진은 이미 패색이 짙었다. 그리고 관군 삼백여 명이 수륙으로 육박해 오고 있어 영덕의 신돌석 의진이 매우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이에 김하락이 함께 영덕을 구하러 가자고 청하였다. 그러나 유시연은 그 시점에서 관군과 정면충돌은 삼가는 것이 옳은 것으로 판단하고 따르지 않았다. 결국 김하락은 나흘 뒤 단독으로 관군과 맞붙었다가 전사했다.

이후 고종의 유칙을 받들어 의병을 해산한 뒤, 은밀히 조카되는 창식(昌植)·인식(寅植) 그리고 이현규(李鉉奎)·신돌석(申乭錫) 등과 뜻을 모아 국내의 인물을 찾아 아전·장사치·승려·순사·거지·종을 가리지 않고 한 가지 재주라도 있는 사람을 보면 밥을 주고 옷을 입히면서 주변에 불러 모았다. 그러던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었다는 소식을 접하자 소모장(召募將)을 맡아 의병을 모집했다.

1906년 봄 경주 분황사(芬皇寺)에서 열읍 의병장들과 회맹하고 총대장(영남의병대장)으로 추대되었다. 이후 진보·영덕·평해 등지에서 전투를 벌여 전과를 올렸다. 1907년 대한제국군이 강제 해산된 후 이강년이 그에게 격서를 보내어 서로 손을 잡고 일하자고 요청했다. 그는 이에 따라 군사 수십 명만을 이끌고 약속한 삼척(三陟) 방면으로 가서 만나 보기로 하였다. 이때 친일파로서 일본의 주구 노릇을 하던 박두일(朴斗日)이 삼남토벌대장(三南討伐大將)이 되어 경북 일대를 유린했다. 그 바람에 유시연의 본대는 붕괴되고 말았다.

이 소문을 들은 유시연은 본거지를 잃고 관동과 영남 중간 지대에서 머물러 있다가 울진 십이령에서 박두일을 처단하고 이어서 영양·청송·안동 등지에서 유격전을 벌여 일본군에게 타격을 입혔다. 908년 부하 57명을 거느리고 의성 갈곡동에서 왜병을 습격하여 성과를 올리고 영양 북면에 잠복하였다. 일제는 현상금을 걸어가며 그를 잡으려고 했지만, 그는 탁월한 변장술로 번번히 이를 뿌리쳤다.

그는 항상 보따리를 등에 지고 다니는데 밀정이 그를 잡으려 뒤따르면 산모퉁이를 돌아 밀정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급히 보따리 속에서 모자를 끄집어내어 쓰고 보따리를 풀밭에 숨기고 밀정이 오는 곳으로 되돌아간다고 했다. 밀정이 보따리를 메고 가던 사람이 어디로 갔느냐고 물으면 방금 그 사람은 산으로 올라가더라고 대어 준 후, 밀정이 산으로 올라가면 다시 숨겨 둔 보따리를 찾아서 사라져 버렸다.

숨어서 살다가 1911년 8월 만주로 탈출하여 이상희(李象羲)·김동삼과 논의한 끝에 만주에서 독립군을 양성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그곳에서의 군사훈련을 위한 무기 구입자금 이백만 냥을 조달하기 위해 1912년 은밀히 국내로 들어왔다. 그는 각 지방으로 숨어 다니면서 평일에 알던 사람들을 찾아 자금을 마련했다.

그러나 중간에 밀정이 이 사실을 일제 경찰에게 알리는 바람에 발각되고 말았고, 1913년 5월 영주 반구왜경소(盤邱倭警所)에 체포된 뒤 대구복심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914년 1월 29일 교수형에 처해졌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유시연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1] 회헌공파-안동수곡파 20세 연(淵) 항렬.[2] 음력 1873년 11월 13일.[3] 인근의 갈전리·박곡리·수곡리와 함께 전주 류씨 집성촌이다.[4] 음력 1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