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0 05:02:57

유시훈

파일:유시훈.jpg
<colbgcolor=#0047a0><colcolor=#fff> 출생 1917년 10월 2일
경상북도 안동군 풍남면 하회동 751번지[1]
(현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2]
사망 1944년 5월 1일 (향년 26세)
중화민국 허난성
본관 풍산 류씨 (豊山 柳氏)[3]
가족 배우자 심위교[4]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위패 8판 5열 144호 (1면 9행)
상훈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1. 개요2. 생애3. 여담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2. 생애

1917년 10월 2일 경상북도 안동군 풍남면 하회동(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하회마을 751번지에서 아버지 유형우(柳炯佑, 1900 ~ ?)[5]와 어머니 신 안동 김씨(1899 ~ ?)[6] 사이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큰아버지 유익우(柳翊佑, 1893 ~ ?)[7]에 입양되었다.

일찍이 생부 유형우와 함께 중화민국으로 건너갔다. 1940년 허난성 카이펑시에서 작은아버지 유소우의 권유로 조선민족혁명당에 입당하여 공작원으로 활동하였다. 1942년 조선의용대한국광복군으로 편입되자, 같은 해 8월 13일 허난성 카이펑시에서 작은아버지 유소우, 사촌 동생 유시보와 함께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에 입대하였다. 이후 사병 모집 공작 등의 임무를 맡았다. 1944년 4월 일본 제국 육군이 허난성 정저우시뤄양시 등지를 침공하자, 국민혁명군 제5전구 사령관의 요청으로 제1구대원들과 출동하여 전방에서 대적 선전 공작, 일본 제국 육군의 동태 및 첩보 수집, 포로 심문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때 제1구대장 김용재(金容宰)의 명령을 받고 허난성 신샹현(新鄕縣)에 침투하여 대적 선전과 초모 공작 등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1944년 5월 1일 허난성에서 사망하였다.[8] 1977년 11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2012년 11월 29일 국립대전현충원에 배우자 심위교의 위패와 함께 위패가 봉안되었다.

3. 여담


[1] 일제강점기 초 작성된 지적원도에 따르면, 이 지번의 토지는 증조부 유도연(柳道淵, 초명 유도흥(柳道興), 1856 ~ 1926.8.7.)의 소유였다. 현재 본 지번에는 춘양댁이 있다.[2] 인근의 광덕리와 함께 풍산 류씨(豊山 柳氏) 집성촌이다.[3] 서애(西厓) 찰방공파(察訪公派)-진석(進錫)파 26세 시(時) 수(壽) 재(在) 항렬.[4] 1918년생. 청송 심씨로, 심환택(沈煥澤)의 딸이다.[5] 자는 경문(景文).[6] 김허규(金許圭)의 딸이다.[7] 자는 군보(君輔).[8] 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1975년 8월 17일에 사망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한국에서 사망신고한 날짜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