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14:05:24

울산화력발전소 구조물 붕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colcolor=#fff> 울산화력발전소 구조물 붕괴 사고
파일:울산화력발전소 구조물 붕괴 사고.webp
소방 대응
최고 단계
2단계
<colbgcolor=#bc002d,#11102d> 발생 일시 2025년 11월 6일 오후 2시 7분경
발생 위치 울산광역시 남구 남화동 1-4
(한국동서발전 산하 울산화력발전소)
원인 불명[조사중]
인명 피해 <colbgcolor=#bc002d,#11102d><colcolor=#FFF> 사망 4명
실종 2명
부상 3명[2]
대응 국가 소방 동원령 발령
소방 비상 대응 2단계 발령

1. 개요2. 경과3. 타임라인
3.1. 11월 6일3.2. 11월 7일3.3. 11월 8일3.4. 11월 9일
4. 반응
4.1. 정부4.2. 정치권
5. 둘러보기

1. 개요

YTN 보도
2025년 11월 6일 울산화력발전소에서 해체 중이던 보일러 타워가 붕괴된 사고.

2. 경과

2025년 11월 6일 울산화력발전소[3]에서 가동이 중지된 기력발전 5호기 보일러 탑의 발파 해체가 쉽도록 일부 기둥을 잘라내는 과정에서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붕괴되었다. 작업자들은 보일러 타워가 발파 작업에서 잘 무너지도록 건물 25m 높이에서 사이사이 기둥을 잘라내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철거 공사는 HJ중공업 건설부문이 맡았고, 현장에는 발파 전문업체인 '코리아카코'가 HJ중공업의 하청을 받아 투입되었다. 붕괴 사고로 인해 9명이 매몰되었고, 매몰 직후 2명[4]이 구조되었으며 이후 오후 4시, 2명이 추가로 발견되었지만 구조되지는 못했으며 생사도 확인되지 않았다. 결국 다음날인 7일 새벽에 1명이 사망했으며 다른 1명 역시 사망으로 추정된다고 소방당국은 밝혔다. #

3. 타임라인

3.1. 11월 6일

3.2. 11월 7일

3.3. 11월 8일

3.4. 11월 9일

4. 반응

4.1. 정부

4.2. 정치권

5. 둘러보기

문서가 있는 대한민국의 붕괴 사고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lding 2000년대 이전<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연도 사고유형 사건명
1970년 P 와우시민아파트 붕괴 사고
1992년 P 창선교 붕괴 사고
1993년 PD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1994년 P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5년 P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2001년 D 홍제동 방화 사건
2003년 PC 평택 타워크레인 붕괴 사고
2007년 C 가좌역 선로 지반침하 사건
}}} ||
{{{#!folding 2010년대 연도 사고유형 사건명
2013년 C 남·북항대교 영도연결도로 붕괴 사고
2014년 PD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사고
P 아산 오피스텔 붕괴사고
판교테크노밸리 축제 환풍구 붕괴 사고
2015년 P 동래읍성 인생문 성벽 붕괴사고
2016년 C 진접역 공사현장 붕괴사고
2018년 C 정선 한덕철광 발파 사고
P 용산 4층 건물 붕괴사고
C 서울상도유치원 붕괴 사고
2019년 P 광주 나이트클럽 붕괴 사고
C 서울 서초구 잠원동 철거건물 붕괴사고
}}} ||
{{{#!folding 2020년대 연도 사고유형 사건명
2020년 C 부전-마산 복선전철 터널 붕괴 사고
2021년 C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
2022년 PC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C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 매몰 사고
봉화 광산 붕괴 사고
안성 물류창고 신축현장 붕괴사고
2023년 P 분당 정자교 붕괴 사고
PC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붕괴사고
2025년 C 세종포천고속도로 공사 교량 붕괴 사고
C,?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도로 붕괴 사고
PD 오산 가장교차로 옹벽 붕괴 사고
? 창원 상가 붕괴 사고
울산화력발전소 구조물 붕괴 사고
}}} ||
P: 부실 공사 및 관리 미흡/ C: 공사중 붕괴/ D: 재해로 인한 붕괴/ ?: 원인 조사중 · 불명 }}}}}}}}}

[조사중] [2] 매몰 직후 구조된 2명과, 사망 판정을 받지 못하고 구조되지 못한 채 사망 추정 중이기만 한 1명.[3] 울산화력발전소는 2022년 설계 수명 경과로 가동이 중단되었으며 발전소 해체 및 철거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4] 60대 남성 1명, 40대 남성 1명[5] 시신은 9일에 수습되었다.[6] 4호기 100%, 6호기 75%로, 다음주 초로 전망되는 6호기에의 추가적인 취약화 작업 동안에는 붕괴 위험이 더 커져 구조대원의 활동이 불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