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코른의 악마 우줄(U'zhul)}}}에 대한 내용은 [[스컬테이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컬테이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컬테이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코른의 악마 우줄(U'zhul): }}}[[스컬테이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컬테이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컬테이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코른 계열 인물들 |
공동: 스카브란드 · 카반다 · 앙그라스 · 스컬테이커 · 카라나크 · 둠브리드 |
40k: 앙그론 · 칸 더 비트레이어 · 인보카투스 · 로타라 사린 · 우라카 아즈바라마엘 |
판타지: 우줄 · 피의 발키아 · 스카 블러드래스 · 실라 안핑그림 · 에길 스티르비욘 · 불패의 아르바알 · 하르그로스 · 바슬로 크룰트 · 오그라스 · 피의 아브락스 · 흐로스가르 · 그리달 · 보르가로스 |
AoS: 코르고스 쿨 · 피의 발키아 · 실라 안핑그림 · 스카 블러드래스 · 보르가로스 |
<colcolor=#ffd700><colbgcolor=#8b0000> 우줄 U'zhul | |
| |
칭호 | 강철 속의 살해자(Slayer in Steel) 피를 흩뿌리는 존재(Spiller of Blood) 칼날의 격노(Fury of the Razor) |
종족 | 그레이터 데몬(블러드써스터) |
진영 | 코른 |
1. 개요
코른의 그레이터 데몬이자 에버초즌의 6가지의 무구 중 하나인 마검 왕의 살해자에 깃든 것으로 유명한 존재.이는 2번째 에버초즌 반겔에 의해 봉인당한 것으로, 우줄의 힘을 해방하는 것도 가능하나 적과 아군을 가리지 않고 날뛰는데다가, 자칫 잘못하면 우줄이 소유자의 몸을 뺏을 수도 있어서 현 에버초즌 아카온도 작중 단 2번밖에 사용하지 않았다.[1]
이후 소설에서 밝혀진 설정에 따르면 즈굴이라는 형제 악마가 존재한다고 한다. 즈굴은 왕의 살해자를 찾아 헤매던 아카온에게 접촉해, 자신이 그 위치를 알려줄테니, 그 대신 검에 갇힌 자신의 형제, 우줄을 해방시켜달라고 한다. 아카온은 이 거래에 응했고, 결국 왕의 살해자를 찾아낼 수 있었다. 하지만 막상 검을 손에 넣자 그 힘에 마음이 바뀐 아카온은 우줄을 해방시키지 않는다. 이에 분노한 우줄이 소리를 지르며 날뛰었고, 그 때문에 콜렉 선이터의 아버지, 검은 크라칸로크가 깨어날 뻔 했다. 하지만 아카온이 오그라스의 가슴에 칼을 찔러넣어, 그의 피로 악마를 진정시켰다.[2]
이후 벨라코르와 아카온의 일전에서 궁지에 몰린 아카온이 히든 카드로 써먹는다. 바로 왕의 살해자를 벨라코르에게 찔러넣은 상태로 우줄을 해방시켜 버린 것이다. 이것은 그 벨라코르에게조차 엄청난 피해를 입혔고, 벨라코르는 고통에 몸부림 쳐야만 했다. 하지만 벨라코르는 이것을 견뎌냈고, 왕의 살해자를 자신의 몸에서 뽑아 멀리 던져버린다.
최종 결전인 미덴하임 전투에서도 그림고어 아이언하이드를 격퇴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상술했다시피, 우줄을 해방시키는 것은 리스크가 큰 행위였지만, 당시 그림고어와 아카온이 워낙 용호상박으로 승패를 예측하기 힘들만큼 대등하게 싸웠고, 또다른 성물인 쉬리안의 눈이 그림고어의 박치기로 인해 박살이 나는 등 상황이 급박했기에 결국 최후의 카드로 사용하게 된다.
2. 여담
스컬테이커 우줄 (U'zhul)과는 자주 혼동되지만[3] 이름만 비슷하지 완전히 다른 존재. 게임즈 워크숍의 해괴한 네이밍 센스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그런데 문제는 이 우줄의 이명도 스컬테이커다. 아무래도 원래는 진짜 스컬테이커로 설정했던 모양이지만, 그럴 경우 스컬테이커의 행적과 충돌이 생기니 비슷한 이름의 다른 악마인 것으로 설정 변경을 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