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3:45:05

우사(검은사막)

파일:검은사막_로고2.png[[검은사막/클래스|
클래스 일람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1px"
[[워리어(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warrior.png
워리어
Warrior
]]
[[레인저(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ranger.png
레인저
Ranger
]]
[[소서러(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sorceress.png
소서러
Sorceress
]]
[[자이언트(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berserker.png
자이언트
Berserker
]]
[[금수랑|파일:bdo_symbol_class_white_tamer.png
금수랑
Tamer
]]
[[무사(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musa.png
무사
Musa
]]
[[발키리(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valkyrie.png
발키리
Valkyrie
]]
[[매화(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maehwa.png
매화
Maehwa
]]
[[위자드(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wizard.png
위자드
Wizard
]]
[[위치(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witch.png
위치
Witch
]]
[[쿠노이치(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kunoichi.png
쿠노이치
Kunoichi
]]
[[닌자(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ninja.png
닌자
Ninja
]]
[[다크나이트(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darkknight.png
다크나이트
Dark knight
]]
[[격투가(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striker.png
격투가
Striker
]]
[[미스틱(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mystic.png
미스틱
Mystic
]]
[[란(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lahn.png
Lahn
]]
[[아처(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archer.png
아처
Archer
]]
[[샤이(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shai.png
샤이
Shai
]]
[[가디언(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guardian.png
가디언
Guardian
]]
[[하사신(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hashashin.png
하사신
Hashashin
]]
[[노바(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nova.png
노바
Nova
]]
[[세이지(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sage.png
세이지
Sage
]]
[[커세어(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corsair.png
커세어
Corsair
]]
[[드라카니아|파일:bdo_symbol_class_white_drakania.png
드라카니아
Drakania
]]
[[우사(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woosa.png
우사
Woosa
]]
[[매구(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maegu.png
매구
Maege
]]
[[스칼라(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scholar.png
스칼라
Scholar
]]
[[도사(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dosa.png
도사
Dosa
]]
[[데드아이(검은사막)|파일:bdo_symbol_class_white_deadeye.png
데드아이
Deadeye
]]

}}}}}}}}} ||



파일:bdo_symbol_class_white_woosa.png

우사
Woosa

파일:bdo_woosa_classcard.jpg
우아한 나비의 날갯짓으로
폭풍을 몰고 오는 우도방의 도사

본명
고 현

성별
여성

소속
파일:심볼_아침의나라.png 우도방

주무기
호화선

보조무기
도장

각성무기
초령부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새아

출시일
2022년 12월 14일


1. 개요2. 전승:현묘의 경지
2.1. 평가
2.1.1. PVE
2.1.1.1. 장점2.1.1.2. 단점
2.1.2. PVP
2.1.2.1. 장점2.1.2.2. 단점
3. 각성:사희의 초령부
3.1. 평가
3.1.1. PVE
3.1.1.1. 장점3.1.1.2. 단점
3.1.2. PVP
3.1.2.1. 장점3.1.2.2. 단점
4. 스킬5. 총평6.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bdo_wallpaper_woosa.jpg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백해무익한 요괴는 처단한다.
공식 신규 클래스 트레일러||


온라인 게임 《검은사막》에 등장하는 클래스.

2022 칼페온 연회에서 발표, 2022년 12월 14일 출시된 25번째 클래스이다.

주 무기는 호화선이며, 보조 무기는 도장을 사용한다.
우사 공식 트레일러

2. 전승:현묘의 경지

파일:bdo_succ_woosa.jpg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득도의 하늘에 다다른 나비
전승을 선택한 우사는 과거 쌍둥이 언니의 환술에 빼앗긴, 스승 화담이 물려준 도술을 되찾아 득도의 하늘을 향해 나아갑니다.
적의 힘을 역이용 할 수 있게 된 우사는 굳은 의지로 쓰러지지 않고 적의 공격을 온전히 받을 때, 그 힘을 자신의 도력으로 흡수해 무적 상태가 아닌 상대의 방어를 무시하고 그대로 되돌려 줄 수 있습니다. 이렇듯 강한 자에게 강하고 약한 자에게 약한 이 새로운 도술은 그녀가 걸어온 길과도 꼭 닮아있습니다. 또 이전과 달리 먼저 먹구름을 띄운 뒤, 적재적소에 신호를 내려 벼락을 실은 폭풍을 몰아치게 할 수 있습니다.
나비처럼 가볍게 전장을 헤집는 우사를 얕보는 적들은 어느 순간 나비폭풍에 휩쓸려 영영 돌아오지 못할 것 입니다.

우사 플레이 영상

2.1. 평가

2.1.1. PVE

2.1.1.1. 장점
2.1.1.2. 단점

2.1.2. PVP

2.1.2.1. 장점
2.1.2.2. 단점

3. 각성:사희의 초령부

파일:bdo_awak_woosa.jpg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저승 꽃을 피워내는 도사
각성한 우사는 부적을 엮어 만든 명부와 죽은 사람의 이름을 쓰는 세필붓을 무기로 서천 꽃밭의 힘을 사용합니다.
저승의 힘을 두른 우사는 세필붓으로 명부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불러내거나 저승 꽃을 소환하게 됩니다. 꽃을 지뢰처럼 활용하거나 꽃으로 시간차 공격을 하는 등 전략적으로 적의 움직임을 차단합니다.
그리고 거대한 서천 꽃밭을 전개한 뒤 적과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중, 근거리 광역 공격을 쏟아내거나 소환된 꽃으로 적에게 낙인을 찍어 끊임없이 추적하며 폭발 피해를 주는 등 적들을 혼란에 빠트립니다.
저승으로 갈 운명의 명부에 작성된 적들은 영혼을 갈취하는 듯한 우사의 손짓에 두려움에 사로잡힐 것입니다.
우사 각성 트레일러


3.1. 평가

3.1.1. PVE

3.1.1.1. 장점

그리고 반쯤 농담으로 하는 말이지만, 전승의 성능이 게임 내 최정상이라 언제든지 전승으로 갈아탈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
3.1.1.2. 단점

3.1.2. PVP

3.1.2.1. 장점
3.1.2.2. 단점

4.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사(검은사막)/스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총평

6. 기타



[1] 우도방은 정신적 수양을 중시하고 영적인 힘을 요사스러운 것으로 본다. 이런 인식 때문에 영적 능력이 주가 되는 좌도방과는 친해질 수가 없는 것. 그런데 웃기게도 우도방의 현 수장인 국선 정화담과 좌도방의 현 수장인 신선 홍길동과의 사이는 서로 바둑 두며 껄껄 웃을 정도로 사이가 좋다. 도에 이르는 길은 하나뿐이기에 서로 싸울 이유가 없다고. 사실은 이들도 원래는 사이가 나빴고 한 번은 사생결단을 낼 뻔도 했으나 결국 깨달음을 얻어 화합하게 됐다고 한다.[2] 매구는 이전에는 우도방 소속이였지만 좌도방으로 이적한 도사다. 매구가 각성 퀘스트로 우도방이 쓰던 부채를 들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3] 임금은 처음에는 아예 존재 자체를 부정하려고 했지만 영의정의 부탁으로 태어나지 못하고 죽은 걸로 처리됐다.[4] 실제로 아침의 나라 서울을 소개하면서 역사 전공자들이 학업에 참고해도 문제가 없을 정도로 문화재청의 협력을 통해 정교하게 제작했다고 자부할 만큼 고증에 있어서 매우 철저함을 보여주었다.