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0 05:02:42

유시보

파일:유시보.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출생 1925년 7월 24일
중화민국 펑톈성 둥볜다오 번시현
(현 중국 랴오닝성 번시시)[1]
원적 경상북도 안동군 풍남면 하회동 751번지[2]
(현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3]
사망 1994년 6월 16일 (향년 68세)
전라북도 전주시
본관 풍산 류씨 (豊山 柳氏)[4]
가족 배우자 김일순[5]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142호
상훈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

1. 개요2. 생애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훈하였다.

2. 생애

1925년 7월 24일 중화민국 펑톈성 둥볜다오 번시현(현 중국 랴오닝성 번시시)에서 아버지 유소우와 어머니 남양 홍씨(1906 ~ ?)[6] 사이에서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원적지는 경상북도 안동군 풍남면 하회동(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하회마을 751번지다. 일찍이 아버지를 따라 지린성 빈장도(濱江道) 빈장현(濱江縣), 펑톈성 펑톈시(奉天市)·잉커우현(營口縣) 등지로 이주하였고, 1940년에 잉커우현 융싱촌(永興村)[7]에 있던 조선인 소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중화민국에서 8개월간 항일 활동을 수행하다 1942년 8월 13일 허난성 카이펑시에서 아버지 유소우, 사촌 형 유시훈과 함께 한국광복군 제1지대에 입대하였다. 아버지 유소우는 이전부터 조선민족혁명당과 관련하여 항일 활동에 종사하고 있었고,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으로 편입되자 함께 입대하게 된 것이다. 이후 한국광복군 제1지대 본부대에서 사병 모집 공작, 일본 제국 육군을 상대로 한 선전 활동, 선무 공작 등의 임무를 맡았다.

8.15 광복 후 귀국하였고, 1977년 11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을 수훈하였다.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훈하였다. 1994년 6월 16일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사망하였다. 유해는 1994년 6월 18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안장되었다.

3. 여담


[1]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2] 일제강점기 초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이 지번의 토지는 증조부 유도연(柳道淵, 초명 유도흥(柳道興), 1856 ~ 1926.8.7.)의 소유였다. 현재 본 지번에는 춘양댁이 있다.[3] 인근의 광덕리와 함께 풍산 류씨(豊山 柳氏) 집성촌이다.[4] 서애(西厓) 찰방공파(察訪公派)-진석(進錫)파 26세 시(時) 수(壽) 재(在) 항렬.[5] 1934년생. 광산 김씨로, 김용한(金容漢)의 딸이다.[6] 홍진성(洪進成)의 딸이다.[7]중국 랴오닝성 판진시 다와구(大洼區) 융싱촌(永興村). #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